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수술환자 간호
개요
수술 분류
목적
– 진단수술 : 생검(biopsy)으로 조직의 악성유무를 확인
– 탐색수술
– 완치수술
– 완화수술
– 예방수술
– 성형수술
범위
– 내시경수술
– 개방수술
– 단순수술
– 근치수술
법적 · 윤리적 쟁점
– 수술에 대한 동의를 받는 사전동의 과정
– 수술간호사의 역할은 환자 옹호이다.
– 수술동의서에 들어갈 필수요소로는 환자의 성명, 의사의 서명, 수술명, 환자 또는 법정대리인의 서명(전자문서 포함), 증인의 이름, 동의서 작성날짜 등
수술 전 간호
– 수술환자 : 간호의시기에 따라 수술 전, 중, 마취회복기, 수술 후 간호로 구분
– 수술 전 간호 : 수술전날부터 수술직전까지
– 수술전 환자사정은 건강력, 신체사정, 진단검사에 의해 이루어진다.
일반적 준비
환자 면담
– 환자의 건강 관련 정보의 수집
– 잠재적 합병증을 파악
– 환자의 수술에 대한 불안정도 파악
– 정서적 상태 파악
수술 전 환자 간호사정
① 심리사회적 사정 : 수술은 환자에게 위협이 되는 사건 – 수술에 대한 환자의 심리적 준비
② 병력 : 환자의 건강문제, 병력파악 -> 잠재적인 문제 예측
– 병력사정 – 환자의 과거 병력과 구체적인 질문
③ 약물 : 수술 전 복용 약물에 대한 정확한 확인. 수술 후 치료과정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약물이 있는지 확인
– 항부정맥제제, 항고혈압제제, 면역억제제, 항응고제, 항경련제
– 내분비계에 영향을 미치는 약물 – 복용여부 확인
④ 신체사정 : 환자의 병력과 신체사정을 통해 나온 결과
– 수술 당일 환자의 마취 결정에 영향을 미침
– 수술 전 위험 여부를 판단하고 결정하는데 중요한 근거
⑤ 임상검사 : 수술 전 처방된 임상검사를 실시하고 결과를 확인하여 평가
1) 간호사정
(1) 연령 : 특히 노인-심장, 간, 신장, 폐기능약화
(2) 영양상태
① 단백질 : 조직의 재생에 필수적
② 비타민
③ 수분 : 탈수, 전해질불균형 → I/O 관찰
④ 비만
(3) 신체사정 – 감염주의 : 가벼운 감기라도 수술과정에 불리한 영향. 재채기, 기침, 인후통, 체온상승 사정
① 호흡기계
② 심맥관계
③ 간기능
④ 신장기능
(4) 정신-사회적 사정
① 불안, 두려움 : 통증, 신체상변화, 마취, 죽음 등에 대한불안
② 수술에 대한 지식수준
③ 지지체계
④ 과거 입원 횟수 및 수술 횟수
⑤ 재정상태 : 병원비 지불, 보험
2) 간호중재
(1) 불안
① 감정을 털어놓도록 수용적인 태도로 경청
② 무조건적인 안심은 부정적임
③ 수술기술, 절차, 병원규칙에 대한 안내
④ 가능하면 수술장, 회복실 미리 방문하고 간호사 소개
⑤ 수술 후 통증, 합병증에 대한 정보 제공
⑥ 이완요법
수술 전 교육 ① 심호흡과 기침 ② 체위변경과 조기이상 ③ 수술을 위한 법적 준비 |
(2) 환자교육
① 일반적인 교육 : 수술 전 준비내용, 수술에 관한 내용, 튜브, 배액관, 정맥주입, 금식, 피부준비, 관
장 등
② 합병증 예방교육
∙심호흡
– 목적 : 수술후 폐확장과 혈중 산소 유지, 무기폐 예방
– 복식호흡 : 깊고 느린 복부 호흡, 천천히 내쉬는 법
– 수술 전 하루 2회 연습
∙기침
– 목적 : 폐분비물 배출 용이, 폐렴 예방
– 기침 전 심호흡 : 기침반사 자극
– 기침시 수술 부위지지
∙체위 변경 및 하지 운동
– 목적: 혈액순환증진, 정맥정체예방, 적절한호흡기능유지에기여
– 빈도
