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대상자의 호흡에 대해서 스스로 변화 여부 설명하도록 할 것
2. 호흡 방법 확인
3. 일반적 활동시 호흡양상 확인
4. 과격한 활동 또는 운동시 호흡양상 확인
5. 수면시 호흡 확인
6. 호흡에 영향을 주는 신체적 문제 확인
7. 가족 중에 호흡기 질환 또는 문제가 있는지 확인
1. 호흡기 질환의 진단 여부 확인
2. 현재 또는 과거 호흡기의 감염에 대한 경험 여부 확인
1. 기침의 경험에 대해서 확인
2. 체중 변화를 확인하고, 식이 확인
3. 가벼운 두통 또는 어지러운 적이 있었는지 확인
1. 흉부에 통증 경험 확인
1. 흡연 경험에 대해서 확인
2. 담배 외의 마리화나, 다른 허브 제품 흡입 또는 본드나 스프레이 페인트와 같은 화학 약품의 사용 여부 확인
3. 독감 또는 폐렴과 같은 호흡기 질환에 대한 예방접종 여부 확인
1. 아동의 지난 12개월 동안 감기 이환여부 확인
2. 호흡기 질환에 대한 예방접종 여부 확인
3. 가정 내 흡인 위험 요소 등을 확인
1. 숨이 가쁘거나 호흡곤란 경험을 확인
1. 자신이 경험하고 있는 호흡변화에 대해서 확인
2. 호흡기질환을 위한 예방접종 여부를 확인
1. 간헐적 또는 지속적인 불안 또는 감정적 흥분 경험 확인
2. 호흡기능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한 기구 또는 약물 확인
1. 알레르기에 관한 사항 확인
2. 호흡기 자극 물질(가스, 매연, 먼지, 보풀, 연기, 화학배기가스)에 노출 경험 확인
흉부의 전, 후면의 시진, 촉진, 타진, 청진의 순서로 시행
1. 속옷을 탈의하고 검사용 가운이나 천을 이용하여 흉부를 노출시킨 상태로 좌위
2. 흉부 구조를 시진하는 목적과 방법을 설명, 정상적으로 편하게 호흡하도록 함
3. 피부색을 관찰 – 창백, 청색증, 불그스름한 것, 발적 또는 회색은 좀 더 자세한 검사가 요구
4. 흉부 구조를 시진 – 같은 높이의 양측 쇄골, 중앙에 위치한 흉골, 늑골각은 90° 이하 척주측만증(scoliosis),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5. 흉부의 구조와 흉부의 움직임 대칭성 시진
6. 흉부 배열을 시진
1. 대상자에게 후방 흉부를 시진하는 목적과 방법을 설명하고, 정상적으로 편안하게 호흡하도록 설
2. 피부색을 관찰
3. 후방 흉부의 구조를 시진: 대칭성
4. 흉부의 구조와 흉부 움직임은 대칭적이어야 함
5. 호흡이 부드럽고 규칙적인지 관찰
1. 흉부의 여러 부분을 가볍게 ‘톡톡’ 치는 동안 고개를 앞으로 약간 숙이고 어깨를 둥글게 하는 자세를 취하도록 하며, 호흡은 정상적으로 하도록 지시
2. 폐 영역의 타진음을 확인
– 폐의 첨부에서 시작하여 양쪽 어깨의 윗면을 가로질러 정상적으로 공명되는 부위를 타진한다. 약 5cm정도의 간격으로 양쪽 늑간을 대칭적으로 타진해가며 아래쪽으로 내려간다.
