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건너뛰기

난다 간호진단 분류체계 2024-2026 (NANDA)

난다 간호진단 분류체계 2024-2026 (NANDA)

난다 간호진단 분류체계

1973년 간호진단 분류체계를 개발하기 위한 최초의 모임인 미국전국협의회(National Coference Group)의 3차 회의에서 진단분류체계를 위한 이론적 기틀의 기초를 만들었다.

1982년 제 5차 회의에서 간호진단 분류체계 I 을 제시했는데 이것은 9가지 인간반응 양상과 148개 간호진단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2000년 제 14차 회의에서는 NANDA 분류체계 II를 제시했는데 이것은 13개 영역(domain), 46개 과(class), 155개 진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간호진단 분류체계 II는 진단 시 고려해야 할 인간반응의 차원인 7개의 축, 즉 진단 개념(diagnostic concepts), 시간(time), 간호대상(unit of care), 연령(age), 건강상태(health status), 서술어(descriptor) 및 신체부위(topology)를 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NANDA 분류체계는 과거 40년 동안 발전해 왔고 학자들의 훌륭한 과학적 검토와 승인과정을 통해 변화되고 있다.

그 동안 ‘간호에 정말 분류체계가 필요한가?’하는 의문은 ‘어떻게 과학적으로 합당한 방법으로 분류체계를 발전시킬 것인가?’하는 문제로 바뀌었다.

미국간호협회는 NANDA-1을 간호진단 분류체계를 발전시킬 공식적인 기구로 지정했다.

많은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간호전문가들의 협력으로 이 발전적인 분류체계는 점차 간호의 예술과 과학을 반영해 나가고 있다.

난다 간호진단 분류체계 2024-2026 영역, 과, 진단 수

영역진단 수
1. 건강 증진1) 건강 인식5개
2) 건강 관리32개
2. 영양3) 섭취16개
4) 소화-개
5) 흡수-개
6) 대사2개
7) 수화6개
3. 배설과 교환8) 비뇨기계 기능7개
9) 위장관계 기능8개
10) 피부 기능-개
11) 호흡기계 기능1개
4. 활동과 휴식12) 수면/휴식5개
13) 활동/운동8개
14) 에너지 균형5개
15) 심혈관/호흡기계 반응10개
16) 자기돌봄10개
5. 인지/지각17) 집중-개
18) 지남력-개
19) 감각/지각-개
20) 인지13개
21) 의사소통3개
6. 자아지각22) 자아개념6개
23) 자아존중감5개
24) 신체상1개
7. 역할 관계25) 돌봄제공자 역할4개
26) 가족 관계5개
27) 역할 수행8개
8. 성28) 성 정체성-개
29) 성기능1개
30) 생식1개
9. 대처 / 스트레스 내성31) 외상후 반응3개
32) 대처 반응19개
33) 신경행동적 반응5개
10. 삶의 원리34) 가치-개
35) 신념-개
36) 가치 / 신념 / 행동의 일치성7개
11. 안전과 보호37) 감염3개
38) 신체적 손상32개
39) 폭력5개
40) 환경적 위험5개
41) 방어과정2개
42) 체온조절9개
12. 안위43) 신체적 안위3개
44) 환경적 안위-개
45) 사회적 안위5개
46) 심리적 안위2개
13. 성장과 발달47) 성장2개
48) 발달8개

영역 1. 건강 증진 (Health promotion)

과 1) 건강 인식 (Health awareness)

여가 활동 참여 감소 (Decreased diversional activity engagement)

여가 활동 참여 감소의 위험 (Risk for decreased diversional activity engagement)

지나친 좌식 행동 (Excessive sedentary behaviors)

지나친 좌식 행동의 위험 (Risk for excessive sedentary behaviors)

에너지장 불균형 (Imbalanced energy field)

과 2) 건강 관리 (Health management)

비효과적 건강 자기 관리 (Ineffective health self-management)

비효과적 건강 자기 관리의 위험 (Risk for ineffective health self-management)

건강 자기 관리를 위한 준비 (Readiness for enhanced health self-management)

비효과적 가족 건강 관리 (Ineffective family health management)

비효과적 가족 건강 관리의 위험 (Risk for ineffective family health management)

비효과적 지역사회 건강 관리 (Ineffective community health management)

비효과적 지역사회 건강 관리의 위험 (Risk for ineffective community health management)

