(발달심리학) 피아제의 인지발달 이론

개념
도식 | 사물이나 사건 또는 사실에 대한 전체적인 윤곽이나 개념 개인이 가지고 있는 세상을 이해하는 틀 유기체가 환경과 끊임없이 접촉하면서 얻은 경험을 통해 형성됨 도식의 변화는 동화와 조절을 통해서 이루어짐 |
동화 | 새로운 정보를 기존의 도식으로 이해하려는 과정 |
조절 | 새로운 정보를 수용하기 위해 기존의 도식을 수정하는 과정 |
적응 | 환경에 맞게 조정하려는 경향성 동화와 조절을 통해 균형이 이루어진 평형 상태 |
인지 발달 단계
단계 | 연령 | 특징 |
감각운동기 | 0~2세 | 주로 사물을 만져보고, 조작해보고, 환경과 상호작용하여 세상을 이해한다. 대상영속성이생긴다. |
전조작기 | 2~7세 | 언어를 습득하며 자기중심적이다. 상징놀이가 증가하여 가상놀이를 즐긴다. 직관적 사고로 눈에 보이는 것만을 보고 판단한다. 양에 대한 보존개념이 없다. 물활론적 사고를 한다. |
구체적 조작기 | 7~11세 | 논리적 사고가 가능하며 유목화, 서열화, 보존 개념을 획득한다. 자아중심성이 사라진다. 조작적 사고와 관찰이 가능하다. 타인을 이해할 수 있는 조망수용능력이 생긴다. |
형식적 조작기 | 12세 이후 | 가설을 세우고 논리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 (연역적 추론 가능). 추상적으로 사고하고 추론을 통해 가설을 세워 검증할 수 있다. 미래지향적 사고 – 한가지 문제에 대해 다양한 대안 / 여러 가지 가능성 검토 가능 논리적 일관성 주장 (기성세대에 대해 반항) |
- 병원 간판으로 일반의 or 전문의 알아보기
- 치아 수명 줄이는 최악의 행위
- 에겐녀 (여성호르몬 과잉) & 테토녀 (남성호르몬 과잉)
- 강남 소아 정신과 의사의 충격적인 증언
- 엄마 요양원에 모셔 드리고 왔다. 버리고 온 것일지도 모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