∘°체위변경 : 매 2시간
∘°관절가동범위(ROM) 운동 : 3~4회/일
– 하지운동
수술 전날 간호
① 피부 준비
② 위 · 장 준비
③ 마취 준비
1) 영양 및 수분 : 금식(NPO)
(1) 수술에 따라 다르지만 주로 8~10시간 전
(2) 목적 : 수술 중 흡인과 구토 예방
2) 장 준비
3) 피부 준비
(1) 목적 : 피부 손상 없이 피부 박테리아 감소
(2) 절차
① 수술 전날 밤 베타딘 비누로 목욕
② 면도보다는 탈모제 크림이 안전
(3) 준비부위
수술 직전 간호
1) 일반적 간호
– 환자 손목 명찰 확인
– 의치, 껌 제거 : 마취동안 기도 흡인 방지
– 장식류(머리핀, 보철장치, 보청기, 안경, 콘택트렌즈, 의치 등) 제거, 속옷제거, 머리카락 정돈
– 화장, 매니큐어 제거 : 혈색 확인
– 방광비우기 : 수술동안 실금 방지, 장기관에 접근용이
– 수술전 점검표(Preoperative checklist) 작성
수술 당일 환자 간호 ① 수술 전 투약 – 불안 감소, 호흡기계 분비물 감소 – 진통, 기억억제, 위산의 산도 감소 – 분비억제, 알레르기 반응 억제 – 마취의 효과 연장 – 호흡기계 억제 효과 증가 ② 수술실로 가기 전 준비 |
(1) 단순도뇨의 적용
① 급성 방광팽만의 즉각적인 완화를 위해
② 방광기능 장애 대상자들의 장기간 관리를 위해
③ 무균적인 소변 검사물을 얻기 위해
④ 배뇨후 잔뇨량의 측정을 위해
(2) 유치도뇨의 적용
① 소변배출의 폐쇄가 있을 때
② 요도와 주위조직의 외과적 수술 대상자들을 위해
③ 요도폐쇄를 방지하기 위해
④ 중환자의 계속적인 소변량 측정을 위해
⑤ 실금하는 혼수 환자
⑥ 계속적이거나 간헐적 방광세척을 위해
2) 수술전투약
(1) 목적
① 수술 전 환자의 불안이나 흥분을 경감시키는 진정작용(수면제, 최면제)
② 타액과 위액의 분비를 감소, 기도 분비물을 억제하기 위함(항콜린제)
③ 통증과 불편감을 완화시키기 위함(진통제)
(2) 종류
① 진정제항불안제 (Sedatives)
∙벤조다이아제핀계(benzodiazepines)
∙midazolam(Versed), diazepam(Valium), lorazepam(Ativan)
② 부교감신경 억제제(항콜린제)
∙미주신경의 자극을 차단하는 약물
∙미주신경을 차단하여 호흡기계 분비와 타액분비를 감소시켜 기도가 폐쇄되는 것을 예방
∙Atropine sulfate, Glycopyrolate(Rubinul), Scopolamine
③ 마약성진통제(Narcotics)
∙마취유지에 필요한 전신마취제의 농도를 보다 감소시킬 수 있음
∙Meperidine(Demerol), Morphine, Fentanyl
수술 중 간호
수술실 간호사의 역할
1) 소독간호사
– 수술에 참여하여 의료진의 수술가운과 장갑 착용
– 수술환자의 수술부위 방포 및 수술이 진행될 수 있도록 기구 및 물품 전달
– 수술에 사용한 기구와 거즈, 바늘 등 모든 물품개수
① 수술의 해부와 생리, 수술과정에 대해 명확히 알고 있어야 함 ② 수술에 필요한 멸균된 물품(스펀지, 봉합사, 거즈등)과 수술기구 준비 ③ 손 소독, 무균적으로 가운을 입고 장갑 착용 ④ 수술과정에 외과의에게 필요한 기구를 제공 ⑤ 물품이 대상자의 신체내에 남아있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하여 수술과정 동안 사용된 물품의 수를 확인, 특히 순환간호사와 함께 정확하게 거즈와 바늘과 기구의 수를 확인 |
2) 순환 간호사
– 수술실의 무균상태 유지
– 비멸균영역에서의 수술과정을 돕는다.
