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기관 내관을 삽입한 대상자의 분비물을 제거하여 기도의 개방성을 유지한다.
2) 분비물로 인한 감염이나 무기폐를 예방한다.
1) 흡인법을 열거하고 정확한 절차에 따라 흡인법을 수행한다.
2) 흡인법 실시에 따른 주의사항을 설명한다.
1) 구강과 인공기도 내부에 분비물이 있을때
2) 위액이나 상기도 분비물의 흡인이 의심될 때
3) 기관이나 주기관지에서 비정상 폐음이 청진될 때
4) 호흡횟수가 증가하거나 지속적인 기침을 할 때
5) 기침을 스스로 할 수 없는 환자일 경우
– 구강 : 약 13cm 정도 (성인)
– 비강 : 코에서 귓볼까지의 거리
– 기관 내관 : 기관 내관 길이 정도
– 기관 절개관 : 8~11cm
1) 적절한 흡인 압력 : 성인 110~150mmHg / 아동 95~100mmHg / 영아 50~95mmHg
2) 적절한 흡인 시간
– 10~15초를 넘지 않도록 한다.
– 재흡인은 20~30초 후에 시행한다.
– 총 흡인 시간은 5분을 넘지 않도록 한다.
– 흡인 전 저산소증 예방을 위해 100% 산소를 공급한다.
– 적절한 압력으로 흡인한다.
– 시행 절차는 무균적으로 유지해야 한다.
– 카테터 삽입 시 흡인기를 작동하면 점막 손상의 우려가 있다.
– 카테터를 회전시키면서 흡인한다.
– 10~15초 이상 흡인하지 않는다.
– 20~30초 사이의 간격을 두고 흡인한다.
폐경 완경 논란 - 산부인과 의사 입장 https://nurseyong.com/%EC%99%84%EA%B2%BD%EC%9D%B4%EB%9D%BC%EB%8A%94-%EC%A2%8B%EC%9D%80-%EB%A7%90%EC%9D%84-%EB%91%90%EA%B3%A0-%EC%99%9C-%ED%8F%90%EA%B2%BD%EC%9D%B4%EB%9D%BC%EB%8A%94-%EB%A7%90%EC%9D%84-%EC%93%B0%EC%84%B8/
병원안전사고 사례 분석 (12개월 영아 과다 투약 사망사고) 🩺 1. 사고 요약 2022년 3월 제주대학교병원에서…
출혈성 뇌졸중 (Hemorrhagic Stroke) 종류 특성 출혈성 뇌졸중 👉 뇌혈관이 파열되어 혈액이 뇌조직 또는 지주막하…
허혈성 뇌졸중 (Ischemic Stroke) 종류 특성 허혈성 뇌졸중 (Ischemic Stroke) 혈류가 차단되어 뇌조직이 산소와 영양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