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부인과는 크게 산과와 부인과로 나뉩니다.
산과쪽이 출산을 담당하고
부인과쪽은 여성 질환(자궁, 난소 등)을 담당합니다.
그래서 조금 더 정확히 말하면 산부인과 중
산과가 무너지고 있습니다.
지방의 경우 집 근처에 분만 가능한 병원이
없는 곳도 수두룩한 게 현실입니다.
흥미로운 건 산부인과 의사 수 자체는 늘었다는 점입니다.
출산률이 급감하는 상황에서
산부인과 의사 수가 늘긴 늘었는데
산과는 대체 왜 무너진 걸까요?
분만실을 운영하는 건 굉장히 돈이 많이 듭니다.
애가 언제 태어날 지 모르기에
24시간 유지해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선 최소한 다음과 같은 인력이 필요합니다.
– 산과 의사 2명(2교대 기준)
– 간호사 6~7명(수술 어시 + 분만실 담당 3교대)
– 지원인력(마취과 등)
이건 최소로 잡은 인원이고
실제론 더 많은 인원이 필요합니다.
저렇게 굴리면 아무도 못 쉽니다.
여기에 수술방도 있어야 해서
병원도 크게 해야 합니다.
병원 임대료도 더 비싸고
장비 임대료도 만만치 않습니다.
그러다보니 분만 쪽은
진짜로 적자가 꽤 심합니다.
대체 왜 이렇게 된 걸까요?
우선 분만 비용이 너무 저렴합니다.
한국의 분만 비용은
건보에 의해 가격이 고정되어 있습니다.
문제는 이 가격이 몹시 저렴하다는 겁니다.
산부인과의 원가 보전율은 약 61%로
정상 진료를 하면 손해를 보는 구조입니다.
심지어 분만은 40%를 주장하는 의견도 있습니다.
이걸 메우려면 박리다매로 환자를 빨리/많이 보거나
비급여를 파는 수밖에 없는데
애초에 출산 자체가 없는 데다
출산 쪽은 비급여 팔 것도 뭐 없습니다.
과거엔 출산이라도 많아서 버텼는데
이제 그것도 무너졌으니
아직도 운영하는 사설 출산 병원들이 신기할 정돕니다.
오늘도 산과 관련 뉴스가 있었습니다.
솔직히 안타까운 사건입니다.
아기 부모 입장에서 보면
가슴이 찢어질 일이라는 거 저도 공감합니다.
당연히 의사가 미울테고
제가 현장에 있던 것도 아니라서 전후사정을 모르니
과실에 대해서도 쉽게 말하기 어렵습니다.
근데 잘잘못을 떠나
저런 사건을 의사 입장에서 보면
그냥 이런 생각이 듭니다.
‘역시 산부인과 같은 거 하면 안 된다.’
‘하고많은 과 중에 하필 산부인과를 하셔서’
‘괜히 출산 쪽 건드리면 인생 ㅈ될 수 있다’
‘그냥 안전하게 부인 검진 같은 거나 하시지’
실제 주변 반응도 그렇고요.
게다가 분만 쪽은
‘무과실 분만사고 보상금’이라는 제도도 있었습니다.
과실이 없어도 도의적인 책임을 지라는 제도입니다.
의료라는 건 100%가 없는 영역입니다.
아무리 잘해도 사고가 터지는 게 이쪽 업계인데
무과실인 게 밝혀져도 보상금을 내야한다니…
산과를 선뜻 택하기 어렵게 만든 제도 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있는 분만 병원도 사라지는 판에
개인 돈 들여서 분만 병원을
그것도 지방에 지을 사람은 손에 꼽을 겁니다.
심지어 대학병원에서도
분만실은 적자를 유발하기에 눈엣가시입니다.
실제로 문을 닫는 곳도 꽤 많습니다.
그러다 보니 산과는 하려는 사람도 없지만
일자리도 없습니다.
돈도 못 벌고
산모/태아가 잘못되면 처벌받는 구조에서
사명감을 가지고 산과를 하는 사람은 나오기 힘들겁니다.
현재 소아과를 달빛어린이병원이란 제도로 국가가 지원하는 것처럼
분만실/분만도 국가가 나서서 책임지는 것 말곤 답이 없어보입니다.
여성 혈액암 환자는 오후 항암치료가 더 효과적이다 영상 https://youtu.be/_mtvslx3C-w?t=261 관련 글 여성 혈액암 환자의 경우…
완경이라는 좋은 말을 두고 왜 폐경이라는 말을 쓰세요? 영상 https://youtu.be/fUpRNlc3AV0?t=1 주요 내용 폐경에 쓰이는 한자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