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양에 관한 과학적 원칙과 다양한 영양소의 역할에 대한 이해는 간호사가 대상자와 함께 영양 간호계획을 세울 때 기본이 된다.
– 탄소(C), 수소(H), 산소(O)로 구성
– 총 열량의 55~65%를 탄소화물로 섭취할 것을 권하고 있음
(1) 유형
– 단당류, 이당류, 다당류로 분류
(2) 기능
– 주요 에너지원으로 1g은 4kacl의 에너지를 생성
– 일부 탄수화물은 지방의 완전한 산화를 위해 필요하다. 탄수화물 섭취가 부족할 때 지방은 불완전 산화가 되어 케톤을 생성하게 된다. 즉, 탄수화물은 단백질을 절약하는 기능을 하며 지방을 에너지로 충분히 연소시켜 케톤증을 예방한다.
– 섬유소는 수용성과 불용성 섬유소로 구분하는데 물에 녹아 젤이 되는 수용성 섬유소는 장관영양 대상자의 설사를 예방한다. 불용성 섬유소는 장관 이동을 가속화시켜 진통제 복용 대상자의 변비를 예방한다.
– 산소(O), 탄소(C), 수소(H), 질소(N)로 구성
– 총 열량의 7~20%가 되도록 권장
(1) 유형
– 체내에서 합성할 수 없어 반드시 식이로 공급되어야 하는 아미노산을 필수아미노산이라고 하고, 체내에서 합성 가능한 아미노산을 비필수아미노산이라고 한다.
(2) 기능
– 단배질 식품의 주기능은 체단백 합성을 위하여 아미노산을 공급하는 것이다.
– 단백질은 체액평형을 조절하는 교질삼투압을 유지하는데, 혈장단백인 알부민은 사이질액(간질액) 간의 적절한 수분평형을 유지하도록 돕는다.
– 단백질은 1g은 4kcal를 공급한다.
(3) 대상
– 단백질대사는 조직을 형성하는 합성대사(동화), 조직을 분해하는 분해대사(이화), 질소평형으로 구성된다.
– 질소평형은 단백질 합성대사와 분해대사의 정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질소 섭취(단백질 섭취)와 배설(소변, 대변, 요소)의 결과물이며, 신체 단백질 영양상태를 반영한다.
– 질소의 섭취와 배설이 균형을 이룬 것을 질소평형이라고 한다. 건강한 성인에서 분해대사와 합성대사가 같은 비율로 일어나면 인체는 질소평형 상태를 유지한다. 질소의 섭취가 배설보다 많을 때 대상자는 양성질소평형 상태가 된다. 신체의 성장, 순수 근육량 및 생명기관의 유지, 임신, 수유, 상처치유, 질병에서 회복되는 동안 발생한다. 신체는 조직을 형성하고 재생 및 대체하는데 질소를 사용한다. 질소의 배설이 섭취보다 많을 때는 음성질소평형 상태가 된다. 기아, 수술, 질병, 감염, 패혈증, 발열, 화상, 외상, 스트레스 상태 시 긴급한 분해대사가 일어날 때 발생한다.
– 지질섭취량은 총 열량의 15~30%를 유지
(1) 유형
– 지방산은 포화지방산, 단일불포화지방산, 고도불포화지방산으로 나뉜다.
– 포화지방사은 상온에서 고체이고, 동물성 지방에 많다. 과도한 섭취는 혈중콜레스테롤 농도를 높인다. 단일불포화지방산은 상온에서 액체이고, 올리브유에 많으며, 혈중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는데 효과가 있다.
– 콜레스테롤은 뇌와 신경세포에 많이 존재하며 담즙산의 합성, 비타민 D, 스테로이드호르몬에 필요하다.
– 포화지방보다는 불포화지방을 많이 섭취하도록 하며, 섬유소 섭취를 증가시켜 콜레스테롤의 대변 배출을 증가시키도록 한다.
(2) 기능
– 지질은 1g당 9kcal의 에너지를 공급
– 지용성 비타민인 A, D, E, K의 장내 점막읕 통한 흡수를 돕는다. ★
영양소 | 기능 | 결핍징후, 증상 | 과잉징후, 증상 |
칼슘 | 치아와 뼈 형성, 근육수축, 신경자극 전달 | 골연화증, 골다공증, 저칼슘테타니 | |
소듐(나트륨)(1.5~2.0g) | 체액평형, 산염기평형(세포바깥액의 주요 이온) | 저나트륨혈증, 피부긴장 감소, 근경련, 심계항진 | 부종, 체중증가, 붉고 뜨겁고 건조한 피부, 갈증, 불안, 흥분, 소변감소(핍뇨) 또는 무뇨 |
포타슘(칼륨)(4.7g) | 체액평형, 산염기평형(세포속액의 주요 이온) | 저포타슘혈증, 근육통과 허약, 심장근육의 약화, 구역, 구토, 불규칙한 맥박 | 고포타슘혈증, 불안, 걱정, 위장관의 과활동, 심부정맥, 심장정지 |
철 | 혈색소에 의한 산소 운반 효소 성분 | 빈혈, 피로, 쇠약, 창백 | |
아이오딘(요오드) | 갑상샘호르몬의 성분 |
– 비타민은 체내에 합성이 안 되는 유기물질이며 생화확반응에서 촉매제로 사용된다. 체내에서 에너지를 생산하지는 않으나 에너지대사에 필수적이다.
