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구 : RBC, WBC, platelet 적혈구랑, 혈소판은 핵이없고 백혈구는 핵이있다
혈장 : 혈구를 뺀 나머지 담황색 수분 90% 나머지 혈장 단백질 (알부민, 글로불린, 섬유소원, 트랜스페린)
: 동맥내로 유입되는 혈액량의 증가로 그 부위의 동맥 및 모세혈관에 혈액이 과량으로 들어있는 상태
① 움직이는 근육이나 임신 자궁등의 생리적 반응
② 얼굴이 빨개지는 것과 같은 중추신경성 혈관 자극
③ 혈관수축신경 마비
④ 외상이 있을 때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신경반사기전의 결과
⑤ 염증에서 볼 수 있다
: 동맥으로부터 유입되는 혈액량의 감소로 그부위의순환 혈액량이 감소하는 조직의 국소적인 빈혈 상태
– 원인 : 동맥 내강의 협착, 폐색
산소결핍이나 영양 저하로 인한 장애가 초래
증상 : 동통, 창백, 맥박 감소, 감각이상, 부종, 마비
: 정맥으로부터 배출이 장애를 받아 조직내에 혈액이 증가해서 정맥혈액이 몰려 있는 것을 울혈
(1) 국소적 울혈
(1) 백색혈증 : 혈소판위에 백혈구층그위에 다시혈소판 층이 형성하여 섬유소가 엉킨 가닥
(2) 적색혈증 : 섬유소 응고가 일어나면 그중에 백혈구와 적혈구가 혼합되어 적색으로 보임
(3) 혼합혈전 : 백색층과 적색층의 교차로 층을 형성 하는 것
(4) 초자혈전 : 주로 섬유소로 이루어짐 혈소판도 소량 함유 소혈관이나 모세혈관에 나타남 파종성 혈관내응고증(DIC)일 때 심장, 심장이나 폐에서 확인됨
※ 파종성 혈관내응고증(DIC)
혈전 증상의 대표적인예로 잘나옴
① 혈관 파열 시 내피하 결합조직이 노출되면 혈소판이 부착
② 혈소판이 응집
③ 혈소판에서 조직인자를 분비하여 섬유소를 형성하고 적혈구, 혈소판 덩어리가 모여 지혈된다.
: 심장과 혈관 내에서 형성된 혈전, 그리고 혈관 외부에서 안으로 들어온 유리체 부유물이 혈류로 운반되어 말초의 혈관이 폐쇄한 상태
: 혈관을 막아 색전증을 일으킨 이물질, 색전으 종류로는 99%가 혈전 그 외 조직편, 종양세포괴, 세균괴, 기생충, 기체, 지방성 액체(골절시)
(1) 정맥성 색전증 : 정맥계에 생긴 색전은 우심을 통과하여 폐순환계로 들어가 폐동맥 말단의 작은 혈관에 색전증을 일으킨다
(2) 동맥성(전신성) 색전증 : 색전이 동맥에 의해 운반되는 경우를 말하며 좌심방, 좌심실 또는 대동맥에 생긴 혈전이 대순환 계의 여러 장기의 말초동맥에 색전증을 일으키게 된다
(3) 가스 또는 공기색전증 : 기포가 혈관 안에 발생하여 색전증을 일으키는 것, 잠수 시 기압차이로 혈액속에 용해되어있던 질소가 기포화 되거나, 정맥주사 시 기포가 혈관 내에 유입, 유산 시 강력한 자궁수축으로 큰 작궁정맥동이 파열되어 공기가 혈관 내로 유입되는 경우
(4) 지방 색전증 : 황색골수로 된 뼈가 골절될 때 또는 지방조직이 심한 외상을 입었을 때 점진적 폐부전증, 정신력 퇴보와 함께 신부전증이 초래되는 것을 말한다.
