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체액 전해질 불균형 02

(성인간호학) 체액 전해질 불균형 02

용량 불균형

* 유형
– 고장성(hyperosmolar) 세포외액량 결핍 : 수분 상실 > 전해질 상실 (고장성 수액 → 전해질 올려줌)
– 등장성(isosmolar) 세포외액량 결핍 : 수분 상실 = 전해질 상실
– 저장성(hypoosmolar) 세포외액량 결핍 : 수분 상실 < 전해질 상실 (저장성 수액 → 수분 올려줌)

1. 세포외액량 결핍

– 혈장액, 간질액 감소를 의미함

– 수분 균형을 회복시키기 위해 세포에서 혈관으로 수분이 이동되므로 세포 내 수분 손실을 초래할 수 있음

– 수분 소실 → 혈액량 감소 → 말초혈관수축, 심박동수 증가

(1) 병태생리

① 세포외액의 수분손실로 혈액량이 감소되면 압수용체(baroreceptor)에 의해 감지되어 말초혈관이

수축되고 심박동수가 증가

② 수분손실로 혈청 내 나트륨의 농도가 증가하면 삼투수용체(osmoreceptor)에 감지되어 갈증이 유발되며

고삼투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세포에서 혈관내로 수분이 이동하는 보상기전이 일어나고,

이 과정이 실패하면 탈수가 초래 됨

(2) 원인

– 수분, 나트륨이 섭취되는 것보다 더 많이 빠져나가서 생김

① 불충분한 섭취 : 의식장애, 연하곤란, 금식, 혼수, 갈증감각의 손상

② 배설 증가 : 위장관(설사, 구토, 흡인)

신장(요농축 불능, 과다한 요배설, 요붕증)

폐(과다한 환기, 기관절개술)

피부(과다한 발한, 화상, 고열)

(3) 증상

(4) 간호중재

① 사정

– 활력징후 : 혈압 저하, 맥박 증가, 체온 상승, 호흡 증가

– 체중감소

– I/O : 갈증, 소변량 감소

– 의식상태

– 임상 검사 결과 : Hct, 혈장 나트륨 농도, BUN 및 혈청 크레아티닌

– 피부 상태

② 중재

– 구강이나 정맥으로 수분보충 (용액의 종류는 체액손실의 형태에 따라 등장액 또는 저장액으로)

→ 수액을 너무 빨리 주입하면 뇌부종, 폐수종 발생

– 적절한 영양 공급

– 심장, 신장, 간 질환자는 수액공급에 따른 합병증 감시를 위해 중심정맥압(CVP)과 폐동맥압(PAP)을 모니터

– 필요시 변형된 트렌델렌버그 체위

– 피부, 구강간호

– 혼돈 대상자는 side rail, 필요시 억제대 적용

2. 세포외액량 과다

– 혈장액, 간질액 증가, 혈량 과다증

(1) 병태생리

– 세포외액량 과다시 정수압 증가로 수분이 조직으로 이동되어 말초부종과 폐수종 유발

(2) 원인

① Na++ 증가 : Na++의 경구/정맥 공급 증가, 알도스테론 투여로 Na++의 재흡수 증가

② 심장, 신장 질환

③ 화상, 단백질 결핍증이 회복되면서 혈관내로 체액 이동

④ 저장액으로 관장이나 위세척시

⑤ 항이뇨호르몬 부적절 분비 증후군

(3) 증상

(4) 부종 간질조직, 체강에 체액 과다 축적

① 발생 기전 (5가지)

– 혈관 정수압 증가 : 혈장이 간질로 빠져나와 부종

정수압 : 수분의 압력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하는 원리

– 혈장 교질 삼투압 감소 : 체액이 혈관 안쪽에서 간질로 빠져나와 부종

교질 삼투압 : 혈장 단백질에 의해 나타나는 압력

– 림프관 폐쇄 : 림프부종

– 나트륨, 수분 정체 : 혈액량 증가, 정수압 증가, 교질 삼투압 감소로 부종

– 고장성 용액의 투여시 수분이 세포내 → 혈관으로 빠져 나옴 (세포가 탈수되어 쪼그라 듦)