① 수술계획표에 따라 수술방과 수술 장비를 준비 ② 소독간호사와 외과집도의의 가운끈을 묶어줌 ③ 수술상에 멸균물품을 공급 ④ 수술 중 간호를 계획하고 조정하며 기록 ⑤ 수술 과정 동안 무균술이 잘 지켜지는지 감독하고 필요한 물품과 기구를 공급 ⑥ 수술팀과 다른 사람들(가족, 병리과, 방사선과직원)과의 연락을 취함 ⑦ 소독간호사와 함께 거즈수를 확인하고, 바늘과 기구의 수를 확인⑧ 수술이 끝난 대상자를 편안하고 안전하게 회복실로 옮김⑨ 회복실 간호사에게 필요한 정보를 인계⑩ 대상자의 상태나 사용물품 등 필요사항을 기록⑪ 검사나 배양을 위한 검사물 관리 |
수술준비
– 수술 전 환자의 안전과 감염방지를 위해 수술실 환경에 대한 점검
– 수술실을 출입하는 모든 수술 요원은 수술복 반드시 착용
– 수술에 사용될 주요장비에 대한 사전점검
환자의 체위 준비
1) 체위 준비시 고려할 점
① 해당수술에서 선호되는 수술 체위 검토
② 수술을 위한 체위가 정확하지 않은 경우 수술 담당의사와 상의
③ 체위 준비를 신속하게 하기 위해 필요한 기구 점검
2) 체위 준비시 안전수칙
① 체위변경을 위한 이동시 마취의사의 승낙여부 확인
② 환자를 수술대로 옮길 때 환자의 수술 부위 확인
③ 환자가 누워있거나 환자를 이동시킬 때에는 반드시 수술 침대 고정
④ 마취의사는 항상 환자의 머리를 보호하고 움직이는 동안 지지
⑤ 팔의 과신전이나 주사바늘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팔지지대 사용
⑥ 환자가 누워있다면 발목과 다리를 교차시키지 않도록 함 -> 신경과 혈관에 폐색을 일으키는 압력을 생기게할 수 있기 때문
⑦ 환자가 옆으로 누워있다면 베개를 다리 사이에 끼워 혈관이 압력을 받지 않도록 해야함
⑧ 환자가 엎드려 있다면 흉곽의 압력을 감소시켜서 호흡을 촉진시켜야 함
⑨ 환자를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낙상예방
⑩ 체위로 인해 튜브(catheter, IV 등)와 모니터연결선이 막히지 않도록 주의함
수술 중 체위 ① 앙와위(Dorsal recumbent position) : 복부수술, 얼굴, 목, 어깨, 가슴, 유방 ② Trendelenburg p. : 하복부, 복강내수술(대장을 가슴쪽으로 몰아 수술 부위 확보) ③ Reverse Trendelenburgp : 담낭, 담도수술 ④ 쇄석위(Lithotomy p.) : 질, 직장수술, D&C(Dilation & Curettage) ⑤ 신장체위(Chest p.) : 신장이식수술 ⑥ 측와위(Lateral p.) : 한쪽폐수술, 신장수술, 고관절수술 ⑦ 추궁절제체위(Laminectomy p.) : 척추수술 ⑧ Jackknife p. : 치질, 항문수술 ⑨ Neurological sitting p. : 후두골절개 ⑩ Neurological prone p. : 후두골, 경추수술 |
체위 고정시 주의점 ① 낙상예방 ② 돌출 부위 압박 방지 : 신경, 근육, 혈액순환 ③ 추위예방 ④ 호흡원활 |
3) 체위 유지를 위한 기준
① 호흡 장애 여부
② 순환 장애 여부
③ 신경 압박 여부
④ 피부압박의 최소화
⑤ 수술부위의 효과적 접근
⑥ 마취유지에 효과적인 자세
⑦ 수술 후 불편감 완화
수술부위소독 베타딘 비누로 닦음 → 방포덮기 |
봉합 |
수술 중 합병증
(1) 저체온증
① 의도적 저체온증 : 기초대사율 감소 유도
② 비의도적 원인 : 수술장 온도, 찬 용액 주입, 근운동저하, 노인
③ 예방
∙수술장 온도 25~26.6℃ 유지
∙젖은 가운, 방포 즉시 교체
∙노인 : 마취동안 머리 싸주기 효과적
