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수술환자 간호

(성인간호학) 수술환자 간호

개요

수술 분류

목적

– 진단수술 : 생검(biopsy)으로 조직의 악성유무를 확인

– 탐색수술

– 완치수술

– 완화수술

– 예방수술

– 성형수술

범위

– 내시경수술

– 개방수술

– 단순수술

– 근치수술

법적 · 윤리적 쟁점

– 수술에 대한 동의를 받는 사전동의 과정

– 수술간호사의 역할은 환자 옹호이다.

– 수술동의서에 들어갈 필수요소로는 환자의 성명, 의사의 서명, 수술명, 환자 또는 법정대리인의 서명(전자문서 포함), 증인의 이름, 동의서 작성날짜 등

수술 전 간호

– 수술환자 : 간호의시기에 따라 수술 전, 중, 마취회복기, 수술 후 간호로 구분

– 수술 전 간호 : 수술전날부터 수술직전까지

– 수술전 환자사정은 건강력, 신체사정, 진단검사에 의해 이루어진다.

일반적 준비

환자 면담

– 환자의 건강 관련 정보의 수집

– 잠재적 합병증을 파악

– 환자의 수술에 대한 불안정도 파악

– 정서적 상태 파악

수술 전 환자 간호사정

① 심리사회적 사정 : 수술은 환자에게 위협이 되는 사건 – 수술에 대한 환자의 심리적 준비

② 병력 : 환자의 건강문제, 병력파악 -> 잠재적인 문제 예측

– 병력사정 – 환자의 과거 병력과 구체적인 질문

③ 약물 : 수술 전 복용 약물에 대한 정확한 확인. 수술 후 치료과정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약물이 있는지 확인