3. 폐의 첨부에서 시작하여 양쪽 어깨의 윗면을 가로질러 약 5cm정도의 간격으로 양쪽 늑간을 대칭적으로 정상적으로 공명되는 부위를 타진(정상적인 폐-공명음)
– 폐기종(emphysema) 또는 기흉(pneumothorax)시 과공명 (hyperesonance)음
4. 횡격막의 운동범위를 확인(견갑선을 따라 타진해 내려가면서 공명음에서 둔탁음으로 변화하는 위치를 확인(그림 5.17A) 호기 시 횡격막의 위치를 의미
5. 숨을 깊게 들이 마신 후 참게 한 다음, 첫 번째 표시에서 아래로 타진하여 둔탁음으로 변화하는 위치를 표시, 그 차이를 측정(그림 5.17B). 횡격막의 운동범위는 3~5cm로 양측이 동일, 우측은 간의 위치 때문에 1~2cm 정도 높을 수 있음
– 횡격막 마비(diaphragmatic paralysis) 또는 올라간 쪽의 늑막 삼출액(pleural effusion), 폐기종(emphysema), 무기폐(atelectasis), 호흡부전(respiratory depression)에서 감소
1. 청진기의 판형을 사용, 청진방법은 타진방법과 같음
– 흡기와 호기 시 호흡음의 강도, 위치, 높이, 흡기와 호기의 비율, 특징에 따라서 각 소리를 분류
2. 타진하는 동안 취하였던 자세를 유지하며, 청진기가 닿을 때마다 입을 통해 호흡을 깊게 하도록 지시
3. 제7 경추(C7) 높이의 폐첨부로부터 폐저부까지(T10 주변), 측면에서는 액와에서부터 제7늑골 또는 제8 늑골까지 순서대로 청진
1. 청진할 때와 같은 자세를 유지, 대상자가 특정 단어, 문자 또는 숫자를 얘기하는 동안 흉벽을 통해서 소리를 들을 것이라고 설명
2. 성음(말에 의한 진동으로 만들어지고 흉벽 전체에서 들림)을 청진
3. 폐를 청진하였던 것과 같은 방법으로 성음 검사
– 기관지소리(bronchophony): 대상자에게 청진기를 흉벽에 댈 때마다 “나인티나인(ninety-nine)”을 말하라고 할 것. 폐경화(lung consolidation)시 좀 더 크고 분명하게 들림
– 염소울음소리(egophony): 청진기를 흉부에 대면 “이(E)”를 말하도록 함. 정상적으로 아주 작게 “이이이이”가 들리지만, 폐경화된 부위에서는 “아아아아이(aaaay)”처럼 들림
– 속삭임가슴소리(whispered pectoriloquy): 청진기를 흉부에 댈 때마다 “원(one), 투(two), 쓰리(three)”라고 속삭이도록 할 것. 정상적으로 아주 작게 들리지만, 폐경화 된 부위에서는 크고 분명하게 들림
1. 호흡확장을 촉진: 엄지가 중앙흉골선에 가깝게 해서 늑간 가장자리를 따라 손바닥면을 올려놓으며 대상자의 흉부 아래에 놓고 대상자에게 숨
을 들이 마시도록 한다.
2. 진동감을 촉진: “나인티나인(ninety-nine)” 또는 원(one), 투(two), 쓰리(three)”를 분명하게 큰 목소리로 반복하는 동안 검사
1. 흉부의 여러 부분을 가볍게 ‘톡톡’ 치는 동안 호흡은 정상적으로 하도록 요청
1. 청진기가 닿을 때마다 입을 통해 깊은 호흡을 하도록 설명
2. 기관을 청진(흉골상절흔 위에 있는 기관지부근 청진 시 기관음, 흉골상절흔-기관지음)
3. 폐의 첨부를 청진(쇄골의 위쪽에 있는 폐첨부 청진 : 폐포음)
4. 기관지를 청진(좌우 흉골의 가장자리와 2번째와 3번째 늑간에서 기관지를 청진 : 기관지 폐포음)
5. 폐를 청진(타진과 같은 방법으로 양옆으로 옮기면서 소리를 비교, 6번째 늑간까지 내려오고 측면으로 중앙액와선까지 청진 : 폐포음)
몸에서 지방이 빠져나가는 과정 그래서 지방은 태우기한다고 하나봐요 역시 숨쉬는것도 운동이였어 지방 10키로를 수분1.6키로, 이산화탄소 8.4키로로 만드는 변환과정은 왜 생략을하냐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