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간호술기) 근육주사 프로토콜 이론적 근거
성취목표
근육주사의 목적과 절차를 설명할 수 있다.
근육주사 시 필요한 물품을 준비할 수 있다.
근육주사 부위를 선정하여 근육주사를 수행할 수 있다.
근육주사 수행결과를 기록할 수 있다.
관련 선행지식
투약의 기본 원칙
무균법
근육주사 부위
근육주사 시 주의사항과 합병증
필요장비 및 물품
근육주사용 모형(둔부 혹은 팔)
투약카드(또는 컴퓨터 출력물)
일회용 멸균 주사기(바늘 포함) 규격별(2~5cc) 2개씩
약품라벨이 붙은 앰플이나 바이알 2개
투약카트 또는 쟁반(Tray), 곡반
소독솜, 손소독제
투약기록지, 간호기록지
의료폐기물 전용용기(일반, 손상성)
수행난이도
중
수행시간
7분
근육주사 프로토콜 + 이론적 근거
절차 | 이론적 근거 | |
1 | 물과 비누로 손위생을 한다. | 미생물의 전파를 줄이기 위함 |
2* | 투약처방(투약카드 또는 컴퓨터 출력물)과 투약원칙(5 rights) 즉, 대상자명, 약명, 용량, 투여경로, 시간 등을 확인한다. | 안전하고 정확한 투약을 하기 위함 |
3* | 근육주사에 필요한 약물을 정확한 용량과 방법으로 주사기에 준비한 후 바늘을 새것으로 교환한다. | 약물은 대상자 보는 앞에서 준비함바늘에 묻은 약물이 조직에 자극을 줄 수 있음 |
4 | 필요한 물품을 준비한다. | |
5 | 대상자에게 간호사 자신을 소개한다. | |
6 | 손 소독제로 손위생을 한다. | 안전간호를 위한 대상자 확인절차 |
7* | 대상자의 이름을 개방형으로 질문하여 대상자를 확인하고, 환자 팔찌와 환자리스트(처방지 또는 컴퓨터 출력물)를 대조하여 대상자(이름, 등록번호)를 확인한다. | |
8 | 약물의 투여목적과 작용 및 유의사항에 대해 설명한 다음 의문사항이 있으면 질문하도록 한다. | |
9 | 커튼이나 스크린으로 사생활을 보호해 준다. | 사생활을 보호하기 위함 |
10 | 대상자의 상태와 약물용량에 따라 적합한 주사부위를 정한 후 적절한 체위를 취한 다음 주사부위를 노출하여 주사부위를 선정한다.(사례에 따라 ①~④중 선택하여 수행) ①둔부의 배면 부위 ②둔부의 복면 부위 ③대퇴 부위 ④삼각근 중앙 부위 | |
11 | 손 소독제로 손위생을 한다. | 피부 표면에 있는 미생물을 제거하기 위함 |
12 | 선정된 부위를 소독솜으로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직경 5~8cm정도 둥글게 닦아낸 후 소독약이 마르면 투약카드를 보고 약을 확인한 후 한손으로 주사기를 집어 올려 주사바늘 뚜껑을 제거한다. | |
13 | 주사바늘d을 90°로 유지되도록 한 다음 주사기로 선정된 주사부위 근육을 재빨리 찌른다. | 피부를 재빨리 찌르면 대상자의 불편감이 줄어듦. 주사바늘의 연결부위는 가장 잘 부러지는 부위이므로 부러졌을 경우 꺼내기 쉽도록 1~2mm를 남겨둠 |
14 | 피부를 잡았던 손의 엄지와 집게 손가락으로 주사기 하단부를 잡고, 주사기를 잡았던 손으로는 주사기의 내관을 살짝 뒤로 당겨 혈액이 나오지 않으면 주사기 내관을 당겨 보는 손의 엄지손가락으로 내관을 밀어서 약물을 천천히 주입한다.(만약 주사기에 혈액이 보인다면 주사기를 빼내어 버린 다음 주사준비를 처음부터 다시 해야 함.) | 주사바늘의 혈관 관통 여부를 확인해 보기 위함약물을 천천히 주사하여야 근육 내로 약물이 고루 분산되어 대상자의 불편감을 줄일 수 있음. 또한 주사기를 잘 고정하면 주사기가 흔들리지 않아 약물투여 시 대상자의 불편감이 줄어듦 |
15 | 약물주입이 끝나면 소독솜으로 주사부위를 누르면서 둔부에 주사바늘 삽입할 때와 같은 각도로 주사기를 재빨리 빼낸 다음 주사부위는 소독솜을 댄 채로 마사지한다.(주사바늘 제거 후 출혈이 있을 때는 주사부위를 1~2분정도 압박함) | 주사바늘을 천천히 빼내면 주사바늘과 함께 조직이 당겨 올려지므로 불편감이 유발됨.마사지는 투여된 약물이 피하조직으로 새어나갈 수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주사부위를 압박하는 것을 더 권장함 |
16 | 소독솜을 트레이에 놓고 환의를 입힌 후 대상자의 자세를 편안하게 해준다. | |
17 | 주사 후의 기대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 |
18 | 커튼(스크린)을 걷는다. | |
19 | 사용물품을 정리한다.(주사바늘은 뚜껑을 되씌우지 않은 채 손상성 폐기물 전용용기에 버리고 사용했던 소독솜과 주사기는 일반의료폐기물 전용용기에 버림) | 손에 바늘이 찔리는 것을 예방 |
20 | 물과 비누로 손위생을 한다. | 미생물 전파를 줄이기 위함 |
21 | 간호기록지에 다음의 내용을 기록한다. 1) 5 rights(대상자명, 약명, 용량, 투여경로, 투약시간) 2) 필요시 투약목적, 대상자 반응, 투약 못한 이유 등 |
① 둔부의 배면 부위 : 엎드려 누운 자세에서 엄지발가락을 안쪽으로 모으고 둔부를 노출시킨 다음 대전자와 후상장골극을 연결한 사선의 상외측이나 장골능에서 5cm아래, 또는 둔부를 4등분한 상외측부위를 주사부위로 선정한다.
② 둔부의 복면 부위 : 왼쪽 측위로 누워 오른쪽 무릎을 구부린 자세에서 둔부를 노출시킨 다음 간호사는 왼손의 손바닥을 대상자의 오른쪽 대전자 위에, 집게손가락은 전상장골극(anterior superior iliac spine) 위에 올려놓고 가운데 손가락은 장골능을 따라 V자로 벌려서 주사 부위를 선정한다.
③ 대퇴 부위 : 앉거나 누운 자세에서 대퇴 부위를 노출시킨 다음 외측광근을 3등분한 가운데 부분, 또는 대퇴직근 부위를 주사 부위로 선정한다.
④ 삼각근 중앙 부위 : 앉거나 선 자세 또는 측위에서 어깨를 노출시킨 다음 상박의 외측, 견봉돌기에서 5cm 아래 부위를 주사부위로 선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