비효과적 혈당 패턴 자기 관리의 위험 (Risk for ineffective blood glucose pattern self-management)

비효과적 안구 건조 자기 관리 (Ineffective dry eye self-management)

비효과적 구강 건조 자기 관리 (Ineffective dry mouth self-management)

비효과적 구강 건조 자기 관리의 위험 (Risk for ineffective dry mouth self-management)

비효과적 피로 자기 관리 (Ineffective fatigue self-management)

비효과적 림프부종 자기 관리 (Ineffective lymphedema self-management)

비효과적 림프부종 자기 관리의 위험 (Risk for ineffective lymphedema self-management)

비효과적 메스꺼움 자기 관리 (Ineffective nausea self-management)

비효과적 통증 자기 관리 (Ineffective pain self-management)

체중 자기 관리를 위한 준비 (Readiness for enhanced weight self-management)

비효과적 과체중 자기 관리 (Ineffective overweight self-management)

비효과적 과체중 자기 관리의 위험 (Risk for ineffective overweight self-management)

비효과적 저체중 자기 관리 (Ineffective underweight self-management)

비효과적 저체중 자기 관리의 위험 (Risk for ineffective underweight self-management)

비효과적 건강 유지 행동 (Ineffective health maintenance behaviors)

비효과적 건강 유지 행동의 위험 (Risk for ineffective health maintenance behaviors)

건강 유지 행동 향상을 위한 준비 (Readiness for enhanced health maintenance behaviors)

가정 유지 행동 향상을 위한 준비 (Readiness for enhanced home maintenance behaviors)

운동 참여 향상을 위한 준비 (Readiness for enhanced exercise engagement)

건강 문해력 부족 (Inadequate health literacy)

건강 문해력 부족의 위험 (Risk for inadequate health literacy)

건강 문해력 향상을 위한 준비 (Readiness for enhanced health literacy)

건강한 노화를 위한 준비 (Readiness for enhanced healthy aging)

노인 허약 증후군 (Elder frailty syndrome)

노인 허약 증후군의 위험 (Risk for elder frailty syndrome)

영역 2. 영양 (Nutrition)

과 3) 섭취 (Ingestion)

영양 불충분 (Inadequate nutritional intake)

영양 불충분의 위험 (Risk for inadequate nutritional intake)

영양 섭취 향상을 위한 준비 (Readiness for enhanced nutritional intake)

단백질 에너지 영양 섭취 불충분 (Inadequate protein energy nutritional intake)

단백질 에너지 영양 섭취 불충분의 위험 (Risk for inadequate protein energy nutritional intake)

비효과적 모유 수유 (Ineffective chestfeeding)

비효과적 모유 수유의 위험 (Risk for ineffective chestfeeding)

독점적인 모유 수유 중단 (Disrupted exclusive chestfeeding)

독점적인 모유 수유 중단의 위험 (Risk for disrupted exclusive chestfeeding)

모유 수유 향상을 위한 준비 (Readiness for enhanced chestfeeding)

인체 유즙 생산 불충분 (Inadequate human milk production)

인체 유즙 생산 불충분의 위험 (Risk for inadequate human milk production)

비효과적 영아 수유 역학 (Ineffective infant feeding dynamics)

비효과적 아동 식생활 역학 (Ineffective child eating dynamics)

비효과적 청소년 식생활 역학 (Ineffective adolescent eating dynamics)

삼킴 장애 (Impaired swallowing)

과 4) 소화 (Digestion)

(현재 해당 과에 포함된 간호진단 없음)

과 5) 흡수 (Absorption)

(현재 해당 과에 포함된 간호진단 없음)

과 6) 대사 (Metabolism)

신생아 고빌리루빈혈증 (Neonatal hyperbilirubinemia)

신생아 고빌리루빈혈증의 위험 (Risk for neonatal hyperbilirubinemia)

과 7) 수화 (Hydration)

수분-전해질 불균형의 위험 (Risk for impaired water-electrolyte balance)

체액 불균형의 위험 (Risk for impaired fluid volume balance)

체액 과다 (Excessive fluid volume)

체액 과다의 위험 (Risk for excessive fluid volume)

체액 부족 (Inadequate fluid volume)

체액 부족의 위험 (Risk for inadequate fluid volume)

영역 3. 배설/교환 (Elimination and exchange)

과 8) 비뇨기계 기능 (Urinary function)