영양소 | 기능 | 결핍징후, 증상 | ||
수용성 비타민 | ||||
C(아스코브산) | 괴혈병, 상처 치유 지연, 잇몸출혈, 치아의 흔들림 | |||
B1(싸이아민)(티아민) | 포도당으로부터 에너지 생성(알코올 희석) | 각기병, 다발성 신경염, 정신 혼미, 피로, 근육쇠약 | ||
B6(피리독신) | 경련, 빈혈, 피부염, 입술염, 혀염 | |||
B12(사이아노코발라민) | 악성빈혈(비타민 B12의 흡수 방해 내인자 부족) | |||
지용성 비타민 | ||||
A(레틴올, 레틴알 및레틴올산) | 시력유지, 피부와 점막유지, 뼈, 치아의 성장과 발달 | 야맹, 거친 피부, 점막건조 | ||
D(콜레칼시페롤,에르고스테롤) | 칼슘과 인의 대사, 인과 칼슘 재흡수를 자극 | 아동의 구루병, 뼈 성장지연, 뼈 기형, 치아 기형 | ||
E(토코페롤) | 항산화, 비타민 A 보호, 혈색소 성분(heme) 합성 | 미숙아의 거대한 혈구빈혈, 적혈구 용혈 증가 | ||
K ★ | 혈액응고에 필요한 단백질 합성 | 신생아의 용혈병, 성인에서 혈액응고시간 지연 |
(1) 지용성 비타민
지용성 비타민은 비타민 A, D, E, K가 있다. 물에 녹지 않기 때문에 혈액을 통해 이동하기 위해 단백질 운반체와 결합해야 하며 과량 섭취 시 배설이 안 되고 간이나 지방조직에 저장된다.
(2) 수용성 비타민
수용성 비타민은 체내에 저장되지 않아 매일 음식으로 섭취해야 한다. 과다섭취 시 신장을 통해 소변으로 배설되고 일반적으로 조직에 대한 독성이 없다.
– 수분은 성인 체중의 60~70%를 차지
(4) 수분섭취량과 수분배설량
– 건강한 성인의 하루 수분섭취량은 약 2,500mL이며 배설량은 1,800~3,000mL이다.
– 24시간 동안의 수분섭취량과 배설량을 정확히 기록하기 위해서 I&O(intake & output) 기록지를 사용한다. 수분섭취량과 배설량을 기록하는 대상자★는 다음과 같다.
• 수술 후 대상자
• 심한 화상 또는 상처가 있는 대상자
• 신부전, 당뇨, 폐쇄폐질환, 암 등의 만성질환자
• 금식 대상자
• 정맥수액 주입 대상자
• 위관영양 대상자
• 상처배액관이나 흡인기구가 있는 대상자
• 유치도뇨관 삽입 대상자
• 수분이 정체된 대상자
• 이뇨제 처방을 받은 대상자
• 수분제한 대상자
① 수분섭취량 ★
– 수분섭취량은 체내로 들어오는 물을 모두 합한 것으로, mL로 기록한다.
• 음료수
• 얼음(고체였을 때 용량의 1/2 분량)
• 아이스크림, 조리된 음식물
• 정맥주입 수액/수혈액
• 위관영양이나 관세척을 위해 주입되는 수액량
② 수분배설량 ★
– 수분배설량 측정은 대상자 치료에 결정적이므로 정확하게 측정되어야 한다.
• 소변량
• 대변량
• 출혈량
• 설사량
• 상처배액량
• 세척액
• 기타 젖은 침구, 기저귀, 패드 양
– 큰 근육을 사용하는 남성은 여성보다 더 많은 열량이 필요하고, 단백질 요구량도 많아진다.
– 가임 연령의 여성은 월경과 관련되어 남성보다 더 많은 철(Fe)이 필요하다.
– 알코올은 인체의 영양소 사용을 변화시킬 수 있다. 알코올은 장점막에서의 영양소 흡수를 방해한다.
– 알코올을 대사하는 데에는 비타민 B(B1 티아민)가 필요하므로 요구량이 증가한다. 알코올은 영양소의 저장을 방해하여 간손상을 유발하므로 알코올중독자는 간손상으로 인해 영양대사와 요구량이 변화한다.
– 영양과잉은 일일 에너지요구량을 초과하는 열량섭취를 말한다.
– 저장된 지방량이 많아지면 과체중(overweight)
– 이상적인 체중보다 20% 이상이 되거나 체질량지수가 30 이상이 되고, 활동과 호흡이 힘들어지는 정도가 초래되는 것 비만(obesity)
– 영양부족(영양결핍)은 음식의 부적절한 섭취나 음식의 소화 및 흡수장애로 일일 에너지 요구량을 충족시키기에 불충분한 경우를 말한다.
– 영양부족으로 인해 간과 근육에 저장된 탄수화물(당원)이 쓰이기 시작하며 이는 약 24시간 동안의 에너지요구량을 충족시킨 후 체조직의 단백질이 쓰이기 시작한다.
– 단백질-열량영양실조 : 장기간 결핍된 대상자, 특징 : 체중저하, 근육과 지방 감소, 알부민 감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