② 형태

– 요흔성 부종(Pitting edema) : 지압을 가할 경우 함몰 부위를 남기는 경우

– 비요흔성 부종(Nonpitting edema) : 얼굴, 눈 주위 같이 피하조직이 성긴 곳 (자국이 남지 않는 부종)

(5) 간호중재

① 사정

– 활력징후(강한맥박, 혈압상승)

– 호흡음(악설음, 천명음)

– 천골과 하지의 요흔성 부종

– 정맥울혈, 체중, I/O, 의식수준(뇌부종)

② 중재

– 예방 : 정맥주입의 경우 속도 조절(infusion pump 이용)

– 이뇨제, 안지오텐신전환효소억제제(ACE inhibitor), 베타차단제(beta-blocker), 강심제(digitalis)

– 저염식이, 수분제한

– 심부전 환자는 침상안정

– 하지부종 대상자는 오래 서있거나 다리를 꼬고 앉지 않도록 함

– 침상머리 30~45° 상승 : 정맥귀환량 증진

3. 세포내액량 결핍

– 정의 : 세포내 수분소실이 아주 심한 상태

– 원인 : 고나트륨혈증, 세포외액량 결핍

– 증상 : ① 세포의 탈수

② 갈증, 발열, 핍뇨

중추신경계 변화(혼돈, 무의식, 뇌출혈)

– 간호 : 탈수환자에게 투여 가능한 용액 = 혈장과 비슷한 농도의 용액

= 등장성 용액(0.9% 생리식염수, 하트만 용액)

4. 세포내액량 과다 – 수분중독증

– 정의 : 너무 많은 물에 희석된 상태, 용질의 결핍 상태, 세포부종

– 원인 : ① 0.45% 생리식염수와 같은 저삼투성 용액 – 정맥내 과다 투여(용질 결핍)

② 5% 포도당과 같은 등장성용액 – 정맥내 과다 투여(수분 과다)

③ 항이뇨 호르몬 부적절분비 증후군(SIADH)

yongyong

Recent Posts

의사가 느낀 항문의 놀라운점

의사가 느낀 항문의 놀라운점 ・냄새를 일절 새지않게 하는 밀폐구조 ・크기에 맞춰 자유자재로 늘어나고 줄어드는 기능성…

5시간 ago

8.8 지진에도 환자를 지킨 수술실 의료진 (2025-07-30)

8.8 지진에도 환자를 지킨 수술실 의료진 (2025-07-30) 영상 관련 기사 올레크 멜니코프 캄차카주 보건장관은 의료진이 지진…

14시간 ago

밀가루 우유 (유제품) 먹고 피부 발진 (셀리악병 유당불내증 알레르기)

밀가루 우유 (유제품) 먹고 피부 발진 (셀리악병 유당불내증 알레르기) ✅ 1. 셀리악병 (Celiac Disease) 원인:…

2일 ago

병원 간판으로 일반의 or 전문의 알아보기

병원 간판으로 일반의 or 전문의 알아보기 전문의와 일반의를 구별할 수 있는 간판 표시법 병원간판으로 전문병원…

4일 ago

치아 수명 줄이는 최악의 행위

치아 수명 줄이는 최악의 행위 https://nurseyong.com/%EC%82%AC%EB%9E%91%EB%8B%88-%EB%B9%BC%EB%9F%AC-%EA%B0%84-%EC%83%81%EB%82%A8%EC%9E%90/

6일 ago

에겐녀 (여성호르몬 과잉) & 테토녀 (남성호르몬 과잉)

에겐녀 (여성호르몬 과잉) & 테토녀 (남성호르몬 과잉) 🔴 여성호르몬 과잉 (에겐녀) 생리량 많음 부정출혈 가끔…

7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