배뇨 장애 (Impaired urinary elimination)

요정체의 위험 (Risk for urinary retention)

장애와 관련된 요실금 (Disability-associated urinary incontinence)

긴장성 요실금 (Stress urinary incontinence)

혼합성 요실금 (Mixed urinary incontinence)

긴박성 요실금 (Urge urinary incontinence)

긴박성 요실금의 위험 (Risk for urge urinary incontinence)

과 9) 위장관계 기능 (Gastrointestinal function) >

장 운동 장애 (Impaired gastrointestinal motility)

장 운동 장애의 위험 (Risk for impaired gastrointestinal motility)

장 배설 장애 (Impaired intestinal elimination)

장 배설 장애의 위험 (Risk for impaired intestinal elimination)

만성 기능성 변비 (Chronic functional constipation)

만성 기능성 변비의 위험 (Risk for chronic functional constipation)

배변 참기 장애 (Impaired fecal continence)

배변 참기 장애의 위험 (Risk for impaired fecal continence)

과 10) 피부 기능 (Integumentary function)

(현재 해당 과에 포함된 간호진단 없음)

과 11) 호흡기계 기능 (Respiratory function)

가스 교환 장애 (Impaired gas exchange)

영역 4. 활동/휴식 (Activity / rest)

과 12 수면/휴식 (Sleep / rest)

비효과적 수면 양상 (Ineffective sleep pattern)

비효과적 수면 양상의 위험 (Risk for ineffective sleep pattern)

수면 양상 향상을 위한 준비 (Readiness for enhanced sleep pattern)

비효과적 수면 위생 행동 (Ineffective sleep hygiene behaviors)

비효과적 수면 위생 행동의 위험 (Risk for ineffective sleep hygiene behaviors)

과 13) 활동/운동 (Activity / exercise)

신체 기동성 장애 (Impaired physical mobility)

신체 기동성 장애의 위험 (Risk for impaired physical mobility)

침대 기동성 장애 (Impaired bed mobility)

휠체어 기동성 장애 (Impaired wheelchair mobility)

앉기 능력 장애 (Impaired sitting ability)

서기 능력 장애 (Impaired standing ability)

이동 능력 장애 (Impaired transfer ability)

보행 능력 장애 (Impaired walking ability)

과 14) 에너지 균형 (Energy balance)

활동 지속성 감소 (Decreased activity tolerance)

활동 지속성 감소의 위험 (Risk for decreased activity tolerance)

지나친 피로 부담 (Excessive fatigue burden)

수술 후 회복 장애 (Impaired surgical recovery)

수술 후 회복 장애의 위험 (Risk for impaired surgical recovery)

과 15) 심혈관/호흡기계 반응 (Cardiovascular / pulmonary responses)

심혈관 기능 장애의 위험 (Risk for impaired cardiovascular function)

혈압 불균형의 위험 (Risk for imbalanced blood pressure)

심박출량 감소의 위험 (Risk for decreased cardiac output)

비효과적 뇌 조직 관류 (Ineffective cerebral tissue perfusion)

비효과적 말초 조직 관류 (Ineffective peripheral tissue perfusion)

비효과적 말초 조직 관류의 위험 (Risk for ineffective peripheral tissue perfusion)

비효과적 호흡 양상 (Ineffective breathing pattern)

자발적 환기 장애 (Impaired spontaneous ventilation)

아동 호흡기 제거 반응 장애 (Impaired child ventilatory weaning response)

성인 호흡기 제거 반응 장애 (Impaired adult ventilatory weaning response)

과 16) 자기돌봄 (Self-care)

자기돌봄 능력 감소 증후군 (Decreased self-care ability syndrome)

자기돌봄 능력 감소 증후군의 위험 (Risk for decreased self-care ability syndrome)

자기돌봄 능력 향상을 위한 준비 (Readiness for enhanced self-care abilities)

목욕 능력 감소 (Decreased bathing abilities)

옷 입기 능력 감소 (Decreased dressing abilities)

음식 섭취 능력 감소 (Decreased feeding abilities)

손질 능력 감소 (Decreased grooming abilities)

용변 능력 감소 (Decreased toileting abilities)

비효과적 구강 위생 행동 (Ineffective oral hygiene behaviors)

비효과적 구강 위생 행동의 위험 (Risk for ineffective oral hygiene behaviors)