– 항부정맥제제, 항고혈압제제, 면역억제제, 항응고제, 항경련제

– 내분비계에 영향을 미치는 약물 – 복용여부 확인

④ 신체사정 : 환자의 병력과 신체사정을 통해 나온 결과

– 수술 당일 환자의 마취 결정에 영향을 미침

– 수술 전 위험 여부를 판단하고 결정하는데 중요한 근거

⑤ 임상검사 : 수술 전 처방된 임상검사를 실시하고 결과를 확인하여 평가

1) 간호사정

(1) 연령 : 특히 노인-심장, 간, 신장, 폐기능약화

(2) 영양상태

① 단백질 : 조직의 재생에 필수적

② 비타민

③ 수분 : 탈수, 전해질불균형 → I/O 관찰

④ 비만

(3) 신체사정 – 감염주의 : 가벼운 감기라도 수술과정에 불리한 영향. 재채기, 기침, 인후통, 체온상승 사정

① 호흡기계

② 심맥관계

③ 간기능

④ 신장기능

(4) 정신-사회적 사정

① 불안, 두려움 : 통증, 신체상변화, 마취, 죽음 등에 대한불안

② 수술에 대한 지식수준

③ 지지체계

④ 과거 입원 횟수 및 수술 횟수

⑤ 재정상태 : 병원비 지불, 보험

2) 간호중재

(1) 불안

① 감정을 털어놓도록 수용적인 태도로 경청

② 무조건적인 안심은 부정적임

③ 수술기술, 절차, 병원규칙에 대한 안내

④ 가능하면 수술장, 회복실 미리 방문하고 간호사 소개

⑤ 수술 후 통증, 합병증에 대한 정보 제공

⑥ 이완요법

수술 전 교육

① 심호흡과 기침
② 체위변경과 조기이상
③ 수술을 위한 법적 준비

(2) 환자교육

① 일반적인 교육 : 수술 전 준비내용, 수술에 관한 내용, 튜브, 배액관, 정맥주입, 금식, 피부준비, 관

장 등

② 합병증 예방교육

∙심호흡

– 목적 : 수술후 폐확장과 혈중 산소 유지, 무기폐 예방

– 복식호흡 : 깊고 느린 복부 호흡, 천천히 내쉬는 법

– 수술 전 하루 2회 연습

∙기침

– 목적 : 폐분비물 배출 용이, 폐렴 예방

– 기침 전 심호흡 : 기침반사 자극

– 기침시 수술 부위지지

∙체위 변경 및 하지 운동

– 목적: 혈액순환증진, 정맥정체예방, 적절한호흡기능유지에기여

– 빈도

∘°체위변경 : 매 2시간

∘°관절가동범위(ROM) 운동 : 3~4회/일

– 하지운동

수술 전날 간호

① 피부 준비

② 위 · 장 준비

③ 마취 준비

1) 영양 및 수분 : 금식(NPO)

(1) 수술에 따라 다르지만 주로 8~10시간 전

(2) 목적 : 수술 중 흡인과 구토 예방

2) 장 준비

3) 피부 준비

(1) 목적 : 피부 손상 없이 피부 박테리아 감소

(2) 절차

① 수술 전날 밤 베타딘 비누로 목욕

② 면도보다는 탈모제 크림이 안전

(3) 준비부위

수술 직전 간호

1) 일반적 간호

– 환자 손목 명찰 확인

– 의치, 껌 제거 : 마취동안 기도 흡인 방지

– 장식류(머리핀, 보철장치, 보청기, 안경, 콘택트렌즈, 의치 등) 제거, 속옷제거, 머리카락 정돈

– 화장, 매니큐어 제거 : 혈색 확인

– 방광비우기 : 수술동안 실금 방지, 장기관에 접근용이

– 수술전 점검표(Preoperative checklist) 작성

수술 당일 환자 간호

① 수술 전 투약

– 불안 감소, 호흡기계 분비물 감소
– 진통, 기억억제, 위산의 산도 감소
– 분비억제, 알레르기 반응 억제
– 마취의 효과 연장
– 호흡기계 억제 효과 증가  

② 수술실로 가기 전 준비

(1) 단순도뇨의 적용

① 급성 방광팽만의 즉각적인 완화를 위해

② 방광기능 장애 대상자들의 장기간 관리를 위해

③ 무균적인 소변 검사물을 얻기 위해

④ 배뇨후 잔뇨량의 측정을 위해

(2) 유치도뇨의 적용

① 소변배출의 폐쇄가 있을 때

② 요도와 주위조직의 외과적 수술 대상자들을 위해

③ 요도폐쇄를 방지하기 위해

④ 중환자의 계속적인 소변량 측정을 위해

⑤ 실금하는 혼수 환자

⑥ 계속적이거나 간헐적 방광세척을 위해

2) 수술전투약

(1) 목적

① 수술 전 환자의 불안이나 흥분을 경감시키는 진정작용(수면제, 최면제)

② 타액과 위액의 분비를 감소, 기도 분비물을 억제하기 위함(항콜린제)

③ 통증과 불편감을 완화시키기 위함(진통제)

(2) 종류

① 진정제항불안제 (Sedatives)

∙벤조다이아제핀계(benzodiazepines)

∙midazolam(Versed), diazepam(Valium), lorazepam(Ativan)

② 부교감신경 억제제(항콜린제)

∙미주신경의 자극을 차단하는 약물

∙미주신경을 차단하여 호흡기계 분비와 타액분비를 감소시켜 기도가 폐쇄되는 것을 예방

∙Atropine sulfate, Glycopyrolate(Rubinul), Scopolamine

③ 마약성진통제(Narcotics)

∙마취유지에 필요한 전신마취제의 농도를 보다 감소시킬 수 있음

∙Meperidine(Demerol), Morphine, Fentanyl

수술 중 간호

수술실 간호사의 역할

1) 소독간호사

– 수술에 참여하여 의료진의 수술가운과 장갑 착용

– 수술환자의 수술부위 방포 및 수술이 진행될 수 있도록 기구 및 물품 전달

– 수술에 사용한 기구와 거즈, 바늘 등 모든 물품개수

① 수술의 해부와 생리, 수술과정에 대해 명확히 알고 있어야 함
② 수술에 필요한 멸균된 물품(스펀지, 봉합사, 거즈등)과 수술기구 준비
③ 손 소독, 무균적으로 가운을 입고 장갑 착용
④ 수술과정에 외과의에게 필요한 기구를 제공
⑤ 물품이 대상자의 신체내에 남아있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하여 수술과정 동안 사용된 물품의 수를 확인, 특히 순환간호사와 함께 정확하게 거즈와 바늘과 기구의 수를 확인

2) 순환 간호사

– 수술실의 무균상태 유지

– 비멸균영역에서의 수술과정을 돕는다.

