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위장관기능장애 08 – 위식도 역류질환
위식도 역류질환
– 식도역류는 위 내용물이 식도로 거꾸로 유입되는 것이며, 위식도 역류질환(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GERD)은 식도역류로 인해 나타나는 증상을 묘사하는 용어
– 역류로 인해 식도 점막이 위 내용물에 노출되어 식도 점막이 손상되는 상태를 역류성 식도염이라 함

① 원인
– 위식도 역류질환은 어느 연령층에서나 발생
– 위식도 역류질환의 원인은 하부식도 괄약근의 부적절한 이완으로 생각
– 역류는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일어남위식도괄약근의 압력대의 신경지배 변화
– 위식도 연접부위 각도의 위치 변경
– 하부식도 괄약근의 무력증
② 병태생리
– 역류성 식도염은 식도나 위 수술 후, 또는 장기간의 구토 후, 장기간의 위장관 삽관 후에 위궤양이나 십이지장궤양과 함께 발생할 수 있음
– 만성적인 역류성 식도염은 식도의 화생(esophageal metaplasia)인 바렛식도(Barrett’s esophagus)를 일으킬 수 있음
– 위 내용물이 상기도를 자극하여 기관지 경련, 후두경련, 윤상인두경련 및 폐렴 등과 같은 호흡기계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음
③ 증상과 징후
– 환자는 가슴앓이, 삼킴통증, 연하곤란, 산의 역류와 기침, 재채기와 같은 호흡기 증상 등을 호소
– 위식도 역류질환의 통증은 전형적으로 오르락내리락하며 움직이는 작열감
– 대개 통증은 식후에 나타나며, 제산제나 수분을 섭취함으로써 완화
– 부종이나 경련, 좁아진 관강으로 인한 연하곤란은 간헐적이며 식사 시작 시에 더 심해짐
④ 협동적 관리(진단)
– 진단은 역류에 기반을 두며 바륨 연하, 식도내압 측정(manometry), 식도경, 식도 생검, 세포학적 검사, 위액분석, 식도 pH 모니터링 등으로 확인
표 15-10 위식도 역류질환의 진단검사
– 식도 pH 관찰법 : pH가 4 이하로 감소된다면 역류를 의미
– 조직생검 : 바렛식도 상피세포의 존재와 암을 확진하기 위하여 내시경으로 조직생검을 한다.
– 바륨연하검사는 열공탈장 유무를 확인한다.
④ 협동적 관리(치료)
– 생활방식 개선
– 투약
• 대개 제산제로 시작하며 제산제는 통증을 완화시킨다.
• 베타네콜을 추가하여 하부식도 괄약근의 압력을 증가시키고 역류를 예방한다. 베타네콜은 콜린계 약물이기 때문에 위산 분비를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대개는 제산제나 H2-수용체 차단제와 함께 식전에 투여한다.
• 오메프라졸은 위산 분비를 억제하여 위식도 역류질환의 단기 치료제로 효과가 있다.
• 항콜린계 약물, 칼슘차단제, 티오필린은 하부식도 괄약근의 압력을 감소시키고 위배출 속도를 지연시키므로 사용을 피한다.
– 시술 및 수술
– 영양요법
• 부드러운 식사를 소량씩, 자주 하도록 한다(하루에 4~6회).
• 지방식품, 토마토, 양파, 술, 담배, 커피, 초콜릿, 사탕, 오렌지 주스뿐 아니라 너무 맵거나 짠 음식, 양념이 과다한 음식도 피해야 한다.
• 밤에 역류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3~4시간 전부터 먹거나 마시는 것을 피한다.
⑤ 간호
– 신체적 안위 손상
– 건강 지식 부족
- (성인간호학) 위장관기능장애 10 – 식도암
- (성인간호학) 위장관기능장애 09 – 식도이완불능증
- (성인간호학) 위장관기능장애 08 – 위식도 역류질환
- (성인간호학) 위장관기능장애 07 – 식도질환 01
- (성인간호학) 위장관기능장애 06 – 구강감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