영역 5. 지각/인지 (Perception / cognition)

과 17) 집중 (Attention)

(현재 해당 과에 포함된 간호진단 없음)

과 18) 지남력 (Orientation)

(현재 해당 과에 포함된 간호진단 없음)

과 19) 감각/지각 (Sensation / perception)

(현재 해당 과에 포함된 간호진단 없음)

과 20) 인지 (Cognition)

급성 혼동 (Acute confusion)

급성 혼동의 위험 (Risk for acute confusion)

만성 혼동 (Chronic confusion)

비효과적 충동 조절 (Ineffective impulse control)

사고 과정의 장애 (Disrupted thought processes)

건강 지식 부족 (Inadequate health knowledge)

건강 지식 향상을 위한 준비 (Readiness for enhanced health knowledge)

기억 장애 (Impaired memory)

의사 결정 장애 (Impaired decision-making)

의사 결정 향상을 위한 준비 (Readiness for enhanced decision-making)

자주적 의사 결정 장애 (Impaired emancipated decision-making)

자주적 의사 결정 장애의 위험 (Risk for impaired emancipated
decision-making)

자주적 의사 결정 향상을 위한 준비 (Readiness for enhanced emancipated decision-making)

과 21) 의사소통 (Communication)

언어적 의사소통 장애 (Impaired verbal communication)

언어적 의사소통 장애의 위험 (Risk for impaired verbal communication)

의사소통 향상을 위한 준비 (Readiness for enhanced verbal communication)

영역 6. 자아지각 (Self-perception)

과 22) 자아개념 (Self-concept)

자아개념 향상을 위한 준비 (Readiness for enhanced self-concept)

개인 정체성의 혼란 (Disrupted personal identity)

가족 정체성 혼란 증후군 (Disturbed family identity syndrome)

가족 정체성 혼란의 위험 (Risk for disturbed family identity syndrome)

인간 존엄성 손상의 위험 (Risk for impaired human dignity)

트랜스젠더 사회 정체성 향상을 위한 준비 (Readiness for enhanced transgender social identity)

과 23) 자아존중감 (Self-esteem)

만성적인 자존감 부족 (Chronic inadequate self-esteem)

만성적인 자존감 부족의 위험 (Risk for chronic inadequate self-esteem)

상황적 자존감 부족 (Situational inadequate self-esteem)

상황적 자존감 부족의 위험 (Risk for situational inadequate self-esteem)

건강 자기 효능감 부족 (Inadequate health self-efficacy)

과 24) 신체상 (Body image)

신체상 혼란 (Disrupted body image)

영역 7. 역할 관계 (Role relationship)

과 25) 돌봄제공자 역할 (Caregiving roles)

부모 역할의 장애 (Impaired parenting behaviors)

부모 역할의 장애의 위험 (Risk for impaired parenting behaviors)

부모 역할 향상을 위한 준비 (Readiness for enhanced parenting behaviors)

과도한 부모 역할 갈등 (Excessive parental role conflict)

과 26) 가족 관계 (Family relationships)

가족 상호작용 패턴의 혼란 (Disrupted family interaction patterns)

가족 상호작용 패턴의 혼란의 위험 (Risk for disrupted family interaction patterns)

가족 과정의 장애 (Impaired family processes)

가족 과정 향상을 위한 준비 (Readiness for enhanced family processes)

애착 행동의 혼란의 위험 (Risk for disrupted attachment behaviors)

과 27) 역할 수행 (Role performance)

비효과적 역할 수행 (Ineffective role performance)

비효과적 친밀한 파트너 관계 (Ineffective intimate partner relationship)

비효과적 친밀한 파트너 관계의 위험 (Risk for ineffective intimate partner relationship)

친밀한 파트너 관계 향상을 위한 준비 (Readiness for enhanced intimate partner relationship)

사회적 상호작용의 장애 (Impaired social interaction)

비효과적 출산 과정 (Ineffective childbearing process)

비효과적 출산 과정의 위험 (Risk for ineffective childbearing process)

출산 과정 향상을 위한 준비 (Readiness for enhanced childbearing process)

영역 8. 성 (Sexuality)

과 28) 성 정체성 (Sexual identity)

(현재 해당 과에 포함된 간호진단 없음)

과 29) 성기능 (Sexual function)

성기능 장애 (Impaired sexual function)