(2) 감염-무기폐, 폐렴
(3) 저혈량 및 출혈
(4) 심부정맥 및 심부 정맥혈전증
(5) 마비성 장폐색
(6) 비뇨기계 : 요정체, 핍뇨, 무뇨
(7) 수분과 전해질 불균형
(8) 욕창
수술 전 마취 준비
1) 전신마취
– 중추신경계의 반응으로 지각인지나 운동이 나타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대뇌피질에서 연상통로를 차단하므로 무통각, 근육이완과 함께 무의식 상태가 나타나는 것을 의미
– 의식소실, 무통, 비정상적인 반사의 차단과 근육이완을 유지
– 흡입마취 – 기관내튜브(endotracheal tube) 삽입
– 약물에 의해 중추신경계를 억압하여 기억상실, 진통, 무의식을 동반함
– 흡입 또는 정맥용 마취주사, 혹은 두 가지 방법의 병용
(1) 흡입마취(Inhalation anesthesia)
– 약제는 기화되어 흡입됨으로써 폐포막을 통과하여 혈류를 따라 중추신경계에 작용
– 기관내 삽관과 마취기계가 필요
① 장점
∙마취효과가 나타나는 시간이 빠름
∙마취시간을 조절하기가 용이함
∙환자에게 투여하기 쉬움
∙여러 장기에 대한 생리적인 변화가 적음
∙불활성이어서 생체 내에서 대사되지 않음
∙인체에 독성이 없음
∙근육이완작용이 좋음
∙진통효과가 좋음
∙화학적으로 안전성이 높음
∙비가연성이면서 폭발성이 없음
∙보관이 용이함
∙가격이 저렴함
② 단점
∙호흡기계 자극: 기침, 후두경련, 기관지경련, 기도분비물의 증가, 호흡억제
∙기억상실 유발
③ 흡입마취제의 종류
(2) 정맥마취
– 정맥 내로 전신 마취제를 주입하며 간단하고 신속하게 마취를 유도
– 흡입마취제 사용직전 유도 마취로 이용
– 소파술(D&C), 수면내시경 등 간단한 절차에 이용
① 장점
∙별도의 마취기계가 없어도 간편하게 시행할 수 있음
∙환자의 거부감이 적음
② 단점
∙마취 지속 시간의 정확한 예측의 어려움
∙흡입마취에 비해서 조절성(controllability)이 크게 떨어짐
③ 정맥마취제의 종류
∙Barbiturates : Sodium thiopental(펜토탈)
∙Neuroleptanesthetics: Fentanyl+Droperidol
∙Dissociative anesthetics : Ketamine
∙Benzodiazepines : Diazepam, Lorazepam, Midazolam
∙Propofol
(3) 전신마취의 단계
(4) 마취의 합병증
– 마취제로 중추신경계 억압 : 구개반사, 각막반사, 교감신경계 반사의 소실․ 저하발생
① 악성고열
∙골격근의 강직을 동반한 40℃ 이상의 고열을 동반하는 대사성 질환
∙휘발성 흡입마취제와 succinylcholine(Anestine)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 발생, 스트레스, 외상, 열과 관련
∙전신마취, 회복기 동안 발생
∙증상 : 근육의 경축, 고체온, 저산소혈증, 젖산혈증, 심장과 혈액역동학적 변화, 빈맥, 빈호흡, 심실부정맥
∙간호중재 : 대증요법
– 골격근 이완제(대사지연)
– 산혈증, 저산소혈증 교정체
– 체온 낮추기
2) 국소마취
– 의식의 소실없이 감각자극을 감소시켜 통증을 조절하는 것
– 국소마취 : 국소 도포와 침윤, 국부 신경차단, 약물의 전신적 흡수가 없어 잔류효과가 거의 없음
∙수술 중 의식이 소실되지 않으므로 수술 과정 동안 환자에 대한 정서적 간호가 요구
– 부위마취 : 심질환 또는 호흡기 질환을 가지고 있거나 전신마취로 인한 합병증 발생의 위험이 높은 경우,
금식 시간의 유지가 지켜지지 않은 경우에 시행
– 척수마취 : 지주막하강의 척수액에 국소마취제를 투여하는 것
