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건너뛰기

(성인간호학) 담낭질환

(성인간호학) 담낭질환

🔹 1) 담낭의 해부 · 생리 요약

  • 담즙은 간에서 생성되어 담낭에 저장
  • 식후 콜레시스토키닌(CCK) 자극 → 담낭 수축 → 담즙이 십이지장으로 배출
  • 담즙의 주요 기능: 지방 유화, 흡수 촉진

🧩 1. 담석증 (Cholelithiasis)

(1) 정의

  • 담낭 또는 담관 내에 **결석(담석, gallstone)**이 형성된 상태

(2) 원인 및 위험요인

분류내용
담즙 구성 이상콜레스테롤·빌리루빈 과다, 담즙염 결핍
담즙 정체담낭 운동 저하, 임신, 장기간 금식
감염세균감염 → 점액, 찌꺼기 축적
기타여성, 40세 이상, 비만, 다산, 고지방식, 경구피임약

(3) 병태생리

  • 담즙 성분의 불균형 → 침전물 생성 → 결석 형성
  • 결석이 담낭관·총담관을 막으면 → 염증(담낭염), 폐쇄성 황달 발생

(4) 증상 및 징후

구분주요 특징
무증상가장 흔함 (우연히 발견)
담도산통오른쪽 윗배 또는 명치 통증이 등·오른쪽 어깨로 방사
소화기 증상오심, 구토, 고지방식 후 소화불량
폐쇄성 황달담관 폐쇄 시 피부·공막 황달, 회색변, 진한 소변
발열·오한담낭염 동반 시

(5) 진단

검사내용
복부초음파담석 유무, 담낭벽 두께 확인 (가장 정확·비침습적)
혈액검사ALP, AST, ALT, 빌리루빈 상승
ERCP/PTC담석 위치 및 폐쇄 부위 확인 가능
복부 CT담낭염·담낭파열 등 합병증 평가

(6) 치료 및 관리

① 내과적 치료

  • 식이요법: 지방 제한, 소량씩 자주 섭취
  • 약물요법: Ursodeoxycholic acid (UDCA) — 콜레스테롤 담석 용해
  • 통증완화: 진통제, 진경제
  • 수액공급: 구토 시 수분·전해질 보충

② 외과적 치료

수술명설명
복강경 담낭절제술 (Laparoscopic cholecystectomy)가장 일반적, 회복 빠름
개복 담낭절제술 (Open cholecystectomy)복강경 불가 시 시행
T-tube 삽입수술 후 담즙 배액 유지 및 담관 조영 검사 가능

③ 수술 후 간호

  • 통증사정 및 조절
  • 복부팽만, 담즙누출, 감염 관찰
  • T-tube 관리:
    • 1일 배액량 500~1000mL, 점차 감소
    • 담즙 색깔(황록색)·냄새 확인
    • 7~10일 후 조영검사 후 제거

🧩 2. 담낭염 (Cholecystitis)

(1) 정의

  • 담낭의 염증으로, 대부분 **담석(90%)**에 의해 발생
  • 비결석성 담낭염(무석성): 외상, 화상, 패혈증, 장기간 금식 등으로도 발생

(2) 병태생리

  • 담석이 담낭관 막음 → 담즙 정체 → 점액·세균증식 → 염증·부종·괴사
  • 만성화되면 담낭벽 비후·섬유화

(3) 증상

구분내용
통증우상복부 심한 통증, 등·오른어깨 방사
발열, 오한염증반응
구역·구토담즙 정체로 인한 소화불량
Murphy’s sign 양성우상복부 촉진 시 호흡 멈춤
황달총담관 폐쇄 시

(4) 진단

  • 초음파: 담낭벽 비후, 담석 확인
  • 혈액검사: 백혈구 증가, 간효소·빌리루빈 상승

(5) 치료 및 간호

구분내용
보존적 치료금식(NPO), 수액·항생제·진통제 투여
영양관리통증 감소 후 저지방식·단백질 보충
수술요법담낭절제술(급성·재발성 시)
간호관리통증사정, 체온·황달 관찰, 감염예방, 복부팽만·배액량 확인

(6) 합병증

  • 담낭파열, 복막염, 패혈증, 담낭농양, 담도폐쇄

핵심 요약 한 줄

담석증은 담즙 성분 불균형으로 생긴 결석 질환,
담낭염은 그 결석이 담낭관을 막아 생긴 염증성 질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