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체가 상해를 입었을 때 그 국소에 야기되는 일련의 생체반응
– 상해인자의 제거나 상해의 경감과 확대방지 혹은 상해인자로 인해 발생한 세포장애 및 조직장애의 회복을 본래의 목적으로 하는 생체방어 반응
– 물리적 자극 : 인체의 표면에서 작용하는 압력 등의 기계적 자극, 이물질 삽입, 고온, 저온, 전기적 자극, 자외선 등
– 화학적 자극 : 의약품, 염산이나 수산화나트륨 등의 화학물질, 버섯, 세균, 뱀, 벌의 독소
– 감염 : 바이러스, 세균, 진균, 기생충 등의 병원 미생물
– 순환장애 : 산소를 충분하게 함유한 동맥혈이 도달하지 않거나, 정맥혈이 고인 경우
– 면역기구의 장애 : 자가면역반응, 알레르기 반응 등으로 자신의 세포나 조직이 파괴되어 그 결과로서 염증 발생
– 염증이 생기는 장기나 조직의 명칭에 염(炎)자를 붙여서 ‘00염‘(위염, 간염, 지방층염, 장막염)이라고 함
– 위염(Gastritis), 간염(Hepatitis)
– 염증반응이 일어나는 과정은 매우 다양하고 복잡
– 조직손상과 관련
– 원인에 따라 그 정도와 결과는 차이가 있음
– 진행현상은 비 특이적
– 염증과정 중에 나타나는 반응과 역할은 모두 동일
– 염증과정에 관련된 주요 요소 : 혈액, 삼출액, 대식세포 등의 방어세포들과 항체 주위의 결합조직들
– 염증과정이 일어나면 혈관계 반응, 세포반응, 섬유소 방어 반응, 호르몬 반응이 나타남
– 염증은 그 지속기간에 따라 급성, 아급성 및 만성으로 분류된다.
– 급성염증에서 치유과정은 2~3주 안에 일어나며 대개 손상 없이 치유된다.
– 호중구가 염증 부위에서 가장 뚜렷한 세포 유형이다.
– 아급성 염증은 급성 염증 과정의 특징을 가지고 있지만, 더 오래 지속된다.
– 만성염증은 몇 주 또는 몇 년 동안 지속된다.
– 유해물질이 손상조직에 지속적으로 있으며, 반복적으로 조직을 손상시킨다.
– 정의 : 오랫동안 염증 상태가 지속되는 것 (최소 6개월 이상)
– 경로
• 급성염증이 치유되지 않는 경우
• 동일한 장소에 급성염증이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경우
• 자극 또는 손상에 대한 반응이 서서히 나타나는 것
– 특징 : 큰포식세포, 림프구, 형질세포 등이 주로 관여
– 염증과정은 유해물질이 인체에 들어오면 인체가 이를 악화시키거나 희석 또는 파괴하며 섬유조직으로 막을 형성하여 손상부위가 더 이상 파급되지 않도록 국소화하여 손상에 대하여 적응해 나가는 것(Selye의 적응 이론)
– 신체부위나 원인과는 상관없이 손상이나 침입이 발생하면 염증반응 발생
– Cf) 감염 : 박테리아, 진균, 바이러스 같은 미생물의 침입
– 혈관계반응
– 세포반응
– 염증성 삼출액 형성
• 장액성 삼출액
• 장액출혈성 삼출액
• 섬유소성 삼출액
• 출혈성 삼출액
• 화농성 삼출액
• 점액성 삼출액
– 섬유소막 형성 반응
증상 | 원인 |
발적 | 혈류증가(충혈) |
열 | 국소대사 작용증가 |
부종(종창) | 혈관 이완되면서 혈액 증가, 간질공간으로 염증성 삼출액 축적 |
통증 | 신경말단 자극인자 증가, 삼출액에서 나온 화학물질에 의한 신경자극 |
기능이상 | 종창, 통증 |
전신증상 | 허약감, 권태감(염증반응의 산물이 혈류,림프관으로 흘러들어감) |
– 발적 : 염증 부위가 적색을 띠는 것
– 종창 : 혈액이 액성 성분이 조직의 사이로 삼출되어 발생
– 발열 : 국소부위에 혈액의 흐름이 증가하면서 체내의 표면 부위로 이동하는 현상과 그 부위의 대사 활동으로 발생. 화농성의 염증시 가장 잘 일어나고, Prostaglandin이 관여
– 통증 : 염증의 주요 증상으로 많은 질환과 상태의 진단에 중요
– 기능상실 : 염증 부위의 작용이 둔해지고 기능이 없어짐
① 손상 초기에는 혈관이 일시적으로 수축
② 모세혈관이 이완되어 손상부위 혈류증가 (발적)
③ 모세혈관 투과성 증가, 혈류속도 지연 -> 부종
① 변연화 : 모세혈관 내벽으로 호중구와 단핵구가 이동하여 붙는 현상
② 화학주성 : 백혈구 유도인자에 의해 염증부위에 호중구와 단핵구 축적
– 호중구와 대식세포 등의 백혈구가 침입자를 삼키고 효소의 분해작용으로 침입자를 파괴
장액성 염증 : 혈장성분이나 창자막 중피세포의 분비물인 수분이 많은 저단백성 삼출물, 대부분 급성 염증기 초기 단계나 경미한 손상, 약한 화상시 피부에 물집이 생기는 경우 (늑막염)
섬유소성 염증 : 섬유소를 포함한 많은 양의 혈장 단백과 섬유소 덩어리를 함유하는 삼출물로 몸안을 침범할 때 관찰 (섬유소성 심장막염)
화농성 염증 : 농(pus) 또는 화농성 삼출물의 생성을 특징으로 함
주요세균 : 포도상구균, 임질균, 수막염균 (급성충수돌기염)
출혈성 염증 : 심한 혈관 손상을 받게 되면 파열되어 출혈성 삼출물 형성 (섬유소성 염증과 화농성 염증이 함께 발생)
– 염증반응이 심하지 않으면 삼출성 분비물이 모두 흡수되어 합병증이 없으나 염증반응이 적절하게 치료되지 못하면 유해성분이 전신순환에 퍼져 패혈증과 같은 합병증을 동반하거나 필요 이상으로 과하게 나타날 수도 있다.