과 30) 생식 (Reproduction)

모아 관계 장애의 위험 (Risk for impaired maternal-fetal dyad)

영역 9. 대처/스트레스 내성 (Coping / stress tolerance)

과 31) 외상후 반응 (Post-trauma responses)

외상후 증후군 (Post-trauma syndrome)

외상후 증후군의 위험 (Risk for post-trauma syndrome)

이민 전환의 장애의 위험 (Risk for disrupted immigration transition)

과 32) 대처 반응 (Coping responses)

부적응적 대처 (Maladaptive coping)

대처 향상을 위한 준비 (Readiness for enhanced coping)

부적응적 가족 대처 (Maladaptive family coping)

가족 대처 향상을 위한 준비 (Readiness for enhanced family coping)

부적응적 지역사회 대처 (Maladaptive community coping)

지역사회 대처 향상을 위한 준비 (Readiness for enhanced community coping)

과도한 돌봄 부담 (Excessive caregiving burden)

과도한 돌봄 부담의 위험 (Risk for excessive caregiving burden)

부적응적 슬픔 (Maladaptive grieving)

부적응적 슬픔의 위험 (Risk for maladaptive grieving)

슬픔 향상을 위한 준비 (Readiness for enhanced grieving)

회복력 장애 (Impaired resilience)

회복력 장애의 위험 (Risk for impaired resilience)

회복력 향상을 위한 준비 (Readiness for enhanced resilience)

희망 향상을 위한 준비 (Readiness for enhanced hope)

자기 연민 부족 (Inadequate self-compassion)

지나친 불안 (Excessive anxiety)

지나친 죽음에 대한 불안 (Excessive death anxiety)

지나친 두려움 (Excessive fear)

과 33) 신경행동적 반응 (Neurobehavioral responses)

자율신경 반사 이상의 위험 (Risk for autonomic dysreflexia)

비효과적 감정 조절 (Ineffective emotion regulation)

기분 조절 장애 (Impaired mood regulation)

급성 약물 금단 증후군 (Acute substance withdrawal syndrome)

급성 약물 금단 증후군의 위험 (Risk for acute substance withdrawal syndrome)

영역 10. 삶의 원리 (Life principles)

과 34) 가치 (Values)

(현재 해당 과에 포함된 간호진단 없음)

과 35) 신념 (Beliefs)

(현재 해당 과에 포함된 간호진단 없음)

과 36) 가치/신념/행동의 일치성 (Value / belief / action congruence)

도덕적 고뇌 (Moral distress)

영적 안녕 손상 (Impaired spiritual well-being)

영적 안녕 손상의 위험 (Risk for impaired spiritual well-being)

영적 안녕 향상을 위한 준비 (Readiness for enhanced spiritual well-being)

신앙심 손상 (Impaired religiosity)

신앙심 손상의 위험 (Risk for impaired religiosity)

신앙심 향상을 위한 준비 (Readiness for enhanced religiosity)

영역 11. 안전/보호 (Safety / protection)

과 37) 감염 (Infection)

면역 반응의 장애 (Impaired immune response)

감염의 위험 (Risk for infection)

수술 부위 감염의 위험 (Risk for surgical wound infection)

과 38) 신체적 손상 (Physical injury)

신체적 손상의 위험 (Risk for physical injury)

화상 손상의 위험 (Risk for burn injury)

저체온 손상의 위험 (Risk for cold injury)

각막 손상의 위험 (Risk for corneal injury)

안구 건조의 위험 (Risk for dry eye)

수술 중 체위와 관련된 손상의 위험 (Risk for perioperative positioning injury)

신생아 욕창 (Neonatal pressure injury)

신생아 욕창의 위험 (Risk for neonatal pressure injury)

아동 욕창 (Child pressure injury)

아동 욕창의 위험 (Risk for child pressure injury)

성인 욕창 (Adult pressure injury)

성인 욕창의 위험 (Risk for adult pressure injury)

요로 손상의 위험 (Risk for urinary tract injury)

조직 통합성 장애 (Impaired tissue integrity)

조직 통합성 장애의 위험 (Risk for impaired tissue integrity)

피부 통합성 장애 (Impaired skin integrity)

피부 통합성 장애의 위험 (Risk for impaired skin integrity)

유두-유륜 복합적 손상 (Impaired nipple-areolar complex integrity)

