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간호학) 배뇨 01
I. 배뇨의 개요
1. 배뇨의 구조와 기능
1) 신장과 요관
– 열두 번째 허리뼈(요추, thoracic vertebra)와 세 번째 허리뼈 사이에 있고 오른쪽 신장이 간의 위치 때문에 왼쪽 신장보다 1cm가량 더 낮게 위치한다.
– 신장의 주요 기능
① 요산, 요소, 크레아티닌 등의 노폐물(단백질 부산물)을 제거
② 약품이나 음식을 통해 섭취되었던 화학첨가물을 배설
③ 수분과 전해질 균형을 조절하는 것
④ 레닌-안지오텐신 체계는 혈압 조절에 중요한 역할
⑤ 적혈구형성호르몬은 적혈구 생성에 기여
– 신장은 사구체의 여과, 신세관(세뇨관, retal tube)의 재흡수와 분비를 거쳐 하루 약 1,500mL의 소변을 생성한다.
2) 방광(bladder)
– 소변을 저장하고 배설하는 근육으로 된 기관
– 용적 : 300~600mL 정도
– 방광근육은 자율신경계에 의해 조절되는데, 교감신경이 자극을 받으면 방광근육이 이완되고 속조임근이 수축. 부교감신경이 자극을 받으면 방광근육이 수축되고 속조임근이 이완되어 소변을 배출
– 배뇨를 직접 담당하는 것 : 부교감신경
– 방광내압이 방광벽에 있는 늘임수용기를 자극할 정도로 높아지면 요의를 느끼고 배뇨반사와 함께 방광수축이 일어나 방광내압을 높이는 동시에 뼈대근육(골격근)으로 구성된 바깥요도조임근(외요도괄약근)을 자발적(수의적)으로 이완시켜 소변을 배출
3) 요도(urethra)
– 바깥요도조임근 : 마음대로근(수의근)
– ★ 여성은 요도 길이가 짧고 항문과 질 근접부위에 요도가 있어 비뇨계 감염의 위험성을 증가시킨다.
2. 배뇨의 기전
– 아동은 50~200mL, 성인은 250~450mL의 소변이 모이면 방광벽의 늘임수용기가 자극되어 요의를 느낀다. 배뇨가 시작되면 배뇨근이 수축하고, 속조임근이 이완 → 회음부의 근육과 바깥조임근의 이완, 복벽근의 수축, 가로막(횡경막)의 하강 → 배뇨
– 배뇨는 정상적으로 무통과정이며, 자발적 조절은 배뇨의 시작, 억제, 중지의 작용이다.
–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 소변의 비자발적 배출은 요실금과 관련 있다.
– 질병이나 손상으로 중추신경계가 방광을 조절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반사적으로 배뇨한다. 이런 상태를 자율방광이라 한다.
3. 배뇨의 빈도
– 하루의 첫 소변은 오랜 시간 동안 신장 노폐물이 축적된 것이기 때문에 이 소변은 특정 검사의 검사물로 사용되기도 혹은 사용되지 않기도 한다.
– 습관적으로 배뇨횟수가 적은 사람은 최소 3~4시간마다 배뇨하는 사람보다 더 많은 비뇨계 감염과 신장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방광 내에서 소변의 정체는 박테리아 성장에 좋은 환경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II. 배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 성장발달단계
– 대부분 2~5세 사이에 배뇨조절 능력이 발달한다. 낮 동안이 밤 시간보다 배뇨조절 능력이 좋으며, 일반적으로 여야가 남아보다 조절 능력이 일찍 발달한다.
– 밤에 소변을 보기 위해 깨어나는 것이 드물어지는데, 이는 신장이 소변을 농축할 수 있고, 감소된 신장 혈액 흐름의 결과로 밤에 소변을 덜 생산하기 때문이다.
2. 배뇨훈련
– 배뇨훈련은 보통 2~3세 정도에 시작한다. 배뇨조절이 나타나야 하는 나이가 지난 후에 비자발(불수의)적 배뇨가 발생하는 것을 유뇨증(enuresis)이라 하는데, 유뇨증은 3세 아동의 약 40%에서 나타나며, 6세까지는 의학적인 문제로 보지 않는다.