– 경막외마취 : 경막외공간에 국소마취제를 투여하는것
(1) 국소마취의 장점
① 별도의 마취기가 필요 없음
② 간장, 신장, 내분비, 대사에 많은 영향을 미치지 않음
③ 마취 후에 구토가 적음
④ 금식시간이 충분하지 않은 응급환자에게 시행 가능
⑤ 수술 후 폐합병증의 발생빈도가 낮음
⑥ 화기가 있는 곳에서도 시행 가능
(2) 국소마취의 단점
① 마취의 조절성이 부족
② 급성독성반응이나 아나필락틱 쇼크 유발 가능성
③ 약한 근이완작용
④ 환자의 의식으로 불안이나 공포를 느낄 수 있음
⑤ 소아일 경우 협조를 구하기가 어려움
(3) 국소마취제 종류
(4) 척수마취(지주막하차단) 및 경막외마취
① 척수마취와 경막외마취 비교
(5) 척수 마취 후 부작용 : 두통, 마비, 뇌막염, 저혈압
① 원인 : 뇌척수액 유출, 부적절한 수액 주입
② 중재
∙뇌척수액 빠져나오지 않도록 베개없이 6~12시간 동안 앙와위로 안정
∙조용한 환경 제공
∙적당한 수분공급
∙세심한 마취 수준 조절로 호흡기 마비 예방
∙저혈압시 ephedrine 정맥주사
∙배뇨장애 및 하지무감각에 주의
수술 후 간호
회복실에서의 간호
– 기도와 순환상태에 대한 사정
– 기도유지 : 개방성과 산소공급, 호흡상태
– 순환상태 : 맥박과 혈압측정, 심전도연결 – 심박동수, 리듬평가
1) 초기사정
– 회복실 간호사 : 입원시 활력증상과 호흡기계 사정
∙호흡계에 대한 사정 :호흡수, 리듬, 호흡음, 산소포화도, 인공기도와 산소공급 방법 확인
∙순환기계에 대한 사정 : 심박동수와 리듬
∙신경학적 기능 사정 : 지남력 여부, 이름이나 병원 등에 대한 질문을 하고, 대답을 하는지 파악
∙환자의 사지를 움직여보게 하거나 머리를 들어보도록 함
∙신기능 :섭취량과 배설량 확인 평가
∙수술 동안의 총수액량, 혈액 상실, 정맥관, 수액, 세척액 기록
∙배액관, 도관을 확인 – 배액의양, 색깔, 점도 확인
∙모든 정보는 회복실 기록지 기록
– 마취회복기 간호단계
∙1단계 : 마취 직후 단계
∙2단계 : 지속적인 회복단계
∙3단계 : 관찰과 간호중재가 요구되는 단계
지속적인모니터 ECG, 활력징후 일반적 간호 사정 (1) 호흡기능 사정 : 제일 먼저 기도청결, 기도 개방성, 산소 공급 필요성 사정 (2) 심맥관계 기능 관찰 ① 첫 1시간 동안은 매 15분마다, 그 후 1~2시간 사이에는 매30분마다, 그 후 4시간은 1시간마다 그리고 후에는 4시간마다 활력징후 사정 ② 보고해야 할 상황 : 수축기압이 9 이하 또는 160mmHg 이상, 맥박이 60이하 또는 120회/분 이상, 불규칙한 심장 리듬, 혈압이 큰 차로 감소할 때 등 (3) 섭취, 배설량 : 6~10시간 이상 배설못하면 인공도뇨 (4) 수술부위관찰 : 수술부위의 출혈, 드레싱 (5) 배액관의 개방상태, 정맥투여 상태, 안위수준과 피부 상태를 포함한 전신 상태를 사정 (6) 통증정도에 따른 관리 및 휴식 / 안정제공 (7) 안전관리 : 침대난간을 올려놓음 (8) 감각 · 운동 기능 회복 : 손을 꽉쥐어 보게하여 운동 기능 회복 정도 사정 |
마취회복 수준 사정 (1) 마취 후 회복 상태 평가표(PAR score=Post Anesthetic Recovery) ① Activity(활동) ② Respiration(호흡) ③ Circulation(순환) ④ Consciousness(의식) ⑤ Color(피부색) (2) 의식 수준 사정: Glasgow coma scale(GCS) |
수술 후 병동간호
수술 후 합병증
1) 호흡기계 변화
① 기도의 폐쇄
② 후두경련
③ 기관지경련
