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관리학) 간호전달체계

(간호관리학) 간호전달체계

사례방법

– 전인간호방법 또는 독간호

– 간호사가 근무시간동안에 분담 받은 환자에 대해 총체적 간호를 제공하는 방법

전인간호방법

기능적 분담방법

– 환자간호를 위해서 보조인력을 활용하게 되었음

– 기능적 분담방법 : 간호사는 수행하여야 할 특정한 업무를 분담 받아서 하게 되는 것이 특징이며, 간호사의 업무분담은 효율성에 기초를 둔다. 예를 들어 간호사는 투약담당, 처치담당, 기록담당 등으로 간호업무를 분담하여 실시하는 방법이다.

– 단점 : 총체적 간호가 부족하고, 개인적 요구가 간과되는 경우 환자의 만족도가 낮다.

기능적 분담방법

팀간호방법

– 이 방법은 총체적 인간에 대한 관심과 인간관계를 강조

팀간호방법

일차간호방법

– 환자 대 간호사의 일대일(1:1) 관계가 특징

– 환자가 입원과 동시에 일차간호가 지정됨

– 일차간호사는 24시간 동안의 간호 요구에 따른 책임과 권한을 가지고 환자간호를 실시

– 장점 : 환자의 입원부터 퇴원 시까지 환자는 자신의 간호에 참여하는 간호사와 친밀하게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할 수 있어서, 환자, 간호사 모두가 만족감을 가질 수 있음

– 단점 : 간호인력의 능력이 부족한 경우 간호의 질이 떨어지게 됨

일차간호방법

모듈방법

– 전문직 간호사와 간호보조인력이 팀을 이루어 일을 하는 것으로, 팀간호보다는 작은 구역을 맡아서 환자간호를 수행하는 간호전달체계

– 2~3명의 간호인력이 분담 받은 환자들의 입원에서 퇴원까지 모든 간호를 담당

– 전문직 간호사와 비전문직 간호보조인력이 함께 팀을 이루어 간호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팀간호와 유사하며, 환자가 입원해서 퇴원할 때까지의 이들 팀원이 간호를 제공할 책임이 있다는 점에서 일차간호방법과 유사하다.

사례관리

– 의료비의 절감으로 인한 경영압박의 해소와 환자의 권리로 요구되는 질 보장의 상반된 목적을 달성시키기 위해 개발된 방법

– 미리 계획된 접근방법을 통해 특정기간에 수행해야 할 의료인의 의무와 기대되는 환자의 결과를 기술함으로써 환자가 최적의 기간 내에 기대하는 결과에 도달할 수 있도록 고안된 건강관리체계

– 장점 : 사례관리를 통해 재원일수의 감소로 비용이 절감되고, 환자관리의 지속성을 유지할 수 있어 환자와 의료팀 모두에게 도움이 된다. 또한 환자는 자신의 관리과정을 미리 알게되어 심리적 · 신체적 준비를 통해 불안이 경감될 수 있다.

– 단점 : 진료의 자율권이 침해될 수 있다.

간호전달체계의 장점과 단점

간호전달체계장점단점
사례방법– 총체적인 환자간호 가능
– 개별적 환자간호 가능
– 환자와 좋은 관계 형성
– 간호사의 명확한 책임소재
– 간호보조인력에게 위임 불가
– 간호사 능력 차이에 따른 간호의 질 확보 어려움
기능적 분담방법– 적은 인력 소요
– 업무 파악 및 속도 증가
– 총체적 간호 부족
– 낮은 환자만족도
– 환자간호의 책임 분산
팀간호방법– 총체적 간호 가능
– 능력 발휘 가능
-환자간호의 높은 참여
– 많은 인력 소요
– 팀 리더가 자질이 부족한 경우 문제 발생 가능
– 팀 변경 시 업무파악에 시간 소요
일차간호방법– 간호사의 자율성 증가
– 환자만족 증가
– 많은 인력과 비용 소요
모듈방법– 환자만족 증가
– 구성원의 자율성과 만족도 증가
– 의사소통이 잘 되지 않으면 환자와 간호사의 만족도 감소
사례관리– 비용 절감
– 생산성 향상
– 진료의 자율권 침해 가능성
– 입원일 안에 진료를 마쳐야 하는 압박감
yongyong

Recent Posts

폐경 완경 논란 – 산부인과 의사 입장

폐경 완경 논란 - 산부인과 의사 입장 https://nurseyong.com/%EC%99%84%EA%B2%BD%EC%9D%B4%EB%9D%BC%EB%8A%94-%EC%A2%8B%EC%9D%80-%EB%A7%90%EC%9D%84-%EB%91%90%EA%B3%A0-%EC%99%9C-%ED%8F%90%EA%B2%BD%EC%9D%B4%EB%9D%BC%EB%8A%94-%EB%A7%90%EC%9D%84-%EC%93%B0%EC%84%B8/

2일 ago

병원안전사고 사례 분석 (12개월 영아 과다 투약 사망사고)

병원안전사고 사례 분석 (12개월 영아 과다 투약 사망사고) 🩺 1. 사고 요약 2022년 3월 제주대학교병원에서…

3일 ago

동공크기 대광반사

동공크기 대광반사 동공 크기(Pupil Size) 정상 동공 크기: 약 2~5mm, 양쪽이 대칭 형태: 둥글고 경계가…

3일 ago

출혈성 뇌졸중 (Hemorrhagic Stroke) 종류 특성

출혈성 뇌졸중 (Hemorrhagic Stroke) 종류 특성 출혈성 뇌졸중 👉 뇌혈관이 파열되어 혈액이 뇌조직 또는 지주막하…

3일 ago

허혈성 뇌졸중 (Ischemic Stroke) 종류 특성

허혈성 뇌졸중 (Ischemic Stroke) 종류 특성 허혈성 뇌졸중 (Ischemic Stroke) 혈류가 차단되어 뇌조직이 산소와 영양을…

3일 ago

두개내압 상승 (IICP) 환자의 증상 치료 간호

두개내압 상승 (IICP) 환자의 증상 치료 간호 두개내압 (IntraCranial Pressure, ICP) 정의 : 두개강 내…

4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