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건너뛰기

고관절 전치환술 환자의 수술 전후 간호

고관절 전치환술 환자의 수술 후 간호

1. 인공관절 치환술 개요

  • 부분 인공관절 치환술(Partial arthroplasty): 대퇴골두만 또는 비구컵만 대치.
  • 고관절 전치환술(THR): 대퇴두부와 비구 모두를 인공관절로 대체.
  • 적응증: 만성 관절염,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 외상 등.
  • 고정 방법: Plastic cement 사용 or 골조직 이식 후 대퇴부 간부와 연결.

2. 수술 전 간호

  • 운동 교육: 대퇴사두근·둔부 근육 힘주기 운동, 고관절 신전·외전 운동.
  • 보행 훈련: 목발·보행기 사용법 미리 교육.
  • 위생 관리: 수술 부위 면도 및 세척.
  • 약물 준비: 수술 전 항생제 정맥 투여(감염 예방).
  • 심리적 준비: 수술·재활 과정 설명, 환자의 적극적 참여 동기화.

3. 수술 직후 간호

  • 체위: 고관절 약 15° 외전 유지(외전 베개, 모래주머니 사용).
  • 탈구 예방: 내전·과도한 굴곡·회전 금지, 발끝 중립자세 유지.
  • 운동: 둔부 힘주기 운동, 등척성 운동 시작.
  • 혈전 예방: 탄력붕대, 조기이상, 발목 운동.
  • 배액 관리: Hemovac 확인, 출혈·감염 관찰.
  • 약물: 항생제 투여로 감염 예방, 진통제 투여.

4. 수술 후 1일차

  • 운동: 제한된 범위 내 침상 운동 시작.
  • 호흡 관리: 기침, 심호흡, 습도 유지.
  • 근육 강화: 대퇴사두근·둔부근 등척성 운동.
  • 조기이상 준비: 환자 상태 따라 2–3일 또는 1–3주 후 목발 보행 시작.

5. 수술 후 2일차

  • 체위: 침상 가장자리나 의자에 반좌위(20–30분 제한).
  • 예방: 베개로 다리 사이 벌려 내전·내회전 방지.
  • 보행 훈련: 젊은 환자 → 4점 목발 보행 / 노인 → 보행기 사용.

6. 퇴원 계획 및 교육

  • 퇴원 기준: 침대에서 혼자 일어나기, 평지 보행, 계단 2–3개 오르기 가능 시.
  • 가정 교육
    • 고관절 탈구 예방: 내전 금지, 90° 이상 굴곡 금지, 양반다리 금지.
    • 일상 주의: 낮은 변기·낮은 의자 피하기, 팔걸이 없는 의자 피하기.
    • 보조도구 활용: 집게·신발 신기 도구 사용, 허리 굽히지 않기.
    • 생활 제한: 6주간 성생활·운전 금지, 3개월간 과도한 굴곡·내회전 금지.
    • 운동: 점진적 보행 훈련, 상지 근육 강화, 호흡운동.

7. 수술 후 장기 간호

  • 6주 후: 높은 변기 사용, 샤워 가능, 성생활 가능(바람직한 자세 안내), 목발 → 지팡이 전환.
  • 12주 후: 직장 복귀 가능. 허리 굽히는 활동, 수영·자전거·골프 등은 제한(탈구 위험).

핵심 요약

  • 수술 전: 근육 강화, 보행기 교육, 항생제 투여
  • 수술 직후: 외전 유지, 탈구·혈전·감염 예방, 조기 운동 시작
  • 수술 1–2일: 등척성 운동, 반좌위 앉기, 보행 훈련 시작
  • 퇴원 후: 탈구 예방 교육, 보조도구 사용, 일상생활 주의사항 숙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