① 수술계획표에 따라 수술방과 수술 장비를 준비
② 소독간호사와 외과집도의의 가운끈을 묶어줌
③ 수술상에 멸균물품을 공급
④ 수술 중 간호를 계획하고 조정하며 기록
⑤ 수술 과정 동안 무균술이 잘 지켜지는지 감독하고 필요한 물품과 기구를 공급
⑥ 수술팀과 다른 사람들(가족, 병리과, 방사선과직원)과의 연락을 취함
⑦ 소독간호사와 함께 거즈수를 확인하고, 바늘과 기구의 수를 확인⑧ 수술이 끝난 대상자를 편안하고 안전하게 회복실로 옮김⑨ 회복실 간호사에게 필요한 정보를 인계⑩ 대상자의 상태나 사용물품 등 필요사항을 기록⑪ 검사나 배양을 위한 검사물 관리

수술준비

– 수술 전 환자의 안전과 감염방지를 위해 수술실 환경에 대한 점검

– 수술실을 출입하는 모든 수술 요원은 수술복 반드시 착용

– 수술에 사용될 주요장비에 대한 사전점검

환자의 체위 준비

1) 체위 준비시 고려할 점

① 해당수술에서 선호되는 수술 체위 검토

② 수술을 위한 체위가 정확하지 않은 경우 수술 담당의사와 상의

③ 체위 준비를 신속하게 하기 위해 필요한 기구 점검

2) 체위 준비시 안전수칙

① 체위변경을 위한 이동시 마취의사의 승낙여부 확인

② 환자를 수술대로 옮길 때 환자의 수술 부위 확인

③ 환자가 누워있거나 환자를 이동시킬 때에는 반드시 수술 침대 고정

④ 마취의사는 항상 환자의 머리를 보호하고 움직이는 동안 지지

⑤ 팔의 과신전이나 주사바늘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팔지지대 사용

⑥ 환자가 누워있다면 발목과 다리를 교차시키지 않도록 함 -> 신경과 혈관에 폐색을 일으키는 압력을 생기게할 수 있기 때문

⑦ 환자가 옆으로 누워있다면 베개를 다리 사이에 끼워 혈관이 압력을 받지 않도록 해야함

⑧ 환자가 엎드려 있다면 흉곽의 압력을 감소시켜서 호흡을 촉진시켜야 함

⑨ 환자를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낙상예방

⑩ 체위로 인해 튜브(catheter, IV 등)와 모니터연결선이 막히지 않도록 주의함

수술 중 체위

① 앙와위(Dorsal recumbent position) : 복부수술, 얼굴, 목, 어깨, 가슴, 유방
② Trendelenburg p. : 하복부, 복강내수술(대장을 가슴쪽으로 몰아 수술 부위 확보)
③ Reverse Trendelenburgp : 담낭, 담도수술
④ 쇄석위(Lithotomy p.) : 질, 직장수술, D&C(Dilation & Curettage)
⑤ 신장체위(Chest p.) : 신장이식수술
⑥ 측와위(Lateral p.) : 한쪽폐수술, 신장수술, 고관절수술
⑦ 추궁절제체위(Laminectomy p.) : 척추수술
⑧ Jackknife p. : 치질, 항문수술
⑨ Neurological sitting p. : 후두골절개
⑩ Neurological prone p. : 후두골, 경추수술
체위 고정시 주의점

