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간호학) 배뇨 01

I. 배뇨의 개요

1. 배뇨의 구조와 기능

1) 신장과 요관

– 열두 번째 허리뼈(요추, thoracic vertebra)와 세 번째 허리뼈 사이에 있고 오른쪽 신장이 간의 위치 때문에 왼쪽 신장보다 1cm가량 더 낮게 위치한다.

– 신장의 주요 기능

① 요산, 요소, 크레아티닌 등의 노폐물(단백질 부산물)을 제거

② 약품이나 음식을 통해 섭취되었던 화학첨가물을 배설

③ 수분과 전해질 균형을 조절하는 것

④ 레닌-안지오텐신 체계는 혈압 조절에 중요한 역할

⑤ 적혈구형성호르몬은 적혈구 생성에 기여

– 신장은 사구체의 여과, 신세관(세뇨관, retal tube)의 재흡수와 분비를 거쳐 하루 약 1,500mL의 소변을 생성한다.

2) 방광(bladder)

– 소변을 저장하고 배설하는 근육으로 된 기관

– 용적 : 300~600mL 정도

– 방광근육은 자율신경계에 의해 조절되는데, 교감신경이 자극을 받으면 방광근육이 이완되고 속조임근이 수축. 부교감신경이 자극을 받으면 방광근육이 수축되고 속조임근이 이완되어 소변을 배출

– 배뇨를 직접 담당하는 것 : 부교감신경

– 방광내압이 방광벽에 있는 늘임수용기를 자극할 정도로 높아지면 요의를 느끼고 배뇨반사와 함께 방광수축이 일어나 방광내압을 높이는 동시에 뼈대근육(골격근)으로 구성된 바깥요도조임근(외요도괄약근)을 자발적(수의적)으로 이완시켜 소변을 배출

3) 요도(urethra)

– 바깥요도조임근 : 마음대로근(수의근)

– ★ 여성은 요도 길이가 짧고 항문과 질 근접부위에 요도가 있어 비뇨계 감염의 위험성을 증가시킨다.

2. 배뇨의 기전

– 아동은 50~200mL, 성인은 250~450mL의 소변이 모이면 방광벽의 늘임수용기가 자극되어 요의를 느낀다. 배뇨가 시작되면 배뇨근이 수축하고, 속조임근이 이완 → 회음부의 근육과 바깥조임근의 이완, 복벽근의 수축, 가로막(횡경막)의 하강 → 배뇨

– 배뇨는 정상적으로 무통과정이며, 자발적 조절은 배뇨의 시작, 억제, 중지의 작용이다.

–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 소변의 비자발적 배출은 요실금과 관련 있다.

– 질병이나 손상으로 중추신경계가 방광을 조절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반사적으로 배뇨한다. 이런 상태를 자율방광이라 한다.

3. 배뇨의 빈도

– 하루의 첫 소변은 오랜 시간 동안 신장 노폐물이 축적된 것이기 때문에 이 소변은 특정 검사의 검사물로 사용되기도 혹은 사용되지 않기도 한다.

– 습관적으로 배뇨횟수가 적은 사람은 최소 3~4시간마다 배뇨하는 사람보다 더 많은 비뇨계 감염과 신장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방광 내에서 소변의 정체는 박테리아 성장에 좋은 환경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II. 배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 성장발달단계

– 대부분 2~5세 사이에 배뇨조절 능력이 발달한다. 낮 동안이 밤 시간보다 배뇨조절 능력이 좋으며, 일반적으로 여야가 남아보다 조절 능력이 일찍 발달한다.

– 밤에 소변을 보기 위해 깨어나는 것이 드물어지는데, 이는 신장이 소변을 농축할 수 있고, 감소된 신장 혈액 흐름의 결과로 밤에 소변을 덜 생산하기 때문이다.

2. 배뇨훈련

– 배뇨훈련은 보통 2~3세 정도에 시작한다. 배뇨조절이 나타나야 하는 나이가 지난 후에 비자발(불수의)적 배뇨가 발생하는 것을 유뇨증(enuresis)이라 하는데, 유뇨증은 3세 아동의 약 40%에서 나타나며, 6세까지는 의학적인 문제로 보지 않는다.

– 배뇨훈련은 변기에 앉기 전에 배뇨를 조절하고 배뇨에 대한 욕구를 표현할 수 있을 때 실시해야 한다.