– 그 예로 관절염 환자에게 다발성 관절염 결절(poly arthritic node)이 있으면 염증반응이 광범위하게 확대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 염증반응이 병적 상태를 동반하면 증상이나 예후가 좋지 않으며 장기적인 후유증이나 영구적인 장애를 초래한다.
– 재생
• 불안정세포
• 안정세포
• 영구세포
– 결합조직에 의한 회복
• 일사유합
• 이차유합
• 삼차유합
– 상처회복 요인
• 전신적 영향
• 국소적 영향
– 상처치유의 합병증
① 세포 이동과 재생 : 상피세포화
손상부위 가장자리로부터 상피세포가 이동하며 상처를 덮음
② 결합조직의 침착 : 육아조직
혈소판과 대식세포에 의해 방출된 성장인자들에 의해 콜라겐 합성과 혈관이 형성되어 육아조직 형성되며 상피화가 이루어짐
① 조직수축 : 상처중심을 향해 조직 전체가 움직여 수축 -> 반흔조직 줄어듦
② 콜라겐섬유 재형성 : 상처의 장력 증가
cf) 켈로이드 : 비정상적으로 많은 양의 교원질 축적으로 생긴 비후성 반흔조직
– 결합조직에 의한 회복
• 육아조직은 결국 비활동성의 방추모양의 섬유모세포, 치밀한 콜라겐섬유, 탄력조직 조각들, 세포 외 기질 및 비교적 적은 수의 혈관들로 이루어진 흉터로 된다.
• 결합조직에 의한 치유는 일차, 이차, 또는 삼차 유합으로 나누어진다.
– 상처치유의 합병증
• 접착
• 수축
• 열개
• 내장탈출
• 누관 형성
• 감염
• 출혈
• 비대성 흉터
• 켈로이드 형성
– 진단
• 백혈구 감별 검사
• 적혈구 침강속도 검사
• C-반응단백(CRP)
• 호중구 검사
– 약물요법
• 해열제
• 항생제
• 소염제
– 조직손상 대상자를 위한 치료와 간호의 목적
첫째, 원인을 제거하고,
둘째, 염증반응과정에 있는 대상자의 환부를 적절히 지지하며,
셋째, 조직재생과 회복을 위한 물리적, 화학적 방법을 제공하여 더 이상의 손상을 입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다.
– 사정
– 간호 및 간호중재
1) 부종조절 : RICE
Rest–휴식 Ice –냉 Compression –압박 Elevation-상승
2) 염증감소 : 항염증제제(NSAIDs, 코르티코스테로이드), 항생제
3) 전신반응모니터 : 고열, 통증, 영양, 진단검사, 그 외에 식욕부진, 허약감, 빈호흡, 빈맥 등 모니터
– 호중구(Neutrophil) : 항균물질로 작용하는 리소자임을 다량 함유. 급성염증의 초기에 가장 많이 나타남. 세균감염(Bacteria infection), 중독(Intoxication), 경색(Infaction)의 경우 상승
– 호산구(Eosinophil)
– 호염구(Basophil)
– 비만세포(Mast cell)
– 단핵구(Monocyte)와 큰포식세포(Macrophage)
– 림프구(Lymphocyte), 형질세포(Plasma cell)
– 외상에 의한 조직 손상
– 세포학적, 해부학적 연속성이 파괴된 상태
– 피부와 조직의 통합성(integrity)에 생긴 모든 변형
– 상처치유(wound healing) : 손상에 의해 일어나는 각종 조직 변화에 의해 국소가 완전하게 재생되거나 흉터를 남기고 치유되는 것
– 원인 : 의도적(수술), 비의도적(칼, 총, 화상)
– 피부표면의 파열 유무 : 개방(피부, 점막), 폐쇄성(외부충격)
– 급, 만성 : 급성(외과적 절개), 만성(욕창 등)
– 상처의 깊이 : 표재성, 심부, 복합상처
– 청결, 오염정도
– 상처의 모양: 타박상, 절개상, 찰과상, 열상, 자상, 관통상
– 상처의 해부학적 위치는 상처의 원인에 대한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고
– 의료진 간의 정확한 의사소통을 위해 필요하고,
– 치유과정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 정확한 용어를 사용하여 기록하는 것이 중요하다.
