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관리학) 안전한 근무환경
안전한 근무환경 구성요소
– 국제적으로 안전한 근무환경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미국간호리더십협회에서는 근무환경을 9가지로 제시하였다.
1. 협력적인 문화
2. 의사소통이 활발한 문화
3. 책무를 강조하는 문화
4. 적정 수의 유능한 간호사
5. 전문적이고 유능하며 신뢰할 수 있는 가시적인 리더십
6. 조직 내 모든 수준의 공유된 의사결정
7. 전문적 실무와 지속적인 성장/발전 촉진
8. 간호의 공헌 가치 인정
9. 실무에 기여한 간호사에 대한 인정
간호사의 안전한 근무환경
1) 보건복지부의 간호사 근무환경 및 처우개선 대책
– 2021년 보건복지부 간호사 근무환경 및 처우개선 대책 추가 내용
- 일부 요양기관의 일반병동 입원환자 간호관리료 차등제 산정기준을 병상 수에서 환자 수로 개정함에 따라 간호등급이 상향되어 발생하는 간호관리료 추가 수익금의 70% 이상을 간호사 처우개선 직접비용 및 간접비용으로 사용하도록 권고한다.
- 추가 수익그므이 50% 이상은 처우개선 직접비용으로 사용하고, 간호사 임금지급 서류상 ‘처우개선비’로 명시한다.
- 처우개선 간접비용은 4개 유형으로 복리후생지원(기숙사 운영비용, 건강검진, 근무복 지원 등), 보육지원(어린이집 비용 지원 등), 교육지원(교육비, 학자금 지원 등), 근무환경개선(시설 설비, 물품 구입 등)이다.
2) 직장 내 괴롭힘 관리 방안
– 직장 내 괴롭힘 : 사용자 또는 근로자가 직장에서의 지위 또는 관계 등 우위를 이용해 업무상 적정 범위를 넘어 다른 근로자에게 신체적, 정신적 고통을 주거나 근무환경을 악화시키는 행위
3) 직장 내 폭력 대응방안


* 출처 : 고용노동부(2017), 감정노동 종사자 건강보호 핸드북
– 직장 내 고충처리시스템 : 일부 의료기관에서는 괴롭힘이 발생한 경우에 신고하도록 온라인 창구를 개설하고, 담당자와 담당부서를 게시하고 있다.
- 현재 척수 손상을 고쳐버리는 장치 연구 근황
- Tooth-in Eye surgery (자신의 치아로 안구 대체하는 수술)
- 3일만에 태움 때문에 무단퇴사한 간호사
- 간호사의 요청에 초소형 기저귀 만들었다 (유한킴벌리의 응답)
- 의사랑 간호사는 사이가 좋을수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