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사정) 통증 사정

1. 통증의 정의

모든 사람이 어느 시기에 어떤 정도의 통증을 경험한다. 통증은 매우 주관적이며, 불쾌하고, 다른 사람과 함께 나눌 수 없는 지극히 개인적인 느낌이다.

2. 통증의 생리

통증 이론

특이성 이론의 개념들은 통증의 복잡성을 설명한다.

형태 이론에서는 비슷한 자극에도 각 개인은 다르게 반응할 것이라고 여겼다.

관문통제 이론에 따르면, 척추로 통증 자극을 전달하는 말초 신경 섬유는 뇌로 전달되기 전에 척수에서 통증에 대한 정볼르 변경시킬 수 있다.

관문통제 이론을 적용하면, 작은 반경의 신경 섬유는 이 관문을 통해서 통증 자극을 궁극적으로 뇌로 전달한다.

신경계

신경계는 개인이 통증 과정을 지각하도록 자극을 받아들여 해석해야만 한다.

어떤 방식으로 통증이 지각되고, 어느 수준으로 인식하는지는 신체진통계와 신경계의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지는 통증 자극의 전달과 해석에 달려있다.

통각

통증 지각과 관련 있는 생리적 과정을 통각이라고 하며, 통각에 관여하는 4가지 과정은 도입, 전달, 지각, 조절이 있다.

– 도입 : 도입 단계 동안, 조직 손상에 의해 생화학적 화학 매개체(프로스타글란딘, 브라디키닌, 세로토닌, 히스타민, 물질P)가 방출되는데, 이 물질들이 통각수용기를 자극한다.

– 전달 : 두 번째 과정인 통증 전달에는 통각이 포함되는데, 여기에는 다음 3단계가 있다. 첫 단계 동안, 통증 자극은 말초신경섬유로부터 척수까지 전달된다. 신경전달 물질인 물질P가 신경 스냅스를 가로질러 일차 구심성 신경원에서부터 척수 후각에 있는 이차 신경원까지 자극의 전달을 촉진한다.

– 지각 : 세 번째 관저인 지각 시기동안, 환자는 점차 통증을 인식하게 된다.

– 조절 : 4번째 과정인 조절은 일반적으로 “하행 체계”로 일컬어진다. 조절과정 동안, 뇌간의 신경원들은 척수 후각 뒤로 신호를 전달한다. 하행신경 섬유는 후각에서 상행하는 통증 자극을 차단할 수 있다.

통증에 대한 반응

통증 반응은 복잡한 과정이며 신체적, 정신적 측면 모두를 가지고 있다. 교감신경계 자극이 투쟁-도피 반응을 촉발한다. 신체가 통증에 적응하면서, 부교감신경계가 초기의 많은 신체적 반응을 바꾼다. 이런 통증에 대한 적응은 발생 몇 시간 또는 며칠 후에 나타난다. 실제 통증수용체는 통증에 거의 적응하지 못하고 지속적으로 통증 메시지를 전달한다.

개인은 통증을 관리하기 위해 진통제 투여, 마사지 그리고 운동과 같은 신체적 중재 방법을 찾기도 한다.

고유감각반사 또한 통증수용체의 자극과 함께 나타난다.

3. 통증의 특성

통증의 유형

질병, 상해 또는 수술 등이 회복되는 시기 동안만 지속되는 통증을 급성통증이라 하는데, 이는 갑자기 또는 서서히 발생하든, 통증 강도의 세기와 상관이 없다. 환자상태에 따라, 급성통증은 몇 분에서 몇 주까지 지속될 수 있지만, 보통 6개월을 넘기지 않는다. 만성통증은 보통 재발되거나 6개월 이상 지속되며, 일상의 기능도 방해하는 오래 지속되는 통증을 말한다.

표면성, 심부 또는 내장통으로 나눌 수 있다.

표면통증은 피부 또는 피하조직에서 시작되는데, 종이 베인 날카롭고 화끈거리는 통증이 한 예이다. 심부통증은 인대, 힘줄(건), 뼈, 혈관과 신경에서 나타나는데, 통증양상이 퍼지듯이 나타나며, 표면성 통증보다 오래 지속되는 경향이 있다. 내장통은 복강, 두 개내 그리고 흉부의 통증수용체 자극으로 유발되며, 이것도 퍼지듯이 나타나는 경향이 있으며

내장통증은 주로 조직의 신장, 허혈 또는 근육경련에 의해 발생하는데, 예를 들어, 장폐색이 내장통증을 초래할 수 있다.

방사통증은 근원지부터 그 주위 조직으로 뻗어나가는 것처럼 통증이 지각된다. 예를 들어, 흉통은 흉부에서뿐만 아니라 왼쪽 어깨와 팔 아래에서도 느낄 수 있다. 연관통증은 통증을 왼발 부위에서 상당히 떨어져 있는 다른 부위에서 느끼는 것

난치통증은 지극히 완화가 안 되는 통증을 말하는데, 한가지 예로 진행성 악성 종양의 통증dleek.