① 낙상예방
② 돌출 부위 압박 방지 : 신경, 근육, 혈액순환
③ 추위예방
④ 호흡원활

3) 체위 유지를 위한 기준

① 호흡 장애 여부

② 순환 장애 여부

③ 신경 압박 여부

④ 피부압박의 최소화

⑤ 수술부위의 효과적 접근

⑥ 마취유지에 효과적인 자세

⑦ 수술 후 불편감 완화

수술부위소독

베타딘 비누로 닦음 → 방포덮기
봉합

수술 중 합병증

(1) 저체온증

① 의도적 저체온증 : 기초대사율 감소 유도

② 비의도적 원인 : 수술장 온도, 찬 용액 주입, 근운동저하, 노인

③ 예방

∙수술장 온도 25~26.6℃ 유지

∙젖은 가운, 방포 즉시 교체

∙노인 : 마취동안 머리 싸주기 효과적

(2) 감염-무기폐, 폐렴

(3) 저혈량 및 출혈

(4) 심부정맥 및 심부 정맥혈전증

(5) 마비성 장폐색

(6) 비뇨기계 : 요정체, 핍뇨, 무뇨

(7) 수분과 전해질 불균형

(8) 욕창

수술 전 마취 준비

1) 전신마취

– 중추신경계의 반응으로 지각인지나 운동이 나타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대뇌피질에서 연상통로를 차단하므로 무통각, 근육이완과 함께 무의식 상태가 나타나는 것을 의미

– 의식소실, 무통, 비정상적인 반사의 차단과 근육이완을 유지

– 흡입마취 – 기관내튜브(endotracheal tube) 삽입

– 약물에 의해 중추신경계를 억압하여 기억상실, 진통, 무의식을 동반함

– 흡입 또는 정맥용 마취주사, 혹은 두 가지 방법의 병용

(1) 흡입마취(Inhalation anesthesia)

– 약제는 기화되어 흡입됨으로써 폐포막을 통과하여 혈류를 따라 중추신경계에 작용

– 기관내 삽관과 마취기계가 필요

① 장점

∙마취효과가 나타나는 시간이 빠름

∙마취시간을 조절하기가 용이함

∙환자에게 투여하기 쉬움

∙여러 장기에 대한 생리적인 변화가 적음

∙불활성이어서 생체 내에서 대사되지 않음

∙인체에 독성이 없음

∙근육이완작용이 좋음

∙진통효과가 좋음

∙화학적으로 안전성이 높음

∙비가연성이면서 폭발성이 없음

∙보관이 용이함

∙가격이 저렴함

② 단점

∙호흡기계 자극: 기침, 후두경련, 기관지경련, 기도분비물의 증가, 호흡억제

∙기억상실 유발

③ 흡입마취제의 종류

(2) 정맥마취

– 정맥 내로 전신 마취제를 주입하며 간단하고 신속하게 마취를 유도

– 흡입마취제 사용직전 유도 마취로 이용

– 소파술(D&C), 수면내시경 등 간단한 절차에 이용

① 장점

∙별도의 마취기계가 없어도 간편하게 시행할 수 있음

∙환자의 거부감이 적음

② 단점

∙마취 지속 시간의 정확한 예측의 어려움

∙흡입마취에 비해서 조절성(controllability)이 크게 떨어짐

③ 정맥마취제의 종류

∙Barbiturates : Sodium thiopental(펜토탈)

∙Neuroleptanesthetics: Fentanyl+Droperidol

∙Dissociative anesthetics : Ketamine

∙Benzodiazepines : Diazepam, Lorazepam, Midazolam

∙Propofol

(3) 전신마취의 단계

(4) 마취의 합병증

– 마취제로 중추신경계 억압 : 구개반사, 각막반사, 교감신경계 반사의 소실․ 저하발생

① 악성고열

∙골격근의 강직을 동반한 40℃ 이상의 고열을 동반하는 대사성 질환

∙휘발성 흡입마취제와 succinylcholine(Anestine)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 발생, 스트레스, 외상, 열과 관련

