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간 담낭 췌장 임상진단검사
1️⃣ 혈액검사 (Blood Test)
간, 담낭, 췌장의 기능을 확인하는 가장 기본적인 검사
| 검사 항목 | 의미 및 상승 시 의의 |
|---|---|
| AST (GOT), ALT (GPT) | 간세포 손상 시 상승 (간염, 간경화, 간암 등) |
| ALP (Alkaline phosphatase) | 담도폐쇄, 담석증, 간종양 등에서 상승 |
| LDH (Lactate dehydrogenase) | 간세포 괴사 시 증가 |
| Bilirubin (총·직·간접 빌리루빈) | 황달 정도 파악, 간세포성·폐쇄성 황달에서 증가 |
| Albumin | 간에서 합성 → 감소 시 간기능 저하, 영양불량 |
| Prothrombin time (PT) | 간에서 응고인자 생성 저하 시 연장됨 |
| Ammonia (NH₃) | 간에서 해독 불능 시 상승 → 간성뇌병증 위험 |
| α-fetoprotein (AFP) | 간세포암 표지자 |
| Amylase, Lipase | 췌장염, 담관 폐쇄 시 상승 |
2️⃣ 영상진단검사 (Radiologic Studies)
① 담낭조영 (Cholecystography)
- 담낭의 형태 및 기능, 담석 유무 확인
- 구강 담낭조영(oral cholecystogram): 조영제(요오드제)를 복용 → X선 촬영
- 정상: 담낭이 조영제로 채워짐
- 비정상: 담석은 X선 상 어두운 그림자로 보임
② 담관조영 (Cholangiography)
- 담관 구조, 담석, 폐쇄 여부 확인
- 조영제를 담관에 주입 후 X선 촬영
| 종류 | 설명 |
|---|---|
| ERCP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 내시경으로 담췌관에 조영제 주입 후 직접 관찰 (담석, 협착 진단 및 제거 가능) |
| PTC (Percutaneous Transhepatic Cholangiography) | 피부를 통해 간을 천자하여 조영제 주입 → X선 촬영 |
| T-tube Cholangiography | 담낭적출술 후 T자관을 통해 조영제 주입, 담즙 배설 상태 확인 |


③ 혈관조영 (Angiography)
- 간 · 담낭 · 췌장의 혈류이상, 종양, 출혈 위치 확인
- 조영제를 대퇴동맥 → 복강동맥·간동맥에 주입 후 X선 촬영
3️⃣ 복부천자 (Abdominal Paracentesis)
- 복강 내 복수 제거 및 진단(세균배양) 목적
- 자세: 상체를 세워 복수 하방에 모이게 함
- 시술 후 간호:
- 활력징후 자주 측정
- 쇼크 및 순환혈량 감소 주의 (수액 이동으로)
- 반복 시 칼륨 고갈 가능성
4️⃣ 간생검 (Liver Biopsy)
- 간조직 채취 후 현미경으로 병변 확인
- 종류
- 개방적 생검: 전신마취·복부 절개
- 폐쇄적 생검(경피적): 침(needle)으로 조직 핵심부 채취
- Plugged biopsy: 출혈위험 시 젤라틴 주입으로 통로 봉쇄
- 세침흡인(Fine needle aspiration): 악성종양 진단용
⚠️ 간호 포인트
| 구분 | 간호내용 |
|---|---|
| 검사 전 | 응고장애, 혈소판 수 확인, 금식, 활력징후 측정 |
| 검사 중 | 숨 참기 교육(침 삽입 시 간 움직임 방지) |
| 검사 후 | 우측으로 눕혀 1~2시간 압박 → 출혈예방, 24시간 침상안정 |
✅ 핵심 요약 한 줄
간질환 진단은 혈액검사(간효소·응고기능) → 영상검사(담낭·담관·혈관조영) → 침습검사(복부천자·간생검) 순으로 점진적으로 시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