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건너뛰기

(건강사정) 호흡기계 01

(건강사정) 호흡기계

I 해부 생리 : 하부 호흡기의 구조

– 호흡기계 : 상부호흡기(코, 입, 부비동, 인두, 후두, 기관의 일부) + 하부호흡기계(기관의 말단부분, 기관지, 폐)

– 기관

  • 종격동에 위치, 목의 후두에서 내려와 주 기관지 말단에 연결, 길이 10~12cm, 지름 2.5cm
  • 앞쪽에서는 흉골각, 뒤쪽에서는 제3~5흉추에서 갈라짐, 16~20개의 윤상연골
  • 기관지분기점에서 점막이 기침을 통해 섬모, 점액 등을 제거

– 기관지 : 우측 주 기관지는 좌측 기관지보다 더 짧고 넓으며 수직으로 뻗어 있어 우측 폐로 들어가기 쉬움, 따뜻하고 촉촉한 공기를
폐포까지 호흡 따라 보냄

– 폐

  • 원추형 모양, 탄력성 있는 스펀지 같이 공기로 가득 차 있는 구조, 종격동의 양쪽 흉부의 흉막강 안에 위치(우측: 약간 더 크고 넓
    고 짧은 세 개의 엽으로 구성, 좌측: 길고 좁은 경향, 두 개의 엽)
  • 수많은 세기관지가 폐포관을 통해, 폐포낭과 폐포로 들어가 폐포관과 폐포 사이에서 가스 교환

– 흉막 : 흉막액을 벽측흉막과 장층흉막이 둘러싸고 있음, 폐가 부드럽게 확장되도록 도와줌

I 해부 생리 : 호흡과정

– 호흡과정은 흉부의 근육, 흉강의 구조, 공기가 신체 안으로 들어오고 나갈 수 있는 능력에 달려 있음

– 호흡근: 흡기시 내늑간근이 늑골 상승, 호기시 외늑간근이 늑골 하강, 목의 보조근육, 복부근육이 호흡주기 도움

– 흉곽: 뼈(흉골, 늑골,) 연골(늑연골), 흉부근육으로 구성

– 호흡주기: 흡기와 호기 2단계로 이루어짐

  • 흡기: 공기를 신체 안으로 들여보내기 위해 호흡근 수축, 흉부 확장, 폐포 압력 감소, 흉강내 음압 증가하는 능동적 단계
  • 호기: 폐는 움츠러 들고 공기가 폐로부터 나가는 수동적 단계

I 해부 생리 : 지표

– 수평한 지표 : 쇄골, 늑골, 늑간

– 흉골 : 가슴뼈, 흉골병+몸체+검상돌기

– 흉골상절흔(첫번째 지표), 흉골각(두번째 늑골)

– 검상돌기와 늑골 아래쪽 가장자리 삼각형 : 늑골각

I 해부 생리 : 지표-준거선

중앙흉골선

중앙쇄골선

전액와선

척수선

후액와선

견갑선

액와선

전액와선

후액와선

폐의 첨부 : 폐의 전방에서 쇄골의 안쪽 1/3 위로 2~4cm 확장, 후방에서 척추선과 중앙 견갑선 사이의 견갑골 상부에 위치

폐의 저부: 전면에서 중앙쇄골선과 6번째 늑간, 측면에서 중앙 액와선과 8번째 늑간, 후면에서 견갑선과 10번째 늑간

우폐 : 3개의 엽, 좌폐 : 2개의 엽, 후면에서 모든 부분이 하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