∙전신마취, 회복기 동안 발생

∙증상 : 근육의 경축, 고체온, 저산소혈증, 젖산혈증, 심장과 혈액역동학적 변화, 빈맥, 빈호흡, 심실부정맥

∙간호중재 : 대증요법

– 골격근 이완제(대사지연)

– 산혈증, 저산소혈증 교정체

– 체온 낮추기

2) 국소마취

– 의식의 소실없이 감각자극을 감소시켜 통증을 조절하는 것

– 국소마취 : 국소 도포와 침윤, 국부 신경차단, 약물의 전신적 흡수가 없어 잔류효과가 거의 없음

∙수술 중 의식이 소실되지 않으므로 수술 과정 동안 환자에 대한 정서적 간호가 요구

– 부위마취 : 심질환 또는 호흡기 질환을 가지고 있거나 전신마취로 인한 합병증 발생의 위험이 높은 경우,

금식 시간의 유지가 지켜지지 않은 경우에 시행

– 척수마취 : 지주막하강의 척수액에 국소마취제를 투여하는 것

– 경막외마취 : 경막외공간에 국소마취제를 투여하는것

(1) 국소마취의 장점

① 별도의 마취기가 필요 없음

② 간장, 신장, 내분비, 대사에 많은 영향을 미치지 않음

③ 마취 후에 구토가 적음

④ 금식시간이 충분하지 않은 응급환자에게 시행 가능

⑤ 수술 후 폐합병증의 발생빈도가 낮음

⑥ 화기가 있는 곳에서도 시행 가능

(2) 국소마취의 단점

① 마취의 조절성이 부족

② 급성독성반응이나 아나필락틱 쇼크 유발 가능성

③ 약한 근이완작용

④ 환자의 의식으로 불안이나 공포를 느낄 수 있음

⑤ 소아일 경우 협조를 구하기가 어려움

(3) 국소마취제 종류

(4) 척수마취(지주막하차단) 및 경막외마취

① 척수마취와 경막외마취 비교

(5) 척수 마취 후 부작용 : 두통, 마비, 뇌막염, 저혈압

① 원인 : 뇌척수액 유출, 부적절한 수액 주입

② 중재

∙뇌척수액 빠져나오지 않도록 베개없이 6~12시간 동안 앙와위로 안정

∙조용한 환경 제공

∙적당한 수분공급

∙세심한 마취 수준 조절로 호흡기 마비 예방

∙저혈압시 ephedrine 정맥주사

∙배뇨장애 및 하지무감각에 주의

수술 후 간호

회복실에서의 간호

– 기도와 순환상태에 대한 사정

– 기도유지 : 개방성과 산소공급, 호흡상태

– 순환상태 : 맥박과 혈압측정, 심전도연결 – 심박동수, 리듬평가

1) 초기사정

– 회복실 간호사 : 입원시 활력증상과 호흡기계 사정

∙호흡계에 대한 사정 :호흡수, 리듬, 호흡음, 산소포화도, 인공기도와 산소공급 방법 확인

∙순환기계에 대한 사정 : 심박동수와 리듬

∙신경학적 기능 사정 : 지남력 여부, 이름이나 병원 등에 대한 질문을 하고, 대답을 하는지 파악

∙환자의 사지를 움직여보게 하거나 머리를 들어보도록 함

∙신기능 :섭취량과 배설량 확인 평가

∙수술 동안의 총수액량, 혈액 상실, 정맥관, 수액, 세척액 기록

∙배액관, 도관을 확인 – 배액의양, 색깔, 점도 확인

∙모든 정보는 회복실 기록지 기록

– 마취회복기 간호단계

∙1단계 : 마취 직후 단계

∙2단계 : 지속적인 회복단계

∙3단계 : 관찰과 간호중재가 요구되는 단계

지속적인모니터

ECG, 활력징후

일반적 간호 사정

(1) 호흡기능 사정 : 제일 먼저 기도청결, 기도 개방성, 산소 공급 필요성 사정

(2) 심맥관계 기능 관찰  
① 첫 1시간 동안은 매 15분마다, 그 후 1~2시간 사이에는 매30분마다, 그 후 4시간은 1시간마다 그리고 후에는 4시간마다 활력징후 사정
② 보고해야 할 상황 : 수축기압이 9 이하 또는 160mmHg 이상, 맥박이 60이하 또는 120회/분 이상, 불규칙한 심장 리듬, 혈압이 큰 차로 감소할 때 등  