3. 노화

– 정상적인 노화(aging)에 따른 생리적 변화가 다음과 같이 노인의 배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소변을 농축하는 신장 기능의 감퇴로 야간뇨(야뇨증, nocturia)가 발생할 수 있다.

• 방광근육긴장도 감소로 방광용량이 감소하고 빈뇨가 증가한다.

• 방광수축력의 감소는 요저류(요정체)를 일으켜 비뇨계 감염 가능성을 증가시킨다.

• 노인이 건강 문제로 처방받은 약물이 방광 기능을 방해할 수 있다.

4. 음식과 수분

– 신체에 수분이 부족하면 신장이 수분을 재흡수하고, 생성된 소변은 좀 더 농축되어 양이 줄어든다. 반대로 수분이 많아지면, 신장은 다량의 묽은 소변을 배출한다. 카페인이 첨가된 음료(콜라, 커피, 차 등)와 알코올은 이뇨효과가 있어 소변 생성을 증가시키고, 항이뇨호르몬의 방출을 억제한다.

– 염분이 많은 음식이나 음료는 수분과 염분의 재흡수와 정체를 일으켜 소변 생성을 감소시킨다.

5. 활동과 근긴장도

– 규칙적인 운동을 하면 신진대사가 활발해지고 소변 생성과 배뇨가 잘 이루어진다. 그러나 부동상태가 계속되면 방광과 조임근의 긴장도가 저하되어 배뇨조절이 잘 되지 않고 요저류(요정체)가 발생하기도 한다. 유치도뇨관을 가진 사람은 방광에 소변이 차지 않아 방광근육이 늘어나지 않기 때문에 방광근육의 긴장도를 상실하게 된다.

6. 질병

– 열이나 발한이 있을 때는 소변 생성이 줄어들고 소변이 농축되어 신장에 의한 체액 보존이 이루어진다.

7. 약물

– 이뇨제는 신세관(세뇨관)에서 수분이나 특정 전해질의 재흡수를 방해한다. 또한 이뇨제는 묽은 소변의 생성과 배출을 증가시킨다. 콜린성 약물은 배뇨근의 수축을 자극하여 배뇨하도록 작용한다. 중추신경계를 억제하는 진통제와 진정제는 신경반사의 효과를 감소시켜 배뇨를 방해할 수 있다.

III. 배뇨 문제

1. 무뇨(anuria)

– 24시간의 배뇨량이 50mL 미만인 경우

2. 소변감소(핍뇨, oliguria)

– 비정상적으로 수분손실이 일어나 하루의 소변량이 500mL 미만이거나 시간당 소변량이 30mL 미만인 경우

3. 다뇨(polyuria)

– 신장에서 소변이 정상소변량보다 더 많이 생산되는 것으로, 하루 3,000mL 이상 배뇨하는 경우

4. 빈뇨(urinary frequency)

– 배뇨 횟수가 비정상적으로 잦은 경우(하루 4~6회 이상)

5. 유뇨증(enuresis)

– 배뇨를 스스로 조절할 나이인 4~5세가 지났는데도 소변을 가리지 못하는 경우

6. 야간뇨(야뇨증, nocturia)

– 밤에 두 번 이상 배뇨하는 경우

7. 절박뇨(urinary urgency)

– 급하게 강한 배뇨욕구를 느껴 소변량과 관계없이 즉시 배뇨해야 할 것 같은 경우

8. 배뇨통(배뇨장애, dysuria)

– 배뇨 시 통증을 느끼거나 배뇨가 힘든 경우

9. 단백뇨(proteinnuria)

– 소변에서 단백질이 과도하게 섞여 나오는 경우

10. 당뇨(glocosuria)

– 소변에 당이 존재하는 경우

11. 요실금(urinary incontinence)

– 조임근(괄약근)의 기능약화나 기능상실 및 배뇨조절의 상실로 인하여 소변이 비자발(불수의)적으로 새는 경우

– 요실금의 유형 (표 22-2)

  • 비병리적 상태에서의 요실금
  • 스트레스요실금, 복압요실금(긴장성 요실금)
  • 절박요실금(긴박성 요실금) – 절박뇨
  • 반사요실금
  • 범람실금

12. 요저류(요정체, urinary retention)

– 방광을 비우는데 문제가 생겨 소변이 정체되고 이로 인하여 방광이 과도하게 팽창하는 경우

IV. 간호사정

1. 소변 사정

1) 잔뇨량 측정

– 잔뇨량은 배뇨 후 방광에 남아 있는 소변량으로 정상 잔뇨량은 50~100mL 이하이다.

