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체액 전해질 불균형 01

(성인간호학) 체액 전해질 불균형 01

수분과 전해질 균형

인체의 항상성 균형

– 수분, 전해질, 산과 염기의 평형상태 → 신체기관들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통하여 유지

– 수분-전해질 균형

• 체내 항상성 유지를 위한 중요한 요소

• 건강할 때는 균형이 잘 유지되지만 질병이나 신체평형이 깨진 상태에서는 이 균형이 위협을 받는다.

수분과 전해질 균형의 생리 : 체액

– 체액 60% = 세포내액 40% (=24L)+ 세포외액 20%(=12L, 간질액(조직간액 15%=9L)+혈장(5%=3L))

* (L의 숫자는 체중 60kg 기준)

– 체액은 체중의 60~70%

세포외액

– 체중의 20%

– 혈장액(plasma water)

– 간질액(Intrstitial Fluid, ISF)

– 체강액(Transcellular fluid, 위장분비액, 뇌척수액, 늑막강액 등)으로 구성

세포외액의 기능

세포에 영양분, 수분, 전해질 등을 전달하며 노폐물을 운반

② 혈장은 폐에서 모세혈관으로 산소를 운반하고 이산화탄소를 폐포로 되돌림

③ 간질액의 구성 성분인 림프도 세포로부터 노폐물을 운반하고 최종적으로 흉관을 통해 혈액순환으로 되돌려보냄

④ 세포대사를 위한 용매()의 역할

관절과 세포막의 윤활과 쿠션기능

체온조절

ex> 고체온일 경우 → 1. 감염 2. 탈수 3. 시상하부의 체온조절중추 고장 → 고체온이라고 무조건 감염은 아님

세포외액의 구간별 분포

혈액(Intravascular fluid)

– 체중의 약 5%

– 혈관 내에 존재, 혈장콜로이드(혈장단백)를 포함

적혈구를 운반하고 혈관 용량을 유지

– 혈장 내의 단백질 함유량이 간질액의 함유량보다 많음

간질액(Interstitial fluid)

– 세포와 세포 사이 및 세포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부분의 액체(림프 포함)

– 체중의 약 15%

– 세포 대사 작용을 위한 용매 역할

세포횡단액, 체강액(Transcellular fluid)

– 세포외액 중 상피세포층에 의해 분리된 것

– 신체의 분비물 포함 : 타액, 뇌척수액, 심낭액, 관절강액, 소화액, 방광내수분, 안구내액, 담즙액,

복막강내액 등

– 체중의 약 1%

세포내액

– 체중의 40%

– 세포내의 화학적 반응을 위한 반응 및 매개물로 기능함

– 소화기계내의 음식물을 가수분해

– 인체의 구조물 구성

체액과 전해질 균형의 생리 : 전해질

– 전해질 : 수분에 녹아 있는 염 또는 광물질 입자로 전기를 띠는 이온

– 나트륨 : 항상 양전기를 띠는 양이온

– 염소 : 음전기를 띠는 음이온

– 1가의 양전기적 힘을 가지는 주요 양이온 : 나트륨, 칼륨

임상에서 (혼란을 방지하고자) 나트륨은 파랑색, 칼륨은 빨강색으로 표시

– 2가의 양전기적 힘을 가지는 양이온 : 칼륨, 마그네슘

– 1가의 주요 음이온 : 염소, 중탄산

– 2가 음이온 : 황산, 인산

– 세포외액에서의 전해질 : 나트륨과 염소

– 세포내액에서의 전해질 : 칼륨과 인

전해질

1. 모든 체액은 전류를 전도할 수 있는 용액 내 화학적 성분인 전해질 포함

2. 용액내의 전해질은 양전기를 띠는 양이온과 음전기를 띠는 음이온으로 구분됨

전해질의 기능

① 신경, 근육의 흥분성을 증가시킴

② 체액량과 삼투질 농도를 유지시킴

③ 체액구간에 체액을 분배시킴

④ 산-염기 균형 조절

혈장내 주요 전해질 농도(mEq/L)