신경병성통증은 현재 또는 과거의 말초신경계 손상이나 중추신경계 손상으로 나타나며,

오래 지속되고, 불쾌하며, 타는 듯하고 둔하게 쑤시는 것과 같은 느낌으로 묘사할 수 있으며,

삼차신경통과 말초 신경병증이 있다.

환상통증은 절단 등으로 이미 없어진 부위나 척수 손상으로 마비가 된 부위에서 통증을 느끼는 것으로, 일종의 신경병성통증이다.

급성통증과 만성통증의 비교

급성통증만성통증
경미한 수준에서 심한 수준경미한 수준에서 심한 수준
교감신경계 반응- 맥박수 증가- 호흡수 증가- 혈압 상승- 발한- 동공산대부교감 신경 반응- 활력징후 정상- 건조하고 따뜻한 피부- 동공이 정상이거나 산대  
조직손상과 관련해서 발생 : 치유되면서 해결됨치유와 상관없이 지속됨
환자는 안절부절하고, 불안해보임환자는 우울하고 위축되어 보임
환자가 통증을 보고함환자는 주로 묻지 않으면 통증에 대해 말하지 않음
환자는 통증과 관련된 행동을 보임: 울기, 아픈 부위를 문지르거나 꼭 잡고 있기통증행동이 잘 보이지 않음

4. 통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생애주기에 따른 고려사항

환자의 나이와 발달 단계는 통증에 대한 반응과 표현 모두에 영향을 미친다. 과거 경험에 영향 받음

문화적 영향

인간의 통증에 대한 반응과 표현 모두에 인종/민족적 배경과 문화적 전통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

현재 간호사들은 과거보다 더 다양한 인종/민족, 문화적 배경을 가진 환자들을 간호하고 있기 때문에, 문화적으로 유능한 통증 간호를 제공해주기 위해 간호사들은 반드시 통증에 대한 자기 고유의 태도를 확인해야 한다.

환경적 고려사항

환경적 요인은 개인의 통증 완화 방법의 확인과 탐색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의미 있는 타인의 기대는 환자의 통증 지각과 반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어떤 환자는 자신의 환경에 따라 따른 환자들에 비해 통증을 더 잘 받아 들 일 것이다. 긍정적 결과와 관련 있는 환자는 놀랍게도 통증을 더 잘 견뎌낸다.

불안이 흔히 통증과 동반된다. 알지 못하는, 또는 조절할 수 없는 통증이나 통증 관련 사건들이 통증의 지각에 영향을 미친다.

5. 통증사정

정확하고 시의적절한 환자 사정은 효과적인 통증 관리에 필수적이다.

통증사정은 5번째 활력징후로 간주하고 있다.

간호사는 통증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생리적, 정신적, 행동적, 정서적 그리고 사회문화적 모든 요인을 사정해야 한다.

통증력

OLDCART와 ICE의 머리 글자

O = Onset 시작
L = Location 위치
D = Duration 지속시간
C = Characteritics 특징
A = Aggravating Factors 악화 요인
R = Relleving Factors 완화 요인
T = Treatment 치료
&
I = Impact on ADLs ADLs에 미치는 영향
C = Coping Strategies 대처방법
E = Emotional Response 감정반응

6. 사정 도구

단일차원 통증사정 도구

숫자-평정도구

신체 도표 도구

– 얼굴통증척도(FPS)

– 얼굴통증척도 개정판(FPS-R)

– Oucher 통증 척도

– Wong-Baker 얼굴통증평가척도

다차원적 통증사정 도구

다차원적 통증사정 도구는 통증의 두 가지 이상의 요소들을 조사하는데, 통증 강도 외의 요인들도 사정한다.

Mcgill 통증 설문지가 다차원적 통증사정 도구에 포함

yongyong

Share
Published by
yongyong

Recent Posts

(정신건강간호학) 간호과정 01

(정신건강간호학) 간호과정 01 자료출처 1차 자료 출처대상자와의 면담, 관찰2차 자료 출처- 환자의 가족, 친척, 친구,…

3시간 ago

수술실 조명에서 그림자가 생기지 않는 이유

수술실 조명에서 그림자가 생기지 않는 이유 무영등(無影燈, shadowless lamp)이라는 특수 조명을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10만 Lux…

5시간 ago

연차별 간호사의 초점

연차별 간호사의 초점 신규 간호사의 초첨 미숙한 업무 능력 불분명한 업무 경계 프리셉터와의 갈등 3년차…

5시간 ago

(성형외과) 히알루론산 필러 주사 6년 맞은 환자 MRI 그래픽 결과

(성형외과) 히알루론산 필러 주사 6년 맞은 환자 MRI 그래픽 결과 https://www.tiktok.com/@kamiparsamd/video/7390433025697533230

6시간 ago

(약리학) 자율신경계 약물

(약리학) 자율신경계 약물 신경계통 - 체내의 신호전달 및 조절을 담당 하나로 된 고도의 통합체 I.…

16시간 ago

(건강사정) 피부 모발 손발톱

(건강사정) 피부 모발 손발톱 1. 해부 · 생리 표피 피부의 외부를 구성하는 가장 바깥쪽 얇은…

19시간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