호흡기계 합병증 (1) 수술환자에게 가장 흔하고 심각한 문제 (2) 예방 : 심호흡, 기침격려, 흡기측정계(inspirometer) 사용, 조기이상 |
혈전증 (1) 원인 : 장시간부동시혈전형성 (2) 증상 ① 족배굴곡시 장딴지 통증(Homans’ sign 양성) ② 환측 다리 부종, 열감, 발적 ③ 혈괴가 이동하여 폐나 뇌로 색전증을 유발하면 위험 ④ 합병증 : 폐색전증 ∙갑작스럽고 돌발적으로 발생 ∙예리하게 찌르는듯한 흉통, 호흡곤란, 불안, 동공확대, 식은땀, 맥박증가 ∙신속히 치료하지 않으면 사망할 수도 있음 (3) 중재 ① 예방 ∙다리운동 ∙낮은 용량의 헤파린 주사 ∙탄력스타킹(올바로 사용하지 않을시 오히려 위험할 수도 있다), 탄력붕대 ∙조기이상, 수분섭취권장 ② 치료 ∙정맥결찰, 항응고요법, 혈전용해요법 ∙침상안정, 온습포적용, 마사지금지 |
요정체 유치도뇨관삽입 |
장폐쇄 (1) 원인 : 수술, 마취로 인한 연동운동 저하, 장유착 (2) 증상 ① 체온, 호흡정상 ② 국소통증, 짧은간격으로 복부통증, 복부팽만(가스정체와 위장관 분비물 축적) ③ 딸꾹질, 구토 (3) 치료 및 간호중재 ① 비장관(Miller-Abbott 튜브, Harris 튜브, Cantor 튜브) 또는 직장관 삽입 ② 수술 |
피부 손상 관리 (1) 상처드레싱 및 배액관리 ① 수술부위드레싱 : 병원의 지침에 따라 ② 배액관의 개방여부, 양, 색깔냄새 등을 확인 (2) 감염관리 ① 수술후 5~7일에 가장 호발 ② 원인균 : Staphylococcus aureus, E-coli, Proteus vulgaris, Pseudomonas aeruginosa, 최근에는 MRSA 감염증가 ③ 간호중재 ∙예방중요 : 철저한 무균술 적용, 광범위 항생제 사용 ∙맥박증가, 체온증가, 절개부위압통, 부종, 열감시보고 (3) 상처열개와 내장탈출관리 ① 대상자가 움직이거나 이동할 때 복대로 지지 ② 상처열개 ③ 내장돌출 : 외과적응급상황 (4) 켈로이드(Keloid) ① 외과적 처치로 생긴 흉터가 과다하게 성장하고 압통이 생기는 것 ② 예측이 어려움 ③ 섬세한 봉합, 완전한 지혈, 적절한 압박이 도움이 됨 |
영양섭취 (1) 수술 후 구강섭취를 할 수 없는 대상자는 수술 후 처음 24~36시간동안 오심과 구토증상이 있으며, 식욕이 감소하고, 위장의 연동운동이 감소됨 (2) 처방대로 액체(맑은 국물, 과일주스 등)를 줌 (3) 처음으로 주는 고형식이로는 죽, 소화 잘 되게 조리한 고기나 야채 등을 줄 수 있음 (4) 식욕이 좋아져서 식사를 잘하게 되면 정상식이를 주어서 비타민, 무기질균형과 질소균형을 적절히 유지증진시킴 (5) 상처치유를 촉진하기 위하여 Vit C와 단백질을 공급하여 주는 것이 좋음 |
2) 심혈관계변화
① 저혈압
② 저혈량증
③ 고혈압
④ 부정맥
3) 위장관 기능변화
– 오심과 구토 – 진토제의 투여
4) 비뇨기 변화
5) 피부 변화
6) 통증과 불편감
7) 잠재적 체온변화
① 저체온증
② 고체온증
무기폐 – 폐의 불완전한 팽창과 허탈을 말하며 수술 후 36시간 이내에 주로 발생 폐렴 – 일반적으로 수술후 3일째 발생한다. 폐색전증 – 심부정맥혈전증(DVT)의 합병증 정맥혈전증 – 골반부위 정맥에 혈전이 형성되어 하지에 순환장애가 일어나는 심부정맥혈전증은 잠재적으로 심각한 수술후 합병증이 된다. 심부정맥혈전증은 폐색전증을 유발하기도 한다. 수술후 나타나는 정맥 정체는 부동이 가장 주된 원인이다. 마비성장폐색증 – 복부수술이나 복막손상 후에 주로 나타난다. 적절히 치료하지 않으면 사망까지 이르게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