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나트륨혈증 – 저나트륨혈증 – 고칼륨혈증 – 저칼륨혈증 – 고칼슘혈증 – 저칼슘혈증
고나트륨혈증 – 저나트륨혈증
항목 | 고나트륨혈증 (Hypernatremia) | 저나트륨혈증 (Hyponatremia) |
정의 | 혈중 나트륨 농도가 145mEq/L 이상인 상태. 체내 수분 손실이 나트륨 손실보다 클 때 발생. | 혈중 나트륨 농도가 135mEq/L 이하인 상태. 체내 수분이 과다하거나 나트륨이 과소할 때 발생. |
원인 | – 수분 섭취 부족 (노인, 의식 저하 환자 등) – 수분 손실 증가: 발열, 발한, 구토, 설사 – 삼투성 이뇨: 당뇨병성 케톤산증, 만성 신부전 – 나트륨 과다 섭취: 고장성 수액(3% NaCl) 과다 투여 – 기타: 호르몬 이상 (예: 쿠싱증후군) | – 과도한 수분 섭취 (심리적 음수증, 급속 정맥수액 투여) – ADH 과다 분비: SIADH (항이뇨호르몬 부적절 분비 증후군) – 신증후군, 간경변, 심부전 등으로 인한 체액 저류 – 이뇨제 사용 (티아지드계) – 구토, 설사 등으로 인한 나트륨 소실 |
증상 | – 신경계 증상: 의식 혼미, 방향감각 상실, 초조, 발작, 혼수 – 탈수 증상: 구강 건조, 피부 탄력 저하, 저혈압, 빈맥 – 기타: 고체온, 심한 갈증 | – 초기: 오심, 구토, 식욕부진, 근육 약화 – 중등도: 두통, 집중력 저하, 언어장애 – 중증: 발작, 혼수, 뇌부종 → 심정지 가능성 |
치료 및 간호 | 🔹 원인 제거: 탈수 유발 요인 확인 및 해결 🔹 수분 공급: – 경구 수분 섭취 – 정맥 내 저장성 수액 (D5W, 0.45% NaCl) 🔹 나트륨 농도 서서히 감소: 급속히 낮추면 뇌부종 위험 🔹 의식 상태 및 신경학적 변화 모니터링 🔹 I/O 측정, 체중 측정 🔹 피부, 점막 상태 확인 | 🔹 수분 제한: 특히 SIADH 환자 🔹 정맥 수액 치료 – 증상이 경미할 경우: 0.9% 생리식염수 – 중증 저나트륨혈증: 3% 고장성 식염수 (주의 깊게 투여) 🔹 이뇨제 중단 or 조절 🔹 의식 상태, 전해질 수치 모니터링 🔹 체중, I/O 측정, 뇌부종 증상 확인 |
고칼륨혈증 – 저칼륨혈증
항목 | 고칼륨혈증 (Hyperkalemia) | 저칼륨혈증 (Hypokalemia) |
정의 | 혈청 칼륨 농도가 5.0mEq/L 이상인 상태 | 혈청 칼륨 농도가 3.5mEq/L 이하인 상태 |
원인 | 🔹 칼륨 배설 저하 – 급성 또는 만성 신부전 – 칼륨 보존성 이뇨제(spironolactone 등) 🔹 세포 외로의 칼륨 이동 – 조직 파괴 (외상, 화상, 용혈 등) 🔹 과도한 칼륨 섭취 (드물게) 🔹 약물: ACE 억제제, ARB, NSAIDs | 🔹 칼륨 손실 증가 – 소화기계: 구토, 설사, 위장관 흡인 – 신장: 이뇨제(Loop, Thiazide) 🔹 세포 내로의 칼륨 이동 – 인슐린 과잉 – 알칼리증 🔹 불충분한 섭취 (영양 부족, 금식 등) |
증상 | – 근육 약화, 무기력감 – 사지 감각 이상 – 심한 경우 호흡 근육 마비 – 부정맥, 심정지 위험 | – 근육 경련, 쇠약 – 무기력감, 변비 – 호흡 곤란 (횡격막 약화) – 부정맥, 심정지 위험 |
EKG 변화 | 🔺 높고 뾰족한 T파 🔻 넓어진 QRS 🔺 PR 간격 연장 ❌ 심한 경우 심실세동, 심정지 | 🔻 평탄한 T파 🔺 U파 출현 🔺 ST 분절 저하 🔻 PR 간격 연장, QT 연장 |
