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벽 1시 넘어 자면 당뇨병 위험 최대 4배 증가 (솔방울샘 멜라토닌)

새벽 1시 넘어 자면 당뇨병 위험 최대 4배 증가 (솔방울샘 멜라토닌)

당뇨병 발생와 취침시간 관계

멜라토닌이 수면 시 혈당 조절을 도와줌

멜라토닌은 수면 호르몬

솔방울샘

사이뇌 – 시상상부 – 솔방울샘

= 간뇌 – 시상상부 – 송과선

뇌의 내분비샘 중 하나로 인간에 경우 뇌량의 뒷부분 아래에 위치한 솔방울 모양을 하고 있다.

나이가 들수록 이곳에 석회질이 쌓여서 멜라토닌 분비가 일어나지 못하고 수면 장애를 일으킨다.

마찬가지로 플루오린(불소)이 너무 과하면 솔방울이 석회화 하는데에 영향을 끼쳐 수면 장애를 일으킨다고 한다. 그래서 수돗물 불소화 반대론의 근거로 쓰이기도 한다.

멜라토닌

멜라토닌은 간뇌에 있는 송과선에서 분비한다. 낮에 햇빛에 노출되어야 생성이 되고 밤에 분비가 가능하다. 저녁 7시에 분비되기 시작하여 10시에 급상승하고 새벽 3시에 최고로 분비되었다가 그 다음 아침 7시에 빛이 들어오면 멜라토닌 호르몬의 분비가 억제되어 숙면을 할 수가 없다. 또 성장호르몬은 잠자기 시작 후 1~2시간 내에 분비되기 시작하여 멜라토닌 호르몬과 같은 과정을 겪는다. 그 반대로 아드레날린과 코르티솔은 아침 7시에 깰 때에 가장 많이 분비되기 시작하여 점점 상승하다가 저녁 7시에 낮아진다.

체내 생합성 핵심 재료는 비타민 B6 + 비타민 B12 + 트립토판 + 마그네슘의 4가지이다.

가장 중요한 역할로 활성산소를 제거하여, 호흡에 사용되는 산소의 독성을 중화한다. 이 때문에 빛에 의해서 멜라토닌 호르몬의 분비가 차단되면 활성산소가 증가하여 암도 발생한다고 한다.

yongyong

Recent Posts

몸에서 지방이 빠져나가는 과정

몸에서 지방이 빠져나가는 과정 그래서 지방은 태우기한다고 하나봐요 역시 숨쉬는것도 운동이였어 지방 10키로를 수분1.6키로, 이산화탄소 8.4키로로 만드는 변환과정은 왜 생략을하냐고!

5시간 ago

당뇨에 치명적인 습관

당뇨에 치명적인 습관 내용 반응 댓글 담배 안 피는데도 배 겁나 나왔는데 폈으면 무슨 세쌍둥이 임산부 될뻔 했네 지금은쌍둥이이신가봐요 근데 끊으면 즉각적으로 살 ㅈㄴ 찌는건 맞음 반년 내 10~15kg은 찐다봐야함 금단현상이 식욕으로 발생함 근데 문제는 뭐야 당연히 먹어도 해소가 안됨 내몸이 원하는건 니코틴이지 음식이 아니거든…

18시간 ago

간호사 직제 설명 (예시 – 대한민국 빅5 대학병원)

간호사 직제 설명 (예시 - 대한민국 빅5 대학병원) 대한민국 빅5 대학병원의 직제 예시는 다음과 같다.…

18시간 ago

간호사 유튜버가 말하는 차량 혈액형 스티커의 진실

간호사 유튜버가 말하는 차량 혈액형 스티커의 진실 내용 결론부터 말하면 아예 쓸모 없음 환자가 오면…

18시간 ago

밥 먹고 혈당 내리기 좋은 간단한 운동

밥 먹고 혈당 내리기 좋은 간단한 운동 식후 1시간 235 식후 1시간 30분 - 운동…

21시간 ago

비만전문의 ‘노동과 운동의 차이’

비만전문의 '노동과 운동의 차이' 내용 댓글 반응 걍 다 무시하고 걷기라도 하면 중간은 감. 저런거…

21시간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