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건너뛰기

(성인간호학) 췌장질환

(성인간호학) 췌장질환

🔹 1) 급성 췌장염 (Acute Pancreatitis)

(1) 정의

  • 십이지장으로 배설되지 못한 췌장효소가 췌장 내에서 활성화되어
    자가소화(autodigestion), 염증, 괴사, 출혈 유발
  • 중증일 경우 생명을 위협하는 급성 염증성 질환

(2) 원인

주요 원인세부 내용
알코올과도한 음주 후 자주 발생 (가장 흔함)
담석담관 폐쇄 → 췌관 내 압력 상승, 효소 역류
기타고중성지방혈증, 감염, 수술·외상, 약물, 바이러스, 고칼슘혈증

📌 위험요인: 알코올 남용, 고지방식이, 담낭질환, 복부 외상, 수술 후 합병증

(3) 병태생리

  • 췌장효소(트립신, 리파제, 아밀라제)가 조기 활성화
    → 췌장 조직의 자가소화 및 염증
  • 급성 간질성 췌장염: 부종, 염증만 있음
  • 급성 출혈성 췌장염: 괴사, 출혈 동반 (중증)
  • 복강 및 흉강까지 염증 확산 가능, 지방괴사 동반
  • 심한 경우 쇼크, DIC, ARDS 등 다장기부전 초래

(4) 증상과 징후

구분주요 증상
통증상복부(명치) 통증이 등으로 방사, 식후 또는 음주 후 악화
소화기 증상오심, 구토, 식욕부진, 복부팽만
전신 증상발열, 빈맥, 저혈압, 쇼크 가능
피부소견배꼽 주위 반상출혈(Cullen sign), 옆구리 반상출혈(Grey-Turner sign)
호흡기증상횡격막 상승으로 인한 호흡곤란, 저산소혈증

(5) 진단

검사특징
혈청 아밀라제 · 리파제 상승가장 대표적 진단 지표 (리파제가 더 특이적)
소변 아밀라제상승 시 급성 췌장염 지표
혈청 칼슘 감소지방괴사 시 칼슘 비누화로 저칼슘혈증 발생
WBC 증가, 고혈당, 저알부민혈증염증 반응 반영
영상검사초음파: 담석 확인 / CT: 부종·괴사·농양 확인

(6) 협동적 관리

① 내과적 관리

  • 금식(NPO) → 췌장 분비 억제
  • 정맥수액요법 → 탈수·전해질 불균형 교정
  • 위장관 감압 → 비위관 삽입 (구토·복부팽만 완화)
  • 통증관리 → 진통제(데메롤 등)
  • 호흡관리 → 산소공급, 심한 경우 인공호흡기
  • 영양공급 → 상태 안정 후 경관영양 또는 TPN
  • 혈당조절 → 인슐린 투여 필요 시

② 외과적 관리

  • 진단 불확실하거나 합병증(농양, 괴사, 감염)이 있을 때 수술
  • 담석성 췌장염일 경우 담석 제거 수술 병행
  • 췌장 절제 후에는 췌장효소 보충제인슐린 치료 병행

③ 합병증 관리

  • 호흡기계: 폐렴, ARDS
  • 심혈관계: 쇼크, 저혈압
  • 신장: 급성신부전
  • 혈액: DIC
  • 복강 내 합병증: 농양, 낭종 형성, 복막염

🔹 2) 만성 췌장염 (Chronic Pancreatitis)

(1) 정의

  • 췌장의 지속적인 염증으로 섬유화 및 기능 저하
  • 반복되는 급성염증 → 췌장조직의 비가역적 손상
  • 내분비(인슐린 분비)·외분비(소화효소 분비) 기능 모두 저하

(2) 원인

  • 만성 알코올 섭취(가장 흔함)
  • 담관폐쇄, 유전적 요인, 자가면역성 췌장염, 낭성섬유증

(3) 증상

  • 상복부 통증이 지속되거나 재발성
  • 지방변(steatorrhea), 체중감소, 당뇨병 발생
  • 식욕부진, 구토, 영양결핍

(4) 진단

  • 췌장기능검사(아밀라제, 리파제 상승)
  • 영상검사(CT, 초음파, 내시경)

(5) 치료 및 간호

구분관리내용
식이요법고탄수화물, 저지방식이, 소량씩 자주 섭취
금주·금연췌장 자극 방지
통증조절진통제, 항경련제(췌관 내압 완화)
췌장효소보충외분비기능 저하 시 투여
당뇨관리인슐린 투여
수술요법췌관 배액술, 췌장 절제술 등

핵심 요약 한 줄

급성 췌장염은 자가소화로 인한 급성 염증,
만성 췌장염은 반복 손상으로 인한 비가역적 섬유화와 기능 저하가 특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