양이온음이온
Na+
K+
Ca++
Mg++
135~145
3.5~5.0
4.5~5.5
1.3~2.1
HCO₃-22~26

체액과 전해질 이동기전

– 여과 : 막 양면의 정수압 차이로 인해 세포 혹은 혈관을 통해 액체가 이동하는 것

– 정수압 : 혈관 밖으로 물을 밀어내는 압력

– 체액 속에 들어 있는 수분의 양과 점도는 서로 반비례

• 수분이 많고 용질이 적다면 점성이 낮고,

• 수분이 적고 용질이 많으면 점성이 높다.

체액과 전해질의 이동(압력차에 의한 이동)

(1) 혈액의 정수압(Blood Hydrostatic Pressure, BHP)

① 모세혈관 내에 있는 혈구와 혈장의 압력

② 정수압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함

(2) 교질삼투압(Colloid osmotic pressure, Oncotic pressure)

① 혈장단백(알부민)으로 인해 나타나는 압력

② 혈관 내 수분을 유지 : 교질삼투압이 저하되면 혈관내의 수분이 간질강 내로 들어가 부종이 생김

③ 모세혈관 내의 정상교질삼투압은 22mmHg

(3) 여과압(Filtration Pressure, FP)

여과압=정수압-교질삼투압

체액과 전해질의 이동(농도 차이)

(1) 확산(Diffusion)

– 고농도에서 저농도로 용질(입자)이 이동

(2) 능동적 운반(Active transport)

① 농도차 및 전기적 전위차에 역행하여 이동 (저농도 → 고농도)

② 반드시 에너지가 필요함

(3) 삼투(Osmosis)

– 반투막을 통해 용매가 이동, 용매(물)의 양이 많은 곳 → 적은 곳

체액과 전해질의 생리

– 확산 : 용액 안에서 입자(용질)가 고농축 부위에서 저농축 부위로 이동하는 것

– 확산은 수동적인 움직임으로 에너지가 필요 없음

– 농도의 차이가 클수록 확산율이 더 크다. 분자가 크면 이동속도가 느려지고 온도가 높을수록 확산율이 증가함.

– 삼투 : 세포막과 같은 선택적 투과막을 통해 물(용매)분자가 양이 많은 곳에서 적은 곳으로 이동하는 것

– 삼투는 두 용액 사이의 삼투질 농도가 다를 때 일어난다.

– 물은 삼투질 농도가 낮은 용액에서 높은 용액으로 이동한다.

– 능동적 이동은 농도 차이 혹은 전해질의 전기적 전위 차이를 거슬러 이동하는 것

– 모세혈관은 영양분과 노폐물을 교환

– 교질삼투압 : 혈액 속의 단백질, 특히 알부민이 수분을 혈관 내로 끌어당기는 힘

– 혈액 : 수분보다 점성이 높은 액체. 무게와 부피가 있고, 심장에서 동맥순환계로 뿜어져 나가기 때문에 정수압을 가지고 있음

– 인체는 항상 균형을 추구하기 때문에 균형 상태에 이를 때까지 막의 양면에서 물질이 이동하여 재배치됨

체액과 전해질의 내적 조절 – 나트륨과 수분

(1) 갈증 중추

– 삼투압 증가 → 갈증중추인 시상하부의 북측내측핵이 탈수 혹은 자극 → 대뇌피질 자극 → 갈증 지각

(2) 신장

① 체액의 양과 삼투질 농도를 조절함

② 삼투질 농도는 나트륨에 의해 결정됨

나트륨과 수분의 균형유지에 관여하는 주요 요소

수분 결핍시의 조절기전

수분 부족 → 혈장삼투압 상승 → 삼투압 용해체 →갈증 → 수분 섭취 →혈장 삼투압 정상화
ADH 분비 → 신장의 수분 재흡수 증가 →

(3) 항이뇨 호르몬(ADH)

