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건너뛰기
» (성인간호학) 생애말간호

(성인간호학) 생애말간호

(성인간호학) 생애말간호

죽음에 대한 이해

철학적 관점

– 오직 한번 밖에 배당되지 않은 유한된 시간

– 죽음이란 과거, 현재, 미래가 이루는 일직선상의 마지막 끝이며 절대적 허무

– 동양철학에서는 인생을 윤회적(輪廻的)으로 해석

– 종교적 관점에서 영적인 세계의 시작

생물학적 관점

– 우리나라 뇌사 판정 기준은

임상적 관점

– 임상적으로 죽음이란 호흡과 순환이 모두 멈춘 상태

– 임상에서 의사가 호흡정지, 심박동정지, 동공확대 및 대광반사 소실이라고 하는 죽음의 3징후에 의거하여 ‘심폐사’라 판정하였다.

– 의사가 사망진단서를 작성함으로써 공식적으로 죽음이 인정된다.

죽음에 대한 심리적 적응

Elizabeth Ross (1969)에 의하면, 인간은 자신의 죽음을 받아들이기까지 부정, 분노, 타협, 우울, 수용의 다섯가지 단계를 겪는다고 하였다.

(1) 제1단계 : 부정(denial)

(2) 제2단계 : 분노(anger)

(3) 제3단계 : 타협(bargaining)

(4) 제4단계 : 우울(depression)

(5) 제5단계 : 수용(acceptance)

죽음과 관련된 윤리적 문제

생애말 계획과 연명의료결정제도

– 우리나라는 “호스피스 · 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대상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여 시행중이다.

– 사전연명의료의향서 : 19세 이상인 사람이 자신의 연명의료중단 등 결정 및 호스피스에 관한 의사를 직접 문서(전자문서를 포함한다)로 작성한 것

– 19세 이상 성인은 언제든지 사전연명의료의향서를 미리 작성해둘 수 있다.

– 평소 연명의료에 관한 대상자의 의향을 대상자 가족 2인 이상이 동일하게 진술한 경우 연명의료를 유보하거나중단할 수 있다.

장기와 조직 기증

– 갑작스러운 사고나 질병으로 인해 뇌사(brain death)에 이른 경우

– 현재 뇌사시 기증 가능한 장기는 신장, 간, 심장, 폐, 췌장, 랑게르한스(langerhans), 소장, 각막이며, 장기기증과 거의 동시에 장기이식 수술이 이루어진다.

안락사

– 한국 안됨

생애말간호

– 완화의료(palliative care) :통증의 치료, 사정, 조기발견으로 고통을 감소시키고 예방하며 신체적 · 정신적 · 영적문제를 경감시켜 생명을 위협하는 질병을 가진 대상자와 가족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

신체적 간호

• 통증조절

• 호흡곤란완화

• 구강간호와 영양관리

– 영양공급

– 식욕부진

• 수분섭취와 체액균형

• 배설증진

• 휴식과수면

• 욕창 및 위생관리

– 욕창관리

– 피부관리

– 외모

– 냄새

• 응급간호상황

– 고칼슘혈증

– 척수압박

– 상대정맥증후군

– 진통제의 사용원칙

• 규칙적 투여

• 경구투여

• 부작용 예측 및 조절

• 마약성 진통제에 대한 오해 사정

• 위약(placebo) 사용금지

– 신체적 간호의 요점

정서적 간호

– 생애말 대상자의 정서적 간호

• 옆에 있어 준다.

• 대상자의 언어에 귀를 기울인다.

• 감정에 초점을 맞춘다.

• 대상자의 감정을 있는 그대로 이해하려고 노력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영적 간호

• 의미추구의 요구

• 용서에 대한 요구

• 사랑에 대한 요구

• 희망에 대한 요구

문화적 다양성을 고려한 간호

– 국내 다문화가정에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베트남, 일본, 중국을 포함한 동양권 국가들은 유교와 불교의 영향

사망을 앞둔 대상자 간호

– 신체적 변화

• 차가워짐

• 수면시간의 연장

• 혼돈

• 요실금 또는 변실금

• 울혈

• 불안정

• 수분과 음식의 섭취량 감소

• 소변량 감소

• 호흡양상의 변화

– 정서적 및 영적 간호

• 위축

• 환상과 같은 경험

• 불안정

• 대인관계 감소

• 대상자의 죽음을 인정하고 받아들임

• 마지막 인사

사별 후 가족 간호

– 사별단계

• 회피단계

• 직면단계

• 조정단계

사별 가족의 간호

– 슬픔 단계별 간호 (회피 -> 직면 -> 조정)

호스피스의 개념

호스피스의 정의

– 호스피스(hospice)란 생애말 대상자가 죽기 전에 머물면서 쉬고 생을 정리하고 완성하여 조화를 이루는 작업을 하도록 시간과 공간을 마련해 주는 것이다.

호스피스의 역사

– 중세기에 예루살렘 성지순례자들을 위하여 하룻밤 편히 쉬어가도록 한 것에서 비롯

– 우리나라는 1963년 마리아의 작은 자매 수녀회에 의해 갈바리 의원이 세워지면서 시작

– 1988년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을 시작으로 하여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암센터와 이화여자대학교 간호대학에서 가정방문호스피스 사업을 펼쳤다.

호스피스의 유형

– 일반적인 호스피스의 유형은 서비스 형태에 따라 가정방문형, 병원입원형, 시설거주형으로 나눌 수 있지만,

– 국내에서는 서비스 형태에 따라 입원형 호스피스, 가정형 호스피스, 자문형 호스피스로 분류되고 있으며 최근 시범사업으로 소아청소년완화의료서비스가 운영되고 있다.

– 입원형 호스피스 : 의료기관에서 호스피스 병동을 운영하는 것으로 말기암 대상자들에게 주로 제공된다.

– 가정형 호스피스 : 가장 보편적으로 제공되는 서비스 형태로 호스피스 요원이 대상자의 가정을 직접 방문하여 서비스를 제공한다.

– 자문형 호스피스 : 일반병동이나 외래에서 의료진의 진료를 받으며 호스피스에 관한 자문을 제공하는 형태이다.

– 소아청소년 완화의료서비스 : 소아청소년 대상자와 가족이 치료과정에서 겪는 여러 증상, 불편, 스트레스 등 신체, 심리, 사회적 어려움을 완화시키고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의료서비스로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을 포함한 10개 기관에서 시범사업으로 운영되고 있다.

호스피스 간호사의 준비

– 호스피스는 대상자의 신체적 · 정신적 · 사회적 · 영적요구에 맞춰 개별적 접근에 의한 간호를 제공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