(3) 섭취, 배설량 : 6~10시간 이상 배설못하면 인공도뇨

(4) 수술부위관찰 : 수술부위의 출혈, 드레싱

(5) 배액관의 개방상태, 정맥투여 상태, 안위수준과 피부 상태를 포함한 전신 상태를 사정

(6) 통증정도에 따른 관리 및 휴식 / 안정제공

(7) 안전관리 : 침대난간을 올려놓음

(8) 감각 · 운동 기능 회복 : 손을 꽉쥐어 보게하여 운동 기능 회복 정도 사정
마취회복 수준 사정

(1) 마취 후 회복 상태 평가표(PAR score=Post Anesthetic Recovery)

① Activity(활동)
② Respiration(호흡)
③ Circulation(순환)
④ Consciousness(의식)
⑤ Color(피부색)  

(2) 의식 수준 사정: Glasgow coma scale(GCS)  

수술 후 병동간호

수술 후 합병증

1) 호흡기계 변화

① 기도의 폐쇄

② 후두경련

③ 기관지경련

호흡기계 합병증

(1) 수술환자에게 가장 흔하고 심각한 문제

(2) 예방 : 심호흡, 기침격려, 흡기측정계(inspirometer) 사용, 조기이상
혈전증

(1) 원인 : 장시간부동시혈전형성  

(2) 증상

① 족배굴곡시 장딴지 통증(Homans’ sign 양성)
② 환측 다리 부종, 열감, 발적
③ 혈괴가 이동하여 폐나 뇌로 색전증을 유발하면 위험
④ 합병증 : 폐색전증
∙갑작스럽고 돌발적으로 발생
∙예리하게 찌르는듯한 흉통, 호흡곤란, 불안, 동공확대, 식은땀, 맥박증가
∙신속히 치료하지 않으면 사망할 수도 있음

(3) 중재  
① 예방
∙다리운동
∙낮은 용량의 헤파린 주사
∙탄력스타킹(올바로 사용하지 않을시 오히려 위험할 수도 있다), 탄력붕대
∙조기이상, 수분섭취권장
② 치료
∙정맥결찰, 항응고요법, 혈전용해요법
∙침상안정, 온습포적용, 마사지금지
요정체

유치도뇨관삽입
장폐쇄

(1) 원인 : 수술, 마취로 인한 연동운동 저하, 장유착

(2) 증상
① 체온, 호흡정상
② 국소통증, 짧은간격으로 복부통증, 복부팽만(가스정체와 위장관 분비물 축적)
③ 딸꾹질, 구토

(3) 치료 및 간호중재
① 비장관(Miller-Abbott 튜브, Harris 튜브, Cantor 튜브) 또는 직장관 삽입
② 수술
피부 손상 관리

(1) 상처드레싱 및 배액관리
① 수술부위드레싱 : 병원의 지침에 따라
② 배액관의 개방여부, 양, 색깔냄새 등을 확인

(2) 감염관리
① 수술후 5~7일에 가장 호발
② 원인균 : Staphylococcus aureus, E-coli, Proteus vulgaris, Pseudomonas aeruginosa, 최근에는 MRSA 감염증가
③ 간호중재 ∙예방중요 : 철저한 무균술 적용, 광범위 항생제 사용 ∙맥박증가, 체온증가, 절개부위압통, 부종, 열감시보고