– 대상자가 배뇨를 한 직후 도뇨관을 삽입하거나 방광스캐너를 이용하여 비침습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 정상소변의 특성 (표 22-4)

특징정상해석
색깔농도에 따라 옅은노란색, 호박색소변이 부족하거나 농축된 경우는 정상보다 짙음
냄새은은한 향감염된 소변은 악취가 남
혼탁도배뇨 직후 소변은 맑거나 투명함탁하면 비정상
pH4.6~8.0pH 수준은 산의 균형을 나타냄. 정체된 소변은 세균성장에 좋은 알칼리성이 됨.
단백질8 mg 이하/100mL단백질은 일반적으로 소변에 나타나지 않음.격렬한 운동 후, 추운 날씨에 노출되거나 심리적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포도당정상적으로 나타나지 않음당뇨대상자
케톤정상적으로 나타나지 않음
혈액2개 이하의 적혈구
요비중1.010~1.025

4. 소변검사물 수집 방법

1) 일반소변검사(urinalysis)

– 멸균 소변 검사물은 필요하지 않다.

– 소변이 대변으로 오염되는 것을 피해야 한다. 생리 중인 여성의 소변검사물은 소변에서 적혈구가 나타나므로 검사실 용지에 기록해야 한다.

– 여성 대상자들에게 소변 본 후 휴지를 넣으면 검사가 어렵다는 것을 교육한다.

– 소변검사물을 수집하거나 다룰 때는 지침서에 따라 엄격하게 무균술을 사용한다.

– 소변은 양상(apperance)과 화학적 변화가 있을 수 있으므로 수집한 검사물을 오랜 시간 실온에 두지 말고 바로 검사실로 보낸다. 만일 검사물을 즉시 검사실로 보낼 수 없다면 냉장고에 보관한다.

2) 중간뇨 검사물

– 처음에 배출된 소변은 요도구멍 근처의 미생물을 흘려보내는 것을 도와주는데, 만일 이 미생물이 검사물 속에 들어간다면 소변분석 결과가 부정확해지기 때문이다.

– 남성의 경우 깨끗한 중간뇨 검사물이 무균상태이다. 여성의 경우 무균적인 소변검사물을 얻기 위해서는 도뇨를 해야 한다.

3) 유치도뇨관에서 멸균검사물 채취

– 멸균 소변검사물은 방광에서 도뇨하거나 유치도뇨관에서 검사물을 뽑아낼 수 있다.

– 소변주머니의 소변은 신선한 소변이 아닐 수 있어 부정확한 분석이 될 수 있으므로 검사물을 채취할 때는 무균법으로 행해야 한다.

4) 24시간 소변검사물 수집

– 시작시간의 첫 소변은 버리고 다음 24시간 동안 배설된 소변의 전부를 모은다. 전날 시작했던 특정 시간을 확인하고 마지막 소변까지 모아서 모든 소변검사물을 검사실로 보낸다.

yongyong

Recent Posts

(기본간호학) 배변 02

(기본간호학) 배변 02 IV. 간호사정 Bristol 대변 척도 1. 진단 검사 1) 대변검사 (1) 일반…

3일 ago

(기본간호학) 배변 01

(기본간호학) 배변 01 I. 배변의 개요 1. 배변의 구조와 기능 1) 대장 - 대장은 맹장,…

3일 ago

(기본간호학) 배뇨 02

(기본간호학) 배뇨 02 VII. 간호수행 1. 정상적인 배뇨증진 - 성공적인 간호는 대상자 각 개인에게 맞는…

3일 ago

노로바이러스감염증 환자 증가 추세

노로바이러스감염증 환자 증가 추세 내용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동절기에 유행하는 노로바이러스감염증 환자가 최근 증가 중*이고, 특히 영유아(0~6세) 환자가 전체의 58.8%를 차지**하고 있어, 영유아 및 관련시설(어린이집, 키즈카페 등)의…

4일 ago

산모의 초산 연령 (+임신 사전건강관리 – 가임력 검사비 지원)

산모의 초산 연령 (+임신 사전건강관리 - 가임력 검사비 지원) 산모의 초산 연령 - 다운증후군 발생빈도…

4일 ago

전문간호사 개요 – 정의 법규 교육과정 자격시험

전문간호사 개요 - 정의 법규 교육과정 자격시험 개요 2000년부터 시행된 전문간호사(Advanced Practice Nurse, APN)는 보건복지부장관이…

4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