① 시상하부에서 생산되어 뇌하수체 후엽에서 분비

② 신장의 원위세뇨관과 집합관에서 수분의 재흡수를 증가시킴

③ 항이뇨호르몬의 분비억제 → 이뇨 증가

항이뇨호르몬의 분비증가 혈액량 증가, 혈압 증가, 삼투질 농도 감소, 이뇨감소

(4) 알도스테론- 레닌 – 안지오텐신 체계 (RAAS)

① 신장 세포들은 혈장 내 나트륨 수준과 혈액량을 점검하여 부족시 신장에서 레닌이라는 단백질을 분비함

② 레닌은 안지오텐신과 작용하여 안지오텐신Ⅰ이 되며,

여기에 효소(ACE)가 작용하여 안지오텐신Ⅱ로 전환되어 부신피질을 자극,

알도스테론을 분비

안지오텐신(Angiotensinogen)
← + 레닌 ← 신장
안지오텐신 I (Angiotensin I)
← + ACE (전환효소)
안지오텐신 II (Angiotensin II)(부신피질에서 생산)
부신피질 자극
알도스테론(부신피질에서 생산)
알도스테론의 작용
– 부신피질에서 생산되는 호르몬
– 원위세뇨관에서 나트륨과 수분의 재흡수 증가
– 알도스테론이 전혀 분비되지 않는 경우 → 하루에 23mg의 나트륨이 배설 가능
– 알도스테론의 분비가 과다한 경우 → 나트륨 배설이 전혀 없을 수 있음  

안지오텐신 II의 기능
– 동맥의 평활근을 수축시켜 사구체 여과율을 감소시킴
– 전반적으로 혈관을 수축시켜 혈압을 상승시킴
– 부신피질에서 생산되는 호르몬
– 원위세뇨관에서 나트륨과 수분의 재흡수 증가
– 혈류량이 감소하면
– 안지오텐시노겐이 신장에서 나온 renin에 의해 안지오텐신I으로 변하게 되고 전환효소인 ACE에 의해 안지오텐신II로 변하게 된다.
– 여기에서 생성된 안지오텐신II는 혈관을 수축시키고 신장에서 NaCl과 물을 재흡수시킨다.
– 안지오텐신II : 혈압조절과 체액 및 전해질의 조절 호르몬으로서 작용한다.
yongyong

Recent Posts

케겔운동 ‘제대로’ 하는 법

케겔운동 '제대로' 하는 법 케겔운동 '제대로' 하는 법.mp4 케겔운동 방법 가슴을 펴고 배를 집어넣어서 배꼽을…

8시간 ago

(정신건강간호학) 간호과정 02

(정신건강간호학) 간호과정 02 정신간호실무에서 주로 사용하는 간호진단 사례1 자해 및 자살위험이 있는 경우 자해 위험성(Risk…

2일 ago

난다 간호진단 분류체계 2024-2026 (NANDA)

난다 간호진단 분류체계 2024-2026 (NANDA) 난다 간호진단 분류체계 1973년 간호진단 분류체계를 개발하기 위한 최초의 모임인…

3일 ago

(정신건강간호학) 간호과정 01

(정신건강간호학) 간호과정 01 자료출처 1차 자료 출처대상자와의 면담, 관찰2차 자료 출처- 환자의 가족, 친척, 친구,…

4일 ago

수술실 조명에서 그림자가 생기지 않는 이유

수술실 조명에서 그림자가 생기지 않는 이유 무영등(無影燈, shadowless lamp)이라는 특수 조명을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10만 Lux…

4일 ago

연차별 간호사의 초점

연차별 간호사의 초점 신규 간호사의 초첨 미숙한 업무 능력 불분명한 업무 경계 프리셉터와의 갈등 3년차…

4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