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실습) 욕창 예방 및 관리

(간호실습) 욕창 예방 및 관리

욕창의 단계 및 특징

욕창 단계

– 1단계 발적과 부종 / 피부가 벗겨지지 않음

– 2단계 표피, 진피의 피부손상 / 피부가 벗겨짐

– 3단계 피하조직까지 침범

– 4단계 근육, 뼈의 손상

욕창 특징

욕창 1단계

특징: 발적 및 표피의 장애

욕창부의 보호를 위해 폐쇄성 드레싱(폴리우레탄 필름 -테가덤(tegaderm), 하이드로콜로이드 – 듀오덤(duoderm) 드레싱)을 사용한다.

2~3일 내에 치유될 수 있다.

욕창예방 간호중재를 지속한다.

심부조직손상이 의심되는 부위, 1단계 욕창발생 부위, 그리고 욕창발생 호발 부위는 체위변경 시와 드레싱 교환 시마다 재사정하여 기록한다.

욕창과 욕창치유과정을 사정하고 적어도 주 1회 욕창간호기록지에 해당 항목에 한하여 기록한다.

손상된 부위에 압력이 가해지는 체위를 피한다.

침대나 의자의 압력을 완화할 수 있는 적절한 지지도구(공기침요, 휠체어 쿠션, 매트리스 덧깔개 등)를 사용한다.

욕창 간호의 중요성을 환자와 가족에게 교육한다.

드레싱을 사용하지 않거나 필요시 폼 드레싱이나 투명필름 드레싱을 손상된 부위에 적용한다. 단, 심부조직 손상이 의심되는 경우는 투명필름 드레싱을 사용하지 않는다.​

욕창 2단계

특징: 표피결손과 같은 진피에 이르는 얕은 궤양

수포의 경우는 폴리우레탄 필름으로 덮어 보호한다.

미란이나 얕은 궤양인 경우에는 생리식염수로 세정(irrigation)한 후 하이드로콜로이드 드레싱을 한다.

치유되는 데 3일에서 3주가 걸릴 수 있다.

1단계 욕창 관리를 계속한다.

욕창과 욕창치유 과정을 사정하고, 적어도 주 1회 욕창간호기록지에 기록한다.

드레싱 교환 시 생리식염수나 상처 세척제를 사용하여 상처를 닦아낸다. 세균을 상처표면에서 물리적으로 제거하는 데는 소독제가 필요하지 않으며, 소독제를 사용하면 감염조절에는 효과가 있으나 섬유아세포나 백혈구의 활동을 저해한다.

주위 피부를 자연건조시킨 후 상태에 맞는 적절한 드레싱을 선택하여 적용한다.

삼출물이 소량인 경우 하이드로젤 적용 후 투명필름 드레싱이나 폼 드레싱으로 커버하거나 또는 하이드로콜로이드 드레싱(단, 염증증상이 없는 경우)을 적용한다. 투명필름 드레싱은 흡수력이 없으므로 거즈드레싱을 먼저 적용한 후 2차 드레싱으로 사용한다.

삼출물이 중정도에서 다량인 경우 폼 드레싱을 적용한다.

드레싱은 3일 간격으로 교환하며 삼출물의 양에 따라 조절한다.

드레싱이 벗겨지거나 오염되었을 경우 즉시 다시 교환한다.

욕창사정 및 중재에 대해 기록한다.

만약 욕창의 감염이 의심되거나 확인되면 즉시 보고하고, 적절한 드레싱(항균 드레싱)을 적용한다.

욕창 3단계

특징: 피하조직에 이르는 괴사와 중등도의 궤양

괴사가 있는 경우, 제거(외과적 절제, 단백분해효소제)한다.

감염을 일으키고 있는 경우에는 괴사조직 제거 후 생리식염수로 세정(2~3회/일)하고, 포비돈 요오드 겔을 붙여 육아조직의 신생을 기다리며 하이드로콜로이드 드레싱을 한다.

치료하는 데 최소 한 달, 최대 4개월이 걸릴 수 있다.

욕창 4단계

특징: 피하심부의 골 조직에 이르는 깊은 깊은 괴사와 궤양

보존적 치료는 곤란하며 외과적 치료(유경피판막, 근피판막)를 한다.

치유되는 데 3개월 이상, 수 년이 걸릴 수 있다.

욕창 3,4단계 포함 미분류 심부조직 손상단계

1단계 욕창간호를 계속한다.

적어도 주1회 욕창과 욕창치유 과정을 사정하고 욕창간호기록지에 기록한다.

드레싱 교환 시 생리식염수나 상처 세척제로 상처를 닦아낸다.

괴사 조직이 있는 경우 제거한다(각 의료기관의 지침에 따라 선택).

주위피부를 건조시킨 후 상태에 맞는 적절한 드레싱을 선택하여 적용한다.

