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건너뛰기

(발달심리학) 피아제의 인지발달 이론

(발달심리학) 피아제의 인지발달 이론

개념

도식사물이나 사건 또는 사실에 대한 전체적인 윤곽이나 개념
개인이 가지고 있는 세상을 이해하는 틀
유기체가 환경과 끊임없이 접촉하면서 얻은 경험을 통해 형성됨
도식의 변화는 동화와 조절을 통해서 이루어짐
동화새로운 정보를 기존의 도식으로 이해하려는 과정
조절새로운 정보를 수용하기 위해 기존의 도식을 수정하는 과정
적응환경에 맞게 조정하려는 경향성
동화와 조절을 통해 균형이 이루어진 평형 상태

인지 발달 단계

단계연령특징
감각운동기0~2세주로 사물을 만져보고, 조작해보고, 환경과 상호작용하여 세상을 이해한다.
대상영속성이생긴다.
전조작기2~7세언어를 습득하며 자기중심적이다.
상징놀이가 증가하여 가상놀이를 즐긴다.
직관적 사고로 눈에 보이는 것만을 보고 판단한다.
양에 대한 보존개념이 없다.
물활론적 사고를 한다.
구체적 조작기7~11세논리적 사고가 가능하며 유목화, 서열화, 보존 개념을 획득한다.
자아중심성이 사라진다.
조작적 사고와 관찰이 가능하다.
타인을 이해할 수 있는 조망수용능력이 생긴다.
형식적 조작기12세 이후가설을 세우고 논리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 (연역적 추론 가능).
추상적으로 사고하고 추론을 통해 가설을 세워 검증할 수 있다.
미래지향적 사고 – 한가지 문제에 대해 다양한 대안 / 여러 가지 가능성 검토 가능
논리적 일관성 주장 (기성세대에 대해 반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