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위장관기능장애 05 – 영양보조
(1) 경장영양
① 투여경로와 영양액
– 비위관, 위루관, 비십이지장관, 공장루관 등이 있다. 비위관과 비십이지장관은 단기간의 영양공급을 위해, 위루관과 공장루관은 장기적인 영양공급을 위해 사용한다.
② 투여방법
– 중력을 이용하거나 주입펌프를 사용하여 영약액을 투여한다.
식괴 영양
– 실온의 처방된 영양액을 주사기의 외관이나 위장 튜브 끝에 부착된 깔때기에 부어서 한 번에 중력에 의해 위나 소장으로 흘러 들어가게 하는 방법이다.
(2) 위루술
– 첫 번째 방법 : 복벽을 절개하여 위벽에 튜브를 봉합하는 방법(gastrostomy)
– 두 번째 방법 : 경피적 내시경 위루술(percutaneous endoscopic gastrostomy; PEG)
– 잔여물의 양이 100mL 이상일 경우는 1시간 음식을 주지 않는다.
– 경피적 내시경 공장루술인 경우에는 관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흡인해서는 안 된다.
– 관 영양을 할 때에는 영양액의 종류, 주입시간, 횟수와 양, 특별한 지시사항 등을 확인
-경장영양으로 발생 가능한 합병증은 구토와 흡인, 관의 막힘, 기관이나 폐로의 관 삽입, 비강 건조와 궤양 등

① 간호
간호진단 : 흡인의 위험
– 관 영양의 가장 흔한 합병증은 흡인으로, 이로 인해 무기폐와 폐렴이 발생한다. 흡인 예방을 위해 침상 머리 부분을 최소 30~45도로 유지해 준다.
– 잔여량이 100~150 mL 이상이면 위 배출 속도가 늦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영양을 공급하기 전에 의사와 상의한다.
간호진단 : 체액 부족의 위험
– 주입 속도가 증가되면 갑작스런 혈당의 상승으로 삼투성 이뇨가 발생하는지 관찰한다.
간호진단 : 장배설 장애, 변비
– 수분섭취를 증가시킨다.
– 장의 연동운동을 증가시키기 위해 가능한 많이 걷도록 격려한다.
– 변비가 계속되면 완하제를 처방하거나 섬유소가 풍부한 영양액을 준다.
간호진단 : 장배설 장애, 설사
– 원인은 영양액의 세균 감염, 영양액의 빠른 주입, 고삼투성 용액에 의해 생기는 삼투작용, 설사를 유발하는 약물 투여(항생제, sorbitol이 함유된 elixir), 혈청 알부민 저하 등
– 수분과 전해질의 불균형 상태를 주의 깊게 관찰한다.
간호진단 : 건강 지식 부족
- (성인간호학) 위장관기능장애 10 – 식도암
- (성인간호학) 위장관기능장애 09 – 식도이완불능증
- (성인간호학) 위장관기능장애 08 – 위식도 역류질환
- (성인간호학) 위장관기능장애 07 – 식도질환 01
- (성인간호학) 위장관기능장애 06 – 구강감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