– 배뇨훈련은 변기에 앉기 전에 배뇨를 조절하고 배뇨에 대한 욕구를 표현할 수 있을 때 실시해야 한다.
3. 노화
– 정상적인 노화(aging)에 따른 생리적 변화가 다음과 같이 노인의 배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소변을 농축하는 신장 기능의 감퇴로 야간뇨(야뇨증, nocturia)가 발생할 수 있다.
• 방광근육긴장도 감소로 방광용량이 감소하고 빈뇨가 증가한다.
• 방광수축력의 감소는 요저류(요정체)를 일으켜 비뇨계 감염 가능성을 증가시킨다.
• 노인이 건강 문제로 처방받은 약물이 방광 기능을 방해할 수 있다.
4. 음식과 수분
– 신체에 수분이 부족하면 신장이 수분을 재흡수하고, 생성된 소변은 좀 더 농축되어 양이 줄어든다. 반대로 수분이 많아지면, 신장은 다량의 묽은 소변을 배출한다. 카페인이 첨가된 음료(콜라, 커피, 차 등)와 알코올은 이뇨효과가 있어 소변 생성을 증가시키고, 항이뇨호르몬의 방출을 억제한다.
– 염분이 많은 음식이나 음료는 수분과 염분의 재흡수와 정체를 일으켜 소변 생성을 감소시킨다.
5. 활동과 근긴장도
– 규칙적인 운동을 하면 신진대사가 활발해지고 소변 생성과 배뇨가 잘 이루어진다. 그러나 부동상태가 계속되면 방광과 조임근의 긴장도가 저하되어 배뇨조절이 잘 되지 않고 요저류(요정체)가 발생하기도 한다. 유치도뇨관을 가진 사람은 방광에 소변이 차지 않아 방광근육이 늘어나지 않기 때문에 방광근육의 긴장도를 상실하게 된다.
6. 질병
– 열이나 발한이 있을 때는 소변 생성이 줄어들고 소변이 농축되어 신장에 의한 체액 보존이 이루어진다.
7. 약물
– 이뇨제는 신세관(세뇨관)에서 수분이나 특정 전해질의 재흡수를 방해한다. 또한 이뇨제는 묽은 소변의 생성과 배출을 증가시킨다. 콜린성 약물은 배뇨근의 수축을 자극하여 배뇨하도록 작용한다. 중추신경계를 억제하는 진통제와 진정제는 신경반사의 효과를 감소시켜 배뇨를 방해할 수 있다.
III. 배뇨 문제
1. 무뇨(anuria)
– 24시간의 배뇨량이 50mL 미만인 경우
2. 소변감소(핍뇨, oliguria)
– 비정상적으로 수분손실이 일어나 하루의 소변량이 500mL 미만이거나 시간당 소변량이 30mL 미만인 경우
3. 다뇨(polyuria)
– 신장에서 소변이 정상소변량보다 더 많이 생산되는 것으로, 하루 3,000mL 이상 배뇨하는 경우
4. 빈뇨(urinary frequency)
– 배뇨 횟수가 비정상적으로 잦은 경우(하루 4~6회 이상)
5. 유뇨증(enuresis)
– 배뇨를 스스로 조절할 나이인 4~5세가 지났는데도 소변을 가리지 못하는 경우
6. 야간뇨(야뇨증, nocturia)
– 밤에 두 번 이상 배뇨하는 경우
7. 절박뇨(urinary urgency)
– 급하게 강한 배뇨욕구를 느껴 소변량과 관계없이 즉시 배뇨해야 할 것 같은 경우
8. 배뇨통(배뇨장애, dysuria)
– 배뇨 시 통증을 느끼거나 배뇨가 힘든 경우
9. 단백뇨(proteinnuria)
– 소변에서 단백질이 과도하게 섞여 나오는 경우
10. 당뇨(glocosuria)
– 소변에 당이 존재하는 경우
11. 요실금(urinary incontinence)
– 조임근(괄약근)의 기능약화나 기능상실 및 배뇨조절의 상실로 인하여 소변이 비자발(불수의)적으로 새는 경우
– 요실금의 유형 (표 22-2)
- 비병리적 상태에서의 요실금
- 스트레스요실금, 복압요실금(긴장성 요실금)
- 절박요실금(긴박성 요실금) – 절박뇨
- 반사요실금
- 범람실금
12. 요저류(요정체, urinary retention)
– 방광을 비우는데 문제가 생겨 소변이 정체되고 이로 인하여 방광이 과도하게 팽창하는 경우
IV. 간호사정
1. 소변 사정
1) 잔뇨량 측정
– 잔뇨량은 배뇨 후 방광에 남아 있는 소변량으로 정상 잔뇨량은 50~100mL 이하이다.