(3) 상처열개와 내장탈출관리
① 대상자가 움직이거나 이동할 때 복대로 지지
② 상처열개
③ 내장돌출 : 외과적응급상황

(4) 켈로이드(Keloid)
① 외과적 처치로 생긴 흉터가 과다하게 성장하고 압통이 생기는 것
② 예측이 어려움
③ 섬세한 봉합, 완전한 지혈, 적절한 압박이 도움이 됨
영양섭취

(1) 수술 후 구강섭취를 할 수 없는 대상자는 수술 후 처음 24~36시간동안 오심과 구토증상이 있으며, 식욕이 감소하고, 위장의 연동운동이 감소됨

(2) 처방대로 액체(맑은 국물, 과일주스 등)를 줌

(3) 처음으로 주는 고형식이로는 죽, 소화 잘 되게 조리한 고기나 야채 등을 줄 수 있음

(4) 식욕이 좋아져서 식사를 잘하게 되면 정상식이를 주어서 비타민, 무기질균형과 질소균형을 적절히 유지증진시킴

(5) 상처치유를 촉진하기 위하여 Vit C와 단백질을 공급하여 주는 것이 좋음

2) 심혈관계변화

① 저혈압

② 저혈량증

③ 고혈압

④ 부정맥

3) 위장관 기능변화

– 오심과 구토 – 진토제의 투여

4) 비뇨기 변화

5) 피부 변화

6) 통증과 불편감

7) 잠재적 체온변화

① 저체온증

② 고체온증

무기폐 – 폐의 불완전한 팽창과 허탈을 말하며 수술 후 36시간 이내에 주로 발생  

폐렴 – 일반적으로 수술후 3일째 발생한다.  

폐색전증 – 심부정맥혈전증(DVT)의 합병증  

정맥혈전증 – 골반부위 정맥에 혈전이 형성되어 하지에 순환장애가 일어나는 심부정맥혈전증은 잠재적으로 심각한 수술후 합병증이 된다. 심부정맥혈전증은 폐색전증을 유발하기도 한다. 수술후 나타나는 정맥 정체는 부동이 가장 주된 원인이다.  

마비성장폐색증 – 복부수술이나 복막손상 후에 주로 나타난다. 적절히 치료하지 않으면 사망까지 이르게 된다.
yongyong

Recent Posts

(건강사정) 복부 프로토콜 (pdf 파일 포함)

(건강사정) 복부 프로토콜 (pdf 파일 포함) 내용 1손을 씻는다. (물과 비누로 손위생을 합니다.)2필요한 물품을 준비한다.손소독제,…

1일 ago

(건강사정) 신경계 뇌신경 프로토콜 (pdf 파일 포함)

(건강사정) 신경계 뇌신경 프로토콜 (pdf 파일 포함) 내용 1물과 비누로 손위생을 실시한다.2필요한 물품을 준비한다. 공통 -…

1일 ago

성교육 보다 더 유익한 웹툰 추천 (육아일기)

성교육 보다 더 유익한 웹툰 추천 (육아일기) 육아일기 링크주소 https://comic.naver.com/webtoon/list?titleId=812354&page=7&sort=ASC 내용 반응 댓글

3일 ago

인간발달의 단계적 이론에 대한 비교

인간발달의 단계적 이론에 대한 비교 아동간호학다운로드 연령대심리성적발달(Freud)사회심리발달(Erikson)인지발달(Piaget)도덕발달(Kolberg)영아기구강기(출생~1.5세)구강의 욕구 충족엄마에 대한 애착1단계신뢰감 대 불신감(출생~1.5세)애착 형성기본 욕구…

3일 ago

정신과의사 “쎄하면 피해라”

정신과의사 “쎄하면 피해라” 내용 반응 댓글 쎄한거 역시 살면서 얻은 빅데이터임 옷차림, 눈빛, 시선, 몸짓,…

6일 ago

(여성건강간호학) 생식생리와 호르몬

(여성건강간호학) 생식생리와 호르몬 - 남녀의 생식기관은 모두 호르몬의 조절을 받으며 그 조절에 의해서 생식기관의 발달과…

6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