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심전도 01

(성인간호학) 심전도 01

역사

윌렘 아인트호벤(Willem Einthoven)은 노벨상을 수상했다.

→ 아인트호벤은 심전도(EKG 또는 ECG, electrocardiogram)를 개발한 공로로 1924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했다.

심전도(EKG)는 가장 오래된 검사 중 하나일 뿐 아니라, 도입된 지 10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가장 흔히 사용되는 심혈관 검사법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심전도의 원리

심전도는 무엇을 측정하는 것인가

– 신체에 부착한 전극을 사용하여 흥분파가 움직이는 방향을 보는 검사

– 흥분파가 전극에 가까이 다가갈 때는 (+) wave 로 기록되며 반대로 멀어질 때는 (-) wave로 기록된다

심장세포내외의 중요한 세가지 이온

– Na+, K+, Ca+

심장세포 안정 시

– 세포내는 음성의 전위, 세포외는 양성의 전위를 띄며이러한 이온이 세포막 내외를 이동투과 함으로 심전도상 전기적 활동이 기록 된다.

심장의 흥분(탈분극, depolarization)

전기적 자극 시

– 세포내 전압은 매우 빠른 속도로 양성으로 변화 – 세포외는 음성으로 변화

– 전기적 자극은 심장의 한쪽 끝(SA node)에서 시작해서 탈분극파는 반대쪽(Lead ll 에서 파가 큰 이유)으로 퍼져 나간다.

심장의 회복(재분극, repolarization)

흥분되었던 심장세포가 안정상태로 회복되는 것으로 재분극 시 심장세포 내 전압은 안정시 전위인 음성으로 돌아온다 .

심전도 기록법 : 표준 12 유도법

– 표준유도 ☞ I , ll, lll

– 증폭사지유도 ☞ aVR, aVL, aVF

– 흉부유도 ☞ V1, V2, V3, V4, V5, V6

– 표준 유도와 증폭사지유도는 심장 전면의 심전도

– 흉부유도는 수평면의 심전도를 기록한다

표준유도 ☞ I , ll, lll

– 심장을 앞이마에서 자른 면 즉, 전면 수직면의 관측지점 (+)극에서 (-)극을 바라보는것

– 윈리 : 두 개의 전극으로 구성되어 있어 양극유도(bipolar lead)라 함.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이들 부위간의 전위차를 기록한다. 두
개의 전극부착 부위 중 한 부위는 양극(positive), 나머지 부위는 음극(negative)로 구성된다.

– I 유도(lead I) : 음극으로 정해진 RA과 양극으로 정해진 LA로 구성

– ll 유도(lead ll) : 음극으로 정해진 RA과 양극으로 정해진 LL로 구성

– lll 유도(lead lll) : 음극으로 정해진 LA와 양극으로 정해진 LL로 구성

표준유도에서 Einthoven 삼각형

I 유도와 lll 유도에서의 전압 높이 또는 깊이의 합은 ll 유도에서의 전압의 높이 또는 깊이와 동일하다.

증폭사지유도 ☞ aVR, aVL, aVF

– 수직면에서 각 유도가 나타내는 사지에서 심장을 바라보는 것

– 원리 : 표준유도에서 사용한 전극 왼팔, 오른팔, 왼발 을 동일 하게 사용한다. 단극유도(unipolar leads)로 3개의 사지유도 중 1개는 양극, 2개는 음극으로 구성되며, 양극으로 정해진 유도부위에서 심장의 전위를 기록한다. 이 경우 심전도 파형의 높이가 매우 낮아 심전도 기계를 이용하여 파형을 50% 증폭(augmented) 시킨다.

– aVR(augmented voltage of the Rt Arm) 오른쪽방향에서 기록

– aVL(augmented voltage of the Lt Arm) 왼쪽방향에서 기록

– aVF(augmented voltage of the Lt Foot) 심장의 기저부 (bottom)에서 기록

흉부유도 ☞ V1, V2, V3, V4, V5, V6

– 심장의 전기적인 활동을 수평면에서 기록한 단극유도

– 표준유도나 사지유도가 심장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부위에서 심전도를 기록하는 단점이 있으나, 흉부유도는 심장에서 가까운 부위에서 단극유도로 심전도를 기록한다.

