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사정) 호흡기계

I 해부 생리 : 하부 호흡기의 구조

– 호흡기계 : 상부호흡기(코, 입, 부비동, 인두, 후두, 기관의 일부) + 하부호흡기계(기관의 말단부분, 기관지, 폐)

– 기관

  • 종격동에 위치, 목의 후두에서 내려와 주 기관지 말단에 연결, 길이 10~12cm, 지름 2.5cm
  • 앞쪽에서는 흉골각, 뒤쪽에서는 제3~5흉추에서 갈라짐, 16~20개의 윤상연골
  • 기관지분기점에서 점막이 기침을 통해 섬모, 점액 등을 제거

– 기관지 : 우측 주 기관지는 좌측 기관지보다 더 짧고 넓으며 수직으로 뻗어 있어 우측 폐로 들어가기 쉬움, 따뜻하고 촉촉한 공기를
폐포까지 호흡 따라 보냄

– 폐

  • 원추형 모양, 탄력성 있는 스펀지 같이 공기로 가득 차 있는 구조, 종격동의 양쪽 흉부의 흉막강 안에 위치(우측: 약간 더 크고 넓
    고 짧은 세 개의 엽으로 구성, 좌측: 길고 좁은 경향, 두 개의 엽)
  • 수많은 세기관지가 폐포관을 통해, 폐포낭과 폐포로 들어가 폐포관과 폐포 사이에서 가스 교환

– 흉막 : 흉막액을 벽측흉막과 장층흉막이 둘러싸고 있음, 폐가 부드럽게 확장되도록 도와줌

I 해부 생리 : 호흡과정

– 호흡과정은 흉부의 근육, 흉강의 구조, 공기가 신체 안으로 들어오고 나갈 수 있는 능력에 달려 있음

– 호흡근: 흡기시 내늑간근이 늑골 상승, 호기시 외늑간근이 늑골 하강, 목의 보조근육, 복부근육이 호흡주기 도움

– 흉곽: 뼈(흉골, 늑골,) 연골(늑연골), 흉부근육으로 구성

– 호흡주기: 흡기와 호기 2단계로 이루어짐

  • 흡기: 공기를 신체 안으로 들여보내기 위해 호흡근 수축, 흉부 확장, 폐포 압력 감소, 흉강내 음압 증가하는 능동적 단계
  • 호기: 폐는 움츠러 들고 공기가 폐로부터 나가는 수동적 단계

I 해부 생리 : 지표

– 수평한 지표 : 쇄골, 늑골, 늑간

– 흉골 : 가슴뼈, 흉골병+몸체+검상돌기

– 흉골상절흔(첫번째 지표), 흉골각(두번째 늑골)

– 검상돌기와 늑골 아래쪽 가장자리 삼각형 : 늑골각

I 해부 생리 : 지표-준거선

중앙흉골선

중앙쇄골선

전액와선

척수선

후액와선

견갑선

액와선

전액와선

후액와선

폐의 첨부 : 폐의 전방에서 쇄골의 안쪽 1/3 위로 2~4cm 확장, 후방에서 척추선과 중앙 견갑선 사이의 견갑골 상부에 위치

폐의 저부: 전면에서 중앙쇄골선과 6번째 늑간, 측면에서 중앙 액와선과 8번째 늑간, 후면에서 견갑선과 10번째 늑간

우폐 : 3개의 엽, 좌폐 : 2개의 엽, 후면에서 모든 부분이 하엽

yongyong

Recent Posts

펜타닐을 복용한 여자

펜타닐을 복용한 여자 영상 반응 댓글 그냥 좀비네.. 에휴 남의 나라라고 외면할 일이 아니다 전…

1시간 ago

(건강사정) 간호자료의 수집 분석 기록 PQRSTU

(건강사정) 간호자료의 수집 분석 기록 PQRSTU 용어 주관적 자료objective data건강력 수집 동안 대상자 혹은 보호자가…

3시간 ago

몸에서 지방이 빠져나가는 과정

몸에서 지방이 빠져나가는 과정 그래서 지방은 태우기한다고 하나봐요 역시 숨쉬는것도 운동이였어 지방 10키로를 수분1.6키로, 이산화탄소 8.4키로로 만드는 변환과정은 왜 생략을하냐고!

9시간 ago

새벽 1시 넘어 자면 당뇨병 위험 최대 4배 증가 (솔방울샘 멜라토닌)

새벽 1시 넘어 자면 당뇨병 위험 최대 4배 증가 (솔방울샘 멜라토닌) 당뇨병 발생와 취침시간 관계…

9시간 ago

당뇨에 치명적인 습관

당뇨에 치명적인 습관 내용 반응 댓글 담배 안 피는데도 배 겁나 나왔는데 폈으면 무슨 세쌍둥이 임산부 될뻔 했네 지금은쌍둥이이신가봐요 근데 끊으면 즉각적으로 살 ㅈㄴ 찌는건 맞음 반년 내 10~15kg은 찐다봐야함 금단현상이 식욕으로 발생함 근데 문제는 뭐야 당연히 먹어도 해소가 안됨 내몸이 원하는건 니코틴이지 음식이 아니거든…

22시간 ago

간호사 직제 설명 (예시 – 대한민국 빅5 대학병원)

간호사 직제 설명 (예시 - 대한민국 빅5 대학병원) 대한민국 빅5 대학병원의 직제 예시는 다음과 같다.…

22시간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