유두-유륜 복합적 손상의 위험 (Risk for impaired nipple-areolar complex integrity)

구강 점막 통합성 장애 (Impaired oral mucous membrane integrity)

구강 점막 통합성 장애의 위험 (Risk for impaired oral mucous membrane integrity)

아동 낙상의 위험 (Risk for child falls)

성인 낙상의 위험 (Risk for adult falls)

흡인의 위험 (Risk for aspiration)

비효과적 기도 청결 (Ineffective airway clearance)

사고로 인한 질식의 위험 (Risk for accidental suffocation)

과도한 출혈의 위험 (Risk for excessive bleeding)

쇼크의 위험 (Risk for shock)

혈전증의 위험 (Risk for thrombosis)

말초 신경혈관 기능 장애의 위험 (Risk for impaired peripheral neurovascular function)

영아 돌연사의 위험 (Risk for sudden infant death)

가출 시도의 위험 (Risk for elopement attempt)

과 39) 폭력 (Violence)

타인에 대한 폭력의 위험 (Risk for other-directed violence)

여성 생식기 손상의 위험 (Risk for female genital mutilation)

자살을 위한 자기 손상의 위험 (Risk for suicidal self-injurious behavior)

비자살적 자기 손상 행동 (Non-suicidal self-injurious behavior)

비자살적 자기 손상의 위험 (Risk for non-suicidal self-injurious behavior)

과 40) 환경적 위험 (Environmental hazards)

오염 (Contamination)

오염의 위험 (Risk for contamination)

우발적 중독의 위험 (Risk for accidental poisoning)

직업적 질병의 위험 (Risk for occupational illness)

직업적 신체적 손상의 위험 (Risk for occupational physical injury)

과 41) 방어과정 (Defensive processes)

알레르기 반응의 위험 (Risk for allergic reaction)

라텍스 알레르기 반응의 위험 (Risk for latex allergy reaction)

과 42) 체온조절 (Thermoregulation)

비효과적 체온 조절 (Ineffective thermoregulation)

비효과적 체온 조절의 위험 (Risk for ineffective thermoregulation)

신생아 체온 감소 (Decreased neonatal body temperature)

신생아 체온 감소의 위험 (Risk for decreased neonatal body temperature)

체온 감소 (Decreased body temperature)

체온 감소의 위험 (Risk for decreased body temperature)

수술 중 체온 감소의 위험 (Risk for decreased perioperative body temperature)

고체온 (Hyperthermia)

고체온의 위험 (Risk for hyperthermia)

영역 12. 안위 (Comfort)

과 43) 신체적 안위 (Physical comfort)

신체적 안위 손상 (Impaired physical comfort)

신체적 안위 향상을 위한 준비 (Readiness for enhanced physical comfort)

임종 시 안위 손상 증후군 (Impaired end-of-life comfort syndrome)

과 44) 환경적 안위 (Environmental comfort)

(현재 해당 과에 포함된 간호진단 없음)

과 45) 사회적 안위 (Social comfort)

사회적 안위 향상을 위한 준비 (Readiness for enhanced social comfort)

사회적 연결 부족 (Inadequate social connectedness)

사회적 지원 네트워크 부족 (Inadequate social support network)

지나친 외로움 (Excessive loneliness)

지나친 외로움의 위험 (Risk for excessive loneliness)

과 46) 심리적 안위 (Psychological comfort)

심리적 안위 손상 (Impaired psychological comfort)

심리적 안위 향상을 위한 준비 (Readiness for enhanced psychological comfort)

영역 13. 성장/발달 (Growth / development)

과 47) 성장 (Growth)

아동 성장 지연 (Delayed child growth)

아동 성장 지연의 위험 (Risk for delayed child growth)

과 48) 발달 (Development)

아동 발달 지연 (Delayed child development)

아동 발달 지연의 위험 (Risk for delayed child development)

영아 운동 발달 지연 (Delayed infant motor development)

영아 운동 발달 지연의 위험 (Risk for delayed infant motor development)

영아 신경 발달 조직 장애 (Impaired infant neurodevelopmental organization)

영아 신경 발달 조직 장애의 위험 (Risk for impaired infant neurodevelopmental organization)

영아 신경 발달 조직 향상을 위한 준비 (Readiness for enhanced infant neurodevelopmental organization)

비효과적 영아 빨기-삼키기 반응 (Ineffective infant suck-swallow respon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