V1과 V2 유도는 우심실 앞에 위치

V3과 V4 유도는 심실중격에 위치

V5과 V6 유도는 좌심실 앞에 위치

Electrical Correlation (전기적 상관관계)

– 심장에서는 전기적 활동기계적 수축을 유도한다. 이 과정을 “전기적 상관관계”라고 하며, 심전도(EKG)는 이러한 전기 신호를 기록하는 도구이다.

– 이 모든 전기적 흐름이 EKG 파형으로 표현됨 (예: P파, QRS파, T파 등)

– 전기적 활동 : 심장의 동방결절(SA node)에서 시작 → 심방 수축 유도

– 전기 신호는 방실결절(AV node)를 거쳐 히스-푸르킨예 섬유로 전달 → 심실 수축 유도

– 전기적 신호가 있어야 심장이 제대로 수축하고 이완하며 혈액을 펌프질할 수 있다. EKG는 이 전기적 흐름을 시각화한 것이고, 전기적 이상이 있을 경우 기계적 문제(부정맥, 심정지 등)로 이어질 수 있다.

– P파: 심방 탈분극 (→ 심방 수축)

– QRS 복합파: 심실 탈분극 (→ 심실 수축)

– T파: 심실 재분극 (→ 심실 이완)

유도전극으로 알 수 있는 것?

– 심장을 좌측 에서 보기 위한 지점으로 V5, V6, aVL 사용된다.

– 심장을 우측 에서 관측하는데 Ⅲ, aVF 사용된다.

– aVR은 심첨부에 대한 반대방향이며, v5, v6, avL 과 마주보는 위치로 그다지 적당하지 않다.

– 심장을 왼쪽 에서 보기에 적합한 유도 – V5, V6, aVL

– 심장을 오른쪽 에서 보기에 적합한 유도 – Ⅲ, aVF

심전도(ECG) 해석 – 정상 동율동 (Normal Sinus Rhythm)

Rate (심박수)

60–100회/분 (bpm)

Rhythm (리듬)

규칙적 (regular)

– R-R 간격이 거의 일정함

P waves (P파)

I, II, aVF 유도에서 위로 솟아 있음(upright)

– 각 QRS 파형 앞에 P파가 하나씩 존재해야 함 (동방결절에서 유래했음을 의미)

PR interval (PR 간격)

0.20초 미만

– 심방에서 심실로 전도되는 데 걸리는 시간

QRS duration (QRS 간격)

0.10초 미만

– 심실 탈분극에 걸리는 시간 (심실이 정상적으로 수축함을 의미)

yongyong

Recent Posts

(성인간호학) 부정맥 02

(성인간호학) 부정맥 02 부정맥의 종류 자극형성장애로 인한 부정맥 - 동방결정에서 발생하는 부정맥 동빈맥 동서맥 동부정맥…

16시간 ago

(성인간호학) 부정맥 01

(성인간호학) 부정맥 01 원인 - 대부분 심장질환이나 그 외의 병적 상태에서 발생하지만 특별한 원인 없이도…

17시간 ago

(지역간호학) 국제보건의 이해

(지역간호학) 국제보건의 이해 1. 국제보건의 개요 국제보건의 개념 - 목적 : 범세계적인 건강 수준 향상과…

19시간 ago

(지역간호학) 보건의료체계의 이해 02

(지역간호학) 보건의료체계의 이해 02 4. 경제적 지원 보건의료 재원 - 세금, 건강보험료, 이용자의 직접 부담,…

21시간 ago

(지역간호학) 보건의료체계의 이해 01

(지역간호학) 보건의료체계의 이해 01 1. 보건의료체계의 개요 보건의료의 개념 - 보건의료는 협의적으로 의료, 광의적으로는 보건의료…

1일 ago

(지역간호학) 지역사회간호와 보건정책

(지역간호학) 지역사회간호와 보건정책 1. 보건정책의 개념 보건정책의 정의 및 목표 - 「보건의료기본법」에 의하면 "보건의료"란 국민의…

1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