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건너뛰기

(간호관리학) 간호정보관리 01 간호정보화의 이해

(간호관리학) 간호정보관리 01 간호정보화의 이해

간호정보화의 개념

1) 자료 – 정보 – 지식 – 지혜

– 간호정보학은 간호실무에서 자료, 정보, 지식 및 지혜를 관리하고 전달하기 위해 간호과학, 컴퓨터 과학 및 정보과학을 결합시킨 전문분야로 정의된다.

2) 데이터베이스 : 유용한 정보를 쉽게 검색해 볼 수 있도록 컴퓨터에 저장하여 관리되는 자료의 집합

3) 간호정보화와 간호정보시스템

– 정보화 : 디지털 정보통신기술(ICT)을 적용하여 업무의 모든 과정에서 발생하는 자료를 효율적으로 처리하여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시스템을 구축하여 운용하는 것

– 간호정보화 : 간호사가 환자 간호를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간호정보시스템(NIS)을 구축해서 운용하는 것

4) 간호정보역량

– 기본 컴퓨터 약량 : 정보통신의 기본 개념, 컴퓨터 활용, 데이터베이스 활용 등과 같은 컴퓨터 관련 기술

– 정보 리터러시(Information Literacy) : 목적에 맞는 정보가 무엇인지 규명하고, 검색하고, 평가하고, 활용하는 능력을 말하는 것으로 정보 문해력, 정보 활용 능력

– 정보관리는 자료를 수집하고, 자료를 가공 처리하고, 가공한 자료를 정보 혹은 지식으로 제시하고 소통하는 과정

간호용어분류체계

2) 주요 간호용어분류체계

(1) NANDA 분류 II (NANDA International Nursing Diagnoses Classification Ⅱ) : 간호진단 분류체계

(2) NIC (Nursing Interventions Classification) : 간호중재 분류체계

(3) NOC (Nursing Outcomes Classification) : 간호결과 분류체계

(4) ICIP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for Nursing Practice) : 간호행위 분류체계

(5) OCS (Omaha Classification System) : 오마하분류체계 (방문간호)

(6) HHCC (Home Health Care Classification) : 가정간호

3) 주요 보건의료용어분류체계

(1) ICD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 국제 질병분류체계, 대한민국은 KCD-8 (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Diseases 8th Revision) 사용

(2) DSM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 정신장애용 진단 및 통계 편람

(3) MeSH (Medical Subject Headings) : 의학서적 색인분류

(4) SNOMED CT (Systematized Nomenclature of Medicine – Clinical Terms) : 미국 병리학회(CAP)와 국제보건용어표준개발기구(IHTSDO)가 관리하는 임상용어 표준 체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