– 대상자가 배뇨를 한 직후 도뇨관을 삽입하거나 방광스캐너를 이용하여 비침습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 정상소변의 특성 (표 22-4)
특징 | 정상 | 해석 |
색깔 | 농도에 따라 옅은노란색, 호박색 | 소변이 부족하거나 농축된 경우는 정상보다 짙음 |
냄새 | 은은한 향 | 감염된 소변은 악취가 남 |
혼탁도 | 배뇨 직후 소변은 맑거나 투명함 | 탁하면 비정상 |
pH | 4.6~8.0 | pH 수준은 산의 균형을 나타냄. 정체된 소변은 세균성장에 좋은 알칼리성이 됨. |
단백질 | 8 mg 이하/100mL | 단백질은 일반적으로 소변에 나타나지 않음.격렬한 운동 후, 추운 날씨에 노출되거나 심리적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
포도당 | 정상적으로 나타나지 않음 | 당뇨대상자 |
케톤 | 정상적으로 나타나지 않음 | |
혈액 | 2개 이하의 적혈구 | |
요비중 | 1.010~1.025 |
4. 소변검사물 수집 방법
1) 일반소변검사(urinalysis)
– 멸균 소변 검사물은 필요하지 않다.
– 소변이 대변으로 오염되는 것을 피해야 한다. 생리 중인 여성의 소변검사물은 소변에서 적혈구가 나타나므로 검사실 용지에 기록해야 한다.
– 여성 대상자들에게 소변 본 후 휴지를 넣으면 검사가 어렵다는 것을 교육한다.
– 소변검사물을 수집하거나 다룰 때는 지침서에 따라 엄격하게 무균술을 사용한다.
– 소변은 양상(apperance)과 화학적 변화가 있을 수 있으므로 수집한 검사물을 오랜 시간 실온에 두지 말고 바로 검사실로 보낸다. 만일 검사물을 즉시 검사실로 보낼 수 없다면 냉장고에 보관한다.
2) 중간뇨 검사물
– 처음에 배출된 소변은 요도구멍 근처의 미생물을 흘려보내는 것을 도와주는데, 만일 이 미생물이 검사물 속에 들어간다면 소변분석 결과가 부정확해지기 때문이다.
– 남성의 경우 깨끗한 중간뇨 검사물이 무균상태이다. 여성의 경우 무균적인 소변검사물을 얻기 위해서는 도뇨를 해야 한다.
3) 유치도뇨관에서 멸균검사물 채취
– 멸균 소변검사물은 방광에서 도뇨하거나 유치도뇨관에서 검사물을 뽑아낼 수 있다.
– 소변주머니의 소변은 신선한 소변이 아닐 수 있어 부정확한 분석이 될 수 있으므로 검사물을 채취할 때는 무균법으로 행해야 한다.
4) 24시간 소변검사물 수집
– 시작시간의 첫 소변은 버리고 다음 24시간 동안 배설된 소변의 전부를 모은다. 전날 시작했던 특정 시간을 확인하고 마지막 소변까지 모아서 모든 소변검사물을 검사실로 보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