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달심리학)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이론

에릭슨 이론의 특징
인간의 발달이 심리사회적인 측면에서 이루어진다고 봄.
문화와 사회를 인성발달의 가장 중요한 결정요인으로 추가
– 아동과 부모와의 관계, 가족에게 영향을 미친 역사적, 사회적 상황에까지 관심.
발달단계에서 성인시기 포함, 성격발달을 전생애로 확장
자아의 기능을 강조
– 자아를 성격의 자율적인 구조로 봄
– 자아는 원초아로부터 분화된 것이 아니라 그 자체로 형성
– 환경에 적극적이고 창조적으로 대처
정신사회적 발달단계
단계 | 심리사회적 위기 | 특징 |
1단계 (출생후~만1세) | 신뢰감 vs 불신감 | 기본적인 생리적인 욕구를 양육자에게 전적으로 의존 양육자가 영아의 욕구를 적절하게 충족 : 양육자에 대한 신뢰감 형성 신뢰감을 바탕으로 세상에 대한 신뢰와 긍정적인 시각을 가짐 |
2단계 (만 1~3세) | 자율성 vs 수치심/회의감 | 스스로해보려는시기 허용, 격려 : 자율성 발달 / 꾸중 : 수치심 |
3단계 (만 3~5세) | 주도성 vs 죄책감 | 도전적인 탐색을 즐기며 활동수준이 높음 언어 발달, 스스로 어떤 일을 하려고 노력 질책, 비난 – 죄책감 → 격려하는 양육 태도 필요 |
4단계 (만 6~11세) | 근면성 vs 열등감 | 인지적 기술과 사회적 기술을 습득 과제에 참여하여 근면성 획득, 실패시 열등감 발달 선생님과 친구의 영향이 중요 |
5단계 (청소년기) | 정체감 vs 역할 혼미 | 자아 정체감 형성에 결정적인 시기 정체감의 혼란을 느끼는 경우 비행이나 문제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음 |
6단계 (성인초기) | 친밀성 vs 고립감 | 친밀감을 형성하는 것이 이 단계에 중요한 발달 과업 친밀감을 형성하지 못한 경우 고립감을 느낌 |
7단계 (성인중기) | 생산성 vs 침체감 | 자신의 분야에서 전문가가 되어 다음 세대의 기술을 전수 지역 사회에서 왕성한 활동을 통해 발전에 기여 자신의 이익에만 신경을 쓰는 개인은 침체되고 자아탐닉에 빠짐 |
8단계 (성인후기) | 통합성 vs 절망감 | 자신이 살아온 삶을 가치있는 삶으로 받아들임 : 자아통합 자신의 삶을 후회하거나 돌이킬 수 없다고 생각 : 절망감 |
에릭슨 이론에 대한 평가
인간발달에서 사회적 영향, 자아정체성 강조
아동 발달 뿐만 아니라 성인발달에 대한 이해를 도움
각 발달단계로의 전환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기제가 명확하지 않다.
후속연구 부족
– 이론의 유용성이 낮다
- 밀가루 우유 (유제품) 먹고 피부 발진 (셀리악병 유당불내증 알레르기)
- 병원 간판으로 일반의 or 전문의 알아보기
- 치아 수명 줄이는 최악의 행위
- 에겐녀 (여성호르몬 과잉) & 테토녀 (남성호르몬 과잉)
- 강남 소아 정신과 의사의 충격적인 증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