괴사조직이 없고 삼출물이 소량인 경우: 하이드로겔을 포함한 드레싱을 적용한다.

괴사조직이 없고 삼출물이 중정도에서 다량인 경우: 하이드로화이버 혹은 폼 드레싱을 적용한다. 드레싱은 적어도 3일 간격으로 교환한다.

괴사조직이 있고 중정도에서 다량의 삼출액이 있는 경우; 괴사조직을 제거한 후(각 의료기관의 지침에 따라 시행) 알지네이트나 하이드로화이버 드레싱으로 사강을 채우고 투명필름 드레싱이나 폼 드레싱으로 커버한다. 드레싱 교환의 빈도는 삼출액의 양에 따라 결정한다.

드레싱이 벗겨지거나 오염되었을 경우 즉시 전체 드레싱을 다시 교환한다.

욕창 사정 및 중재에 대해 기록한다.

만약 욕창의 감염이 의심되거나 확인되면 즉시 보고하고, 적절한 드레싱(항균 드레싱)을 적용한다.

욕창 예방을 위한 간호 중재

피부 사정

– 대상자가 입원하고 8시간 내에 머리부터 발끝까지 피부시진을 해야 한다.

– 피부 사정은 온도, 색깔, 부종, 피부 무결성, 습도상태

압력감소/체위변경

– 부동은 욕창발생의 가장 중요한 위험요소이다.

– 부동을 가진 대상자는 욕창발생을 면밀히 관찰해야 한다.

• 튜브(tube)나 드레인(drain)

• 욕창이 있는 뼈 돌출부위는 피한다.

간호포인트 – 일부 노인의 경우에, 2시간맏다 자세를 변경하거나 더 자주 체위를 변경하더라도 압박궤양의 징후가 나타날 수도 있다.

지지면

실금관리

– 피부를 연화시키고 마찰로 인한 손상을 증가시켜 욕창발생에 영향을 준다.

• 실금이 있는 대상자는 기저귀나 속옷은 가능한 빨리 정리해준다.

영양관리

• 금기가 아닌 경우 정기적으로 수분섭취를 유지한다.

• 욕창환자는 단백질 섭취를 제공한다.

환자와 보호자 교육

– 욕창 예방을 위한 체위변경 교육

– 부동은 욕창의 가장 중요한 요소라는 것을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교육

• 요실금에 대해 보호자를 실금 발생 시 즉시 피부를 깨끗이 닦고 흡수패드나 팬티를 사용하도록 교육

• 정확한 체위변경 시범

욕창 치료

– 상처드레싱의 선택 기준

• 상처 표면을 촉촉하게 유지하는 능력

• 세균성 바이오버든을 해결할 능력

• 상처 삼출물의 양성과 양

• 욕창 주위 피부의 상태

• 욕창 크기, 깊이 및 해부학적 위치

yongyong

Recent Posts

몸에서 지방이 빠져나가는 과정

몸에서 지방이 빠져나가는 과정 그래서 지방은 태우기한다고 하나봐요 역시 숨쉬는것도 운동이였어 지방 10키로를 수분1.6키로, 이산화탄소 8.4키로로 만드는 변환과정은 왜 생략을하냐고!

5시간 ago

새벽 1시 넘어 자면 당뇨병 위험 최대 4배 증가 (솔방울샘 멜라토닌)

새벽 1시 넘어 자면 당뇨병 위험 최대 4배 증가 (솔방울샘 멜라토닌) 당뇨병 발생와 취침시간 관계…

5시간 ago

당뇨에 치명적인 습관

당뇨에 치명적인 습관 내용 반응 댓글 담배 안 피는데도 배 겁나 나왔는데 폈으면 무슨 세쌍둥이 임산부 될뻔 했네 지금은쌍둥이이신가봐요 근데 끊으면 즉각적으로 살 ㅈㄴ 찌는건 맞음 반년 내 10~15kg은 찐다봐야함 금단현상이 식욕으로 발생함 근데 문제는 뭐야 당연히 먹어도 해소가 안됨 내몸이 원하는건 니코틴이지 음식이 아니거든…

18시간 ago

간호사 직제 설명 (예시 – 대한민국 빅5 대학병원)

간호사 직제 설명 (예시 - 대한민국 빅5 대학병원) 대한민국 빅5 대학병원의 직제 예시는 다음과 같다.…

18시간 ago

간호사 유튜버가 말하는 차량 혈액형 스티커의 진실

간호사 유튜버가 말하는 차량 혈액형 스티커의 진실 내용 결론부터 말하면 아예 쓸모 없음 환자가 오면…

19시간 ago

밥 먹고 혈당 내리기 좋은 간단한 운동

밥 먹고 혈당 내리기 좋은 간단한 운동 식후 1시간 235 식후 1시간 30분 - 운동…

21시간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