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사정) 신체사정 기술과 장비
신체사정의 기본적 전문 사정 기술
기본 : 시진-촉진-타진-청진
복부사정시 : 시진-청진-타진-촉진
시진
- 대상자를 계획적이고 체계적으로 관찰하는 기술
- 대상자의 외양 조사와 신체 좌우 대칭을 비교하면서 시작
- 전체적인 관찰에서 세밀한 부분까지 시행
- 비판적 사고 기술 사용
- 예측되는 소견을 알아야 함
- 특별한 도구 필요 (예:검안경)
촉진
- 신체의 특별한 특징을 알아내기 위해 촉각을 통해 대상자를 사정하는 기술
- 크기, 모양, 위치, 어떤 부위의 운동성, 자세, 진동, 온도, 질감, 습도, 압통(tenderness)과 부종 포함
- 손가락 끝, 손가락 지문 부위, 손가락 기저부위, 손가락의
- 손바닥 면, 손의 바닥 면과 손등 부위와 척골 부위 사용
타진
- 손가락, 반사해머를 사용하여 신체 부위를 쳐서 측정 가능한 소리를 만든다.
- 타진 장기의 크기와 모양, 덩어리, 하부 조직이 단단한지, 액체나 공기로 채워져 있는지 알아내는데 사용
타진음
- 가스팽만음(tympany)
- 공명음(resonance)
- 과다공명음(hyper resonance)
- 둔탁음(dullness) 편평음(flatensss)
청진
- 신체에서 나는 소리를 듣는 기술
- 다른 도구 없이 듣는 것과 청진기를 사용하여 듣는 것 모두 이용
- 청진시 조용한 환경 필요
- 따뜻한 상태 유지
- 청진기술에 비판적 사고 이용
신체사정 기구와 장비
청진기
- 혈압,심음,호흡음,장음과 같은 소리를 듣는데 사용
- 판형 : 폐소리나 정상 심음같이 높은음을 듣기에 좋음
- 종형 :심장 잡음과 같이 낮은 음 찾는데 사용
도플러 초음파 청진기
- 태아 심음이나 말초 맥박과 같이 보통 청진기로 듣기 어려운 소리 찾기 위해 초음파 사용
- 음원의 거리가 짧을수록 높은음이, 거리가 멀수록 낮은 음이 발생
검안경
- 안구 내부 구조물을 시진하는데 이용
- 큰 조리개(동공), 작은 조리개(확장되지 않은 동공), 적색 여과 필터(시신경유두의 창백이나 출혈부위), 격자판(크기, 위치, 병변의 형태를 측정하는데 사용), 틈새(렌즈의 함몰이나 융기)
이경
- 외이의 구조물을 시진하는데 이용
- 검안경과 유사한 구조
- 빛, 렌즈, 다양한 크기의 반사경
- 대상자의 이도에 맞게 가장 큰 것 선택
전문적 책임
- 임상적 단서 : 부종, 멍, 최근의 낙상, 외상, 손상, 항응고제의 복용 등
- 비판적 사고 : 단서들과 다른 수집된 정보들의 해석에 이용
- 안전하고 편안한 환경 제공 : 환경, 준비, 사생활 보호, 검진시 고려사항, 특수 고려사항
- 비만 환자 사정시의 기술과 장비 표준주의 : 손 위생, 의료기구의 사용과 관리, 환자위험
- (정신건강간호학) 간호과정 01
- 수술실 조명에서 그림자가 생기지 않는 이유
- 연차별 간호사의 초점
- (성형외과) 히알루론산 필러 주사 6년 맞은 환자 MRI 그래픽 결과
- (약리학) 자율신경계 약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