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위장관기능장애 04 – 위장관 삽입
위장관 간호
– 위장에 관을 삽입하는 목적은 감압, 세척, 위액분석 및 관 영양 등
– 감압은 폐색 때문에 위장 내의 내용물이나 가스로 인해 생긴 압력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수술 후에 시행하는 감압은 수술로 인한 부종이나 위 운동력 저하로 인해 위장관 통과가 어려운 분비물을 제거하기 위함
– 위세척은 위를 씻어 내는 것으로 중독에 대한 응급치료나 탈락세포검사(exfoliative cytology)를 위해 사용
– 위관영양이나 경장영양은 구강섭취가 부적절하거나 불가능할 때 관을 통해 환자에게 수분과 영양분을 제공하는 방법
관의 종류
Levin 튜브
– 수분이나 가스를 제거하거나 위 내용물을 채취하거나 영양액이나 약물을 투여하기 위해 사용하는 단일내강관이다.

Salem sump 튜브
– 위를 감압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이중내강관
– 큰 관은 위 내용물을 배출시키며, 작은 관은 위관이 위벽에 달라붙지 않도록 통풍구 역할을 하여 강한 흡인력에 의해 위 점막이 출혈되지 않도록 보호한다.
– 환자 위의 위치보다 높게 두어 위 내용물이 배출되는 것을 막는다.
비장관
관의 삽입
– 위장관 튜브는 대개 코를 통하여 위나 소장으로 삽입되며 드물게 구강으로 삽입되기도 함
– 비위관을 삽입할 때는 코끝에서 귓불까지, 귓불에서 칼돌기까지의 길이를 더하여(이것을 NEX 측정법이라고 한다), 이 길이를 관에 접착테이프로 표시한다.
– 관이 입인두에 도달하면 환자에게 삼키라고 지시 → 삼킬 때 식도 상단의 괄약근이 열리고 후두가 올라오면 윤상인두근육(cricopharyngeal muscle)이 이완되어 관에 대한 저항력이 감소되기 때문
– X-선 촬영을 하여 방사선 불투과성 관의 위치를 확인한 후 코에 관을 고정한다.
흡인
– 축적된 가스와 액체를 제거하기 위해 관에 흡인기를 부착할 때 위장 점막에 외상이 가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 이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Salem sump 튜브와 같이 이중내강관이나 간헐적 흡인법을 사용
– 점막에 의해 관의 구멍이 막힐 수 있으므로 관의 개방성을 유지하기 위해 처방에 따라 관을 세척
관의 제거
– 관을 완전히 제거한 후에는 구강간호를 한다. (건조하면 세균 증진 가능성이 증가)
간호
– 흡인으로 인해 칼륨이 가장 많이 손실되므로 칼륨 수치를 주의 깊게 관찰한다.
– 위장관 세척 시 등장액인 생리식염수를 사용한다. 그 이유는 관을 자주 세척할 때, 저장액인 물로 하면 삼투작용으로 인한 전해질의 손실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 (성인간호학) 위장관기능장애 06 – 구강감염
- (성인간호학) 위장관기능장애 05 – 영양보조 02
- (성인간호학) 위장관기능장애 05 – 영양보조
- (성인간호학) 위장관기능장애 04 – 위장관 삽입
- (성인간호학) 위장관기능장애 03 – 일반 간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