크기 및 깊이
– 상처의 크기는 상처치유를 평가하는데 중요한 지표가 된다.
– 조직의 손상 정도는 부분층 피부손상과 전층 피부손상으로 나눈다.
– 부분층 피부손상은 진피 아래로 침투하지 않으며 표피층에만 국한되며,
– 전층 피부손상은 피하조직 또는 그 이상이 손상되었음을 의미한다.
– 상처 기저부(wound base)는 색깔을 기술함으로써 상처의 상태를 간단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이다.
– 상처의 가장자리(wound edge)는 개방된 가장자리와 폐쇄된 가장자리로 나누어진다.
– 개방된 가장자리는 상피세포가 상처표면을 통해 이동할 수 있게 촉촉하고 편평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폐쇄된 가장자리는 만성상처의 상피가 안으로 말리면서 괴사조직이 가장 자리를 덮고 있다.
– 상처 주위 피부(periwound skin)는
– 색깔(홍반, 창백, 청색),
– 감촉(촉촉, 건조, 축축, 경결, 연화),
– 피부온도(따뜻함, 차가움),
– 무결성(벗겨짐, 미란, 연화, 긁힘, 농포 또는 다른 병변의 유무) 등을 사정한다.
잠식과 동로
– 전층 피부손상에서 하부조직의 잠식이나 동로가 만들어진 경우가 있어 정확한 평가가 중요하다.
– 삼출물은 양(없음, 소량, 보통, 다량), 색깔(장액성, 혈장성, 혈액성, 화농성)을 사정한다.
– 삼출물의 양은 상처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다.
– 냄새는 ‘없음’, ‘약함’, ‘보통’, ‘강함’으로 표시하며, 상처의 습기, 미생물의 유형, 괴사조직의 양 등에 따라 달라진다.
– 심한 냄새와 화농성 삼출물은 감염을 암시한다.
– 통증은 제5의 활력징후로 평가되는 중요한 요소이다.
– 통증의 악화는 부적절하고 불충분한 치료 뿐 아니라 감염이나 상처의 악화를 의미한다.
– 통증은 환자의 만족도와 상처 치료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정확한 통증사정이 중요하다.
– 통증의 원인을 제거하거나 감소시켜 대상자의 안위를 돕는다.
상처의 치료 (오염상처)
• 외과적 괴사조직 제거술
• 보존적 괴사조직 제거술
• 자가분해 방법
• 물리적 방법
• 효소활용 괴사조직 제거술
• 직후~3,4일, 지혈작용, 식균작용, 혈관과 세포의 염증과정
• 혈소판 : 응고작용과 혈관수축을 일으키고 그 결과 섬유소 덩어리가 생겨 더 이상의 혈액과 체액의 손실을 막고 1차 봉합발생
• 히스타민 방출 -> 혈관확장 : 혈장과 혈액성분들의 삼출물 생성 -> 부종, 발적, 열감
• 2~3주간 지속. 교원질과 기저물질 합성. 새로운 혈관 생성 과정. 상피세포화
• 3cm 최대 상처의 크기가 너무 크면 피부이식 필요
• 3주~6개월이상. 섬유모세포의 수 감소. 콜라겐 합성 안정화. 강력한 교원질 생산
– 질병과 죽음을 초래하고, 입원기간의 연장, 치료비 증가
– 출혈 : 외부-드레싱 확인, 내부 출혈-쇼크유발 (심한갈증, 맥박, 호흡상승, 전신허약)
– 감염 : 손상 후 2~3일 안에 감염 진행, 미생물에 따라 노란색, 녹색, 갈색의 냄새 (발열, 전신권태감, WBC 상승)
– 열개(dehiscence)와 적출(evisceration)
– 누공(fistula formation) : 신체부위와 기관(organ) 사이에 비정상 통로가 생긴 것
– 성장발달
– 혈액순환과 산소 공급 : 비만, 흡연, 당뇨병
– 건강상태 : 영양, 약물, 방사선요법, 면역세포의 기능저하, 스트레스
– 상처상태
(핵심간호술기) 기관절개관 관리 프로토콜 이론적 근거 수행난이도 상 성취목표 기관절개관 관리의 목적과 절차를 설명할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