치료 및 간호 | 🔹 심장 보호: 칼슘 글루코네이트 IV 투여 🔹 칼륨 이동 유도 – 인슐린 + 포도당 – 베타작용제(Albuterol) 🔹 칼륨 배출 촉진 – 이뇨제(Furosemide) – Kayexalate(구강/직장) – 투석 (중증 시) 🔹 식이 칼륨 제한 🔹 심전도 모니터링 필수 | 🔹 칼륨 보충 – 경구 칼륨제 (KCl 등) – 정맥 주입 시 반드시 희석 후 천천히 주입 (10–20 mEq/hr 이하) 🔹 칼륨 손실 원인 교정 (이뇨제 조절 등) 🔹 식이 보충: 바나나, 감자, 오렌지 등 고칼륨 식품 섭취 🔹 심전도 및 전해질 수치 모니터링 🔹 장기적 원인 확인: 내분비 이상 등 |
항목 | 고칼륨혈증 | 저칼륨혈증 |
심전도 특징 | 뾰족한 T파, 넓은 QRS | 평평한 T파, U파 |
위험 | 심정지, 부정맥 | 근육 약화, 부정맥 |
응급 조치 | 칼슘 글루코네이트, 인슐린+포도당 | 정맥 칼륨 보충 (천천히) |
고칼슘혈증 – 저칼슘혈증
항목 | 고칼슘혈증 (Hypercalcemia) | 저칼슘혈증 (Hypocalcemia) |
정의 | 혈중 칼슘 농도 11mg/dL 이상 (또는 이온화 칼슘 >5.5mg/dL) | 혈중 칼슘 농도 9mg/dL 이하 (또는 이온화 칼슘 <4.5mg/dL) |
원인 | 🔹 부갑상선 기능항진증 (가장 흔함) 🔹 악성 종양 (뼈 전이, PTHrP 분비) 🔹 장기적 이뇨제 사용 (thiazide) 🔹 비타민 D 과잉 🔹 장기간 부동 상태 🔹 대사성 산증 | 🔹 부갑상선 기능저하증 🔹 급성 췌장염 🔹 신부전 🔹 비타민 D 결핍 🔹 수혈 (시트르산이 칼슘과 결합) 🔹 저알부민혈증 (총칼슘 감소) 🔹 알칼리증 |
증상 | 🔹 신경근계 억제 증상 – 근육 약화, 무기력, 피로 🔹 정신신경 증상 – 혼돈, 졸림, 우울, 심한 경우 혼수 🔹 GI 증상 – 구토, 복통, 변비 🔹 신장: 다뇨, 탈수, 신결석 🔹 심장: 부정맥, QT 간격 단축 | 🔹 신경근 흥분 증가 – 사지저림, 경련, 테타니 (근육 강직) 🔹 특징적 징후 – Chvostek’s sign (안면근 수축) – Trousseau’s sign (혈압 커프로 수축 유발) 🔹 심장: 부정맥, QT 간격 연장 🔹 호흡근 약화: 호흡 곤란 |
간호 | 🔹 의식 상태, 신경계 상태 관찰 🔹 수분 섭취 격려 (신장 배설 촉진) 🔹 체위 변경으로 골절 예방 🔹 근육 약화와 탈수 모니터링 🔹 고칼슘 식이 제한 (유제품, 칼슘 보충제) | 🔹 Chvostek, Trousseau’s sign 관찰 🔹 경련 예방, 낙상 방지 🔹 기도 유지 (호흡근 경련 위험) 🔹 칼슘 수치 정기적 확인 🔹 저칼슘 식이 보충 유도 |
치료 | 🔹 수액 치료: 생리식염수 + loop 이뇨제(furosemide) 🔹 칼시토닌: 뼈로 칼슘 이동 유도 🔹 비스포스포네이트: 종양성 고칼슘혈증에 사용 🔹 부갑상선 절제술 (원인일 경우) 🔹 투석 (신부전 동반 시) | 🔹 칼슘 보충 – 경구 칼슘제 (CaCO₃ 등) – 정맥 칼슘 글루코네이트 (증상 심할 경우) 🔹 비타민 D 보충 🔹 저마그네슘혈증 동반 시 Mg 보충 🔹 원인 질환 치료 (부갑상선, 신장 등) |
구분 | 고칼슘혈증 | 저칼슘혈증 |
신경계 영향 | 억제 → 졸림, 근력저하 | 흥분 → 경련, 테타니 |
심전도 | QT 단축 | QT 연장 |
응급징후 | 혼수, 심부정맥 | Chvostek, Trousseau’s sign, 발작 |
주요 간호 포인트 | 수분 섭취, 낙상 예방 | 기도 유지, 경련 예방 |
- 고나트륨혈증 – 저나트륨혈증 – 고칼륨혈증 – 저칼륨혈증 – 고칼슘혈증 – 저칼슘혈증
- (성인간호학) 고혈압 02 약물
- 호흡성 산증 – 대사성 산증 – 호흡성 알칼리증 – 대사성 알칼리증
- (성인간호학) 고혈압 01
- (성인간호학) 혈관계 건강문제와 간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