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건너뛰기

(발달심리학)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이론

(발달심리학)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이론

에릭슨 이론의 특징

인간의 발달이 심리사회적인 측면에서 이루어진다고 봄.

문화와 사회를 인성발달의 가장 중요한 결정요인으로 추가

– 아동과 부모와의 관계, 가족에게 영향을 미친 역사적, 사회적 상황에까지 관심.

발달단계에서 성인시기 포함, 성격발달을 전생애로 확장

자아의 기능을 강조

– 자아를 성격의 자율적인 구조로 봄

– 자아는 원초아로부터 분화된 것이 아니라 그 자체로 형성

– 환경에 적극적이고 창조적으로 대처

정신사회적 발달단계

단계심리사회적 위기특징
1단계
(출생후~만1세)
신뢰감 vs 불신감기본적인 생리적인 욕구를 양육자에게 전적으로 의존
양육자가 영아의 욕구를 적절하게 충족 : 양육자에 대한 신뢰감 형성
신뢰감을 바탕으로 세상에 대한 신뢰와 긍정적인 시각을 가짐
2단계
(만 1~3세)
자율성 vs 수치심/회의감스스로해보려는시기
허용, 격려 : 자율성 발달 / 꾸중 : 수치심
3단계
(만 3~5세)
주도성 vs 죄책감도전적인 탐색을 즐기며 활동수준이 높음
언어 발달, 스스로 어떤 일을 하려고 노력
질책, 비난 – 죄책감 → 격려하는 양육 태도 필요
4단계
(만 6~11세)
근면성 vs 열등감인지적 기술과 사회적 기술을 습득
과제에 참여하여 근면성 획득, 실패시 열등감 발달
선생님과 친구의 영향이 중요
5단계
(청소년기)
정체감 vs 역할 혼미자아 정체감 형성에 결정적인 시기
정체감의 혼란을 느끼는 경우 비행이나 문제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음
6단계
(성인초기)
친밀성 vs 고립감친밀감을 형성하는 것이 이 단계에 중요한 발달 과업
친밀감을 형성하지 못한 경우 고립감을 느낌
7단계
(성인중기)
생산성 vs 침체감자신의 분야에서 전문가가 되어 다음 세대의 기술을 전수
지역 사회에서 왕성한 활동을 통해 발전에 기여
자신의 이익에만 신경을 쓰는 개인은 침체되고 자아탐닉에 빠짐
8단계
(성인후기)
통합성 vs 절망감자신이 살아온 삶을 가치있는 삶으로 받아들임 : 자아통합
자신의 삶을 후회하거나 돌이킬 수 없다고 생각 : 절망감

에릭슨 이론에 대한 평가

인간발달에서 사회적 영향, 자아정체성 강조

아동 발달 뿐만 아니라 성인발달에 대한 이해를 도움

각 발달단계로의 전환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기제가 명확하지 않다.

후속연구 부족

– 이론의 유용성이 낮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