파열된 혈관속으로 지방구가 유입되어 여러 장기에 분포한 혈관에 색전증을 일으키기 떄문
: 장기 조직에 동맥 혈액의 공급이나 정맥혈액의 유출이 갑자기 차단되면 허혈성 괴사가 생기는 것
원인 : 혈전증이나 색전증 혈관폐색 (동맥에 잘일어남)
(1) 백색경색(빈혈성 경색) : 동맥폐색이 있거나 고형 조직의 동맥순환이 차단될 때 일시적으로 충혈 되었다가 회백색의 경색을 보임
(2) 적색경색(출혈성 경색) : 정맥폐색이 있거나 혹은 이중순환을 보이는 장기, 울혈되었던 장기 등에서 자주 발견 폐에서 동맥폐색이 생길 경우 폐실질에 울혈이 생겨 적색 경색을 일으킴
(3) 패혈성 경색 : 괴사가 있는 병소에 균이 존재할 때 발생하는 경색
(4) 무균성 결핵 : 병소에 균이 존재하지도 않으면서 단순한 괴사를 일으키는 경우
: 경색성 반흔(뇌의 경우 연화낭포)
: 혈관계질환으로 사망한 환자들의 대부분은 심근경색이거나 뇌경색이 일어난다
폐경색도 흔히 볼수있는데 하지에 괴사를 일으킴
※ 심근경색 : 심장에 필요한 혈액량을 충족키지 못할 때 일어나며, 대부분 관상동맥경화증에 의해 발생한다.
: 심장에 피를 공급하는 혈관이 막혀서 그동맥에 의해 영양분을 공급받는 부위가 괴사에 빠지는것
좌관상동 하행지의 기시부근에 일어난다
증상 : 가슴의 통증, 식은땀, 구토, 얼굴창백, 혈압 저하, 호흡수 증가, 심하면 사망
(1) 원인
(2) 영향 : 사망 또는 심장기능 장애를 초래하는데 사망하지 않았을 때에는 기질화가 1~2일 내에 시작하여 7~10일이면 끝난다 기질화된 부위가 혈압을 이기지못하여 파열할수 있다
(1) 초기 쇼크(대상성 쇼크)
(2) 진행성 쇼크(비대상성 쇼크)
(3) 비가역적 쇼크
(1) 전신부종 : 몸전체가 붓는 병적 상태, 전신의 조직 내에 조직액과 림프액이 평상시보다도 심하게 증가한 상태
(2) 국소 부종 : 염증에 의한 염증성 부종이 가장 많다
림프관이 폐색되는 림프성 부종, 심부전이나 폐모세혈관 장애에 의한 폐부종, 정맥폐색에 의한 부종
(1) 누출액 : 복수의 누출액은 간경변증이나 신증후군, 울혈성 심분전일 때 나타나며 흉수의 누출액은 울혈성 심분전
(2) 삼출액
– 복수의 삼출액 : 결핵성 복막염 등의 염증이 있을 때나, 악성 종양등이 있을 때 나타남
– 흉수의 삼출액 : 폐결핵 폐렴등의 염증이 있을 때나 악성 종양등이 있을 때
총경 이상 경찰 간부 전원, 다음 달 내 마약 검사 (2025-08-13) 내용 경찰청장 지시사항으로 우선…
1형당뇨, 2026년 5월부터 췌장장애로 인정 내용 13일 보건복지부가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서미화 더불어민주당 의원에 제출한…
성인ADHD 치료 (유튜버 덕자) 성인ADHD 치료 2023년 5월부터 성인ADHD 치료를 시작했다. 일상 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알콜의존증으로 술도…
라식한걸 후회하는 안구갤러 (수술 부작용) 내용 반응 댓글 수술 후관리가 중요함 난 일주일간 눈감고 라디오만 들으면서 살았음 3일감은 아예 눈 안뜨고 먹여주는것만 먹고 약 넣을때만 눈뜸 그뒤로도 암막커튼 치고 불 다끄고 선그라스 낀채로 밥먹고 나야 잘 되긴 했는데 검사도 많이 받아보고 해야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