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구 : RBC, WBC, platelet 적혈구랑, 혈소판은 핵이없고 백혈구는 핵이있다
혈장 : 혈구를 뺀 나머지 담황색 수분 90% 나머지 혈장 단백질 (알부민, 글로불린, 섬유소원, 트랜스페린)
: 동맥내로 유입되는 혈액량의 증가로 그 부위의 동맥 및 모세혈관에 혈액이 과량으로 들어있는 상태
① 움직이는 근육이나 임신 자궁등의 생리적 반응
② 얼굴이 빨개지는 것과 같은 중추신경성 혈관 자극
③ 혈관수축신경 마비
④ 외상이 있을 때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신경반사기전의 결과
⑤ 염증에서 볼 수 있다
: 동맥으로부터 유입되는 혈액량의 감소로 그부위의순환 혈액량이 감소하는 조직의 국소적인 빈혈 상태
– 원인 : 동맥 내강의 협착, 폐색
산소결핍이나 영양 저하로 인한 장애가 초래
증상 : 동통, 창백, 맥박 감소, 감각이상, 부종, 마비
: 정맥으로부터 배출이 장애를 받아 조직내에 혈액이 증가해서 정맥혈액이 몰려 있는 것을 울혈
(1) 국소적 울혈
(1) 백색혈증 : 혈소판위에 백혈구층그위에 다시혈소판 층이 형성하여 섬유소가 엉킨 가닥
(2) 적색혈증 : 섬유소 응고가 일어나면 그중에 백혈구와 적혈구가 혼합되어 적색으로 보임
(3) 혼합혈전 : 백색층과 적색층의 교차로 층을 형성 하는 것
(4) 초자혈전 : 주로 섬유소로 이루어짐 혈소판도 소량 함유 소혈관이나 모세혈관에 나타남 파종성 혈관내응고증(DIC)일 때 심장, 심장이나 폐에서 확인됨
※ 파종성 혈관내응고증(DIC)
혈전 증상의 대표적인예로 잘나옴
① 혈관 파열 시 내피하 결합조직이 노출되면 혈소판이 부착
② 혈소판이 응집
③ 혈소판에서 조직인자를 분비하여 섬유소를 형성하고 적혈구, 혈소판 덩어리가 모여 지혈된다.
: 심장과 혈관 내에서 형성된 혈전, 그리고 혈관 외부에서 안으로 들어온 유리체 부유물이 혈류로 운반되어 말초의 혈관이 폐쇄한 상태
: 혈관을 막아 색전증을 일으킨 이물질, 색전으 종류로는 99%가 혈전 그 외 조직편, 종양세포괴, 세균괴, 기생충, 기체, 지방성 액체(골절시)
(1) 정맥성 색전증 : 정맥계에 생긴 색전은 우심을 통과하여 폐순환계로 들어가 폐동맥 말단의 작은 혈관에 색전증을 일으킨다
(2) 동맥성(전신성) 색전증 : 색전이 동맥에 의해 운반되는 경우를 말하며 좌심방, 좌심실 또는 대동맥에 생긴 혈전이 대순환 계의 여러 장기의 말초동맥에 색전증을 일으키게 된다
(3) 가스 또는 공기색전증 : 기포가 혈관 안에 발생하여 색전증을 일으키는 것, 잠수 시 기압차이로 혈액속에 용해되어있던 질소가 기포화 되거나, 정맥주사 시 기포가 혈관 내에 유입, 유산 시 강력한 자궁수축으로 큰 작궁정맥동이 파열되어 공기가 혈관 내로 유입되는 경우
(4) 지방 색전증 : 황색골수로 된 뼈가 골절될 때 또는 지방조직이 심한 외상을 입었을 때 점진적 폐부전증, 정신력 퇴보와 함께 신부전증이 초래되는 것을 말한다.
파열된 혈관속으로 지방구가 유입되어 여러 장기에 분포한 혈관에 색전증을 일으키기 떄문
: 장기 조직에 동맥 혈액의 공급이나 정맥혈액의 유출이 갑자기 차단되면 허혈성 괴사가 생기는 것
원인 : 혈전증이나 색전증 혈관폐색 (동맥에 잘일어남)
(1) 백색경색(빈혈성 경색) : 동맥폐색이 있거나 고형 조직의 동맥순환이 차단될 때 일시적으로 충혈 되었다가 회백색의 경색을 보임
(2) 적색경색(출혈성 경색) : 정맥폐색이 있거나 혹은 이중순환을 보이는 장기, 울혈되었던 장기 등에서 자주 발견 폐에서 동맥폐색이 생길 경우 폐실질에 울혈이 생겨 적색 경색을 일으킴
(3) 패혈성 경색 : 괴사가 있는 병소에 균이 존재할 때 발생하는 경색
(4) 무균성 결핵 : 병소에 균이 존재하지도 않으면서 단순한 괴사를 일으키는 경우
: 경색성 반흔(뇌의 경우 연화낭포)
: 혈관계질환으로 사망한 환자들의 대부분은 심근경색이거나 뇌경색이 일어난다
폐경색도 흔히 볼수있는데 하지에 괴사를 일으킴
※ 심근경색 : 심장에 필요한 혈액량을 충족키지 못할 때 일어나며, 대부분 관상동맥경화증에 의해 발생한다.
: 심장에 피를 공급하는 혈관이 막혀서 그동맥에 의해 영양분을 공급받는 부위가 괴사에 빠지는것
좌관상동 하행지의 기시부근에 일어난다
증상 : 가슴의 통증, 식은땀, 구토, 얼굴창백, 혈압 저하, 호흡수 증가, 심하면 사망
(1) 원인
(2) 영향 : 사망 또는 심장기능 장애를 초래하는데 사망하지 않았을 때에는 기질화가 1~2일 내에 시작하여 7~10일이면 끝난다 기질화된 부위가 혈압을 이기지못하여 파열할수 있다
(1) 초기 쇼크(대상성 쇼크)
(2) 진행성 쇼크(비대상성 쇼크)
(3) 비가역적 쇼크
(1) 전신부종 : 몸전체가 붓는 병적 상태, 전신의 조직 내에 조직액과 림프액이 평상시보다도 심하게 증가한 상태
(2) 국소 부종 : 염증에 의한 염증성 부종이 가장 많다
림프관이 폐색되는 림프성 부종, 심부전이나 폐모세혈관 장애에 의한 폐부종, 정맥폐색에 의한 부종
(1) 누출액 : 복수의 누출액은 간경변증이나 신증후군, 울혈성 심분전일 때 나타나며 흉수의 누출액은 울혈성 심분전
(2) 삼출액
– 복수의 삼출액 : 결핵성 복막염 등의 염증이 있을 때나, 악성 종양등이 있을 때 나타남
– 흉수의 삼출액 : 폐결핵 폐렴등의 염증이 있을 때나 악성 종양등이 있을 때
(미생물학) 세균 - 구조와 기능 아포 증식환경 세균증식곡선 (문제 포함) 세균의 구조와 기능 • 세균(bacteria)…
(미생물학) 인물과 업적 (문제 포함) Anton Van Leeuwenhoek(1632~1723) - 최초의 미생물 발견, 현미경 개발, 현미경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