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혈관계 건강문제와 간호
1. 구조와 기능
혈관의 구조
– 혈관계는 크게 동맥과 정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좌심실에 있는 혈액은 체순환으로 대동맥, 동맥, 세동맥, 물질의 이동이 일어나는 모세혈관, 세정맥, 정맥을 거쳐 대정맥을 통해 우심방으로 들어오게 되고, 폐순환에서는 혈액이 우심실에서 폐동맥, 폐모세혈관, 폐정맥을 거쳐 좌심방으로 되돌아온다.
– 동맥은 내막 · 중막 · 외막의 세층으로 되어 있다.
– 정맥은 심장으로 혈액이 되돌아갈 때까지 혈액을 운반한다.
– 모세혈관은 조직 간에 물질을 교환할 수 있도록 작고 얇은 벽을 가진 혈관으로, 교환은 혈액과 체세포, 폐조직에서 혈액과 공기 사이에서 발생한다.
혈관계 혈류의 조절
– 정맥내 혈류는 혈압의 차이뿐만 아니라 정맥주변 근육의 펌프작용과 정맥내 판막의 역류 방어기전에 의하여 항상 일정한 방향으로 흐른다.
– 모세혈관은 산소와 영양분을 조직에 공급하고 탄산가스와 노폐물을 혈액 내로 운반하는 물질대사가 일어나는 곳이므로 매우 중요하다.
2. 건강사정
신체검진
시진
① 모세혈관 충만 시간 : 3초 이내
② 부종 : 다리의 부종을 사정 할 때. 경골부위 위를 5초 정도 압박한 후 떼어보면 손을 뗀 자리에 흔적이 남아 있을 수 있다.
- 0 : 부종이 없음
- 1+ : 정상적인 발과 다리의 모양이며 압박 시 2mm 정도 누른 흔적을 겨우 발견할 수 있는 상태로 빨리 사라짐
- 2+ : 정상 모양이며 압점의 깊이가 4mm 미만으로 10~15초 후에 사라짐
- 3+ : 발과 다리에 부종이 있으며 압점이 4~8mm 미만으로 약 1분간 지속되며 의존부위는 부어 있음
- 4+ : 발과 다리에 부종이 심하고 압점이 8mm 이상으로 2~5분 동안 지속되며, 의존부위는 부어 있고 팽창해 있음
③ 하지상승 시 창백한 양상
④ 곤봉형 손가락
⑤ 트렌델렌버그 검사
– 환자를 눕게 한 후 정맥이 비워질 때까지 다리를 올리게 한다. 그런 후 대퇴부 중간쯤 표재정맥이 막힐 정도로만 지혈대로 편안하게 묶는다. 그 상태로 일어서게 하여 정맥이 밑에서부터 채워지는 시간을 확인한다. 정상에서 정맥이 채워지는 데는 35초가 필요하다. 지혈대는 60초에 풀어야 하는데, 정상에서는 지혈대를 푼 후에도 정맥이 바로 채워지지 않는다. 그러나 지혈대를 푼 후에 위에서부터 혈액이 빨리 채워지면 판막에 문제가 있어 혈액의 역류가 일어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촉진
① 피부온도
② 맥박
③ 알렌 검사 : 요골동맥과 척골동맥을 압박하고 환자에게 주먹을 꼭 쥐게 한 후 손을 펴면 창백하게 된다. 척골동맥에서 손을 떼고 척골동맥이 막히지 않았는지를 본다.
④ 호만스징후 : 혈전정맥염의 징후를 사정하기 위한 검사로서 발을 발등으로 전히게 하여 장딴지 근육에 통증이 있는지를 본다.
청진
– 말초혈관계의 청진은 청진기로 할 수 있으나 도플러 초음파 혈류측정기로 더 잘 들을 수 있다.
임상진단검사
– 도플러 초음파 혈류검사 : 전자 청진기로 간헐파행을 검사하고 혈류의 상태를 파악하는 것
– 발목-팔 지수(ankle-brachial indes : ABI)
– 간헐파행 검사 : 순환장애로 인하여 하지 근육에 생기는 통증이며, 운동이 심해지고 안정하면 통증이 소실된다.
– 말초박동 측정 : 가장 중요한 검사 중 하나이며, 양쪽 다리의 박동을 비교하여 동맥폐색 여부를 확인한다.
3. 일반 간호
말초조직 관류의 증진
체위
– 심한 동맥부전의 환자가 수면이나 휴식을 취할 때 침상머리를 15cm 정도 올림으로써 심장이 보다 쉽게 혈액을 사지로 내려보낼 수 있다.
– 체위부종을 관찰해야 한다.
혈관확장의 증진 방법
① 보온 : 온기는 혈관을 확장시키고 순환을 도와주기 때문에 말초혈관 질환자에게는 반드시 보온이 필요하다.
② 혈관수축의 예방 : 흡연, 정신적 흥분 상태 및 오한 등의 혈관을 수축시키는 요인을 피하도록 한다.
③ 약물투여 : 혈관확장제를 투여
④ 내 · 외과적 중재 : 말초신경을 절제함으로써 세동맥을 이완하여 혈류를 개선한다.
⑤ 혈관폐색의 예방
– 콜레스테롤 제한 식이, 운동, 비만증의 조절 및 편안한 마음가짐 등
– 아스피린이나 디피리다몰(dipyridamole) 및 덱스트란(dextran)과 같은 혈소판 작용을 억제하는 약물은 혈관폐색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정맥혈전 형성을 예방하기 위하여 장기간의 안정을 피한다. 관절운동을 한다.
운동요법
- 발에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딱딱한 구두는 피하도록 한다.
- 정맥순환부전 환자에게는 정맥귀환을 증가시키기 위해 장딴지 근육에 힘을 주었다 이완했다 하는 운동을 가르친다.
- 혈관질환자를 위해 좋은 운동이 버거-알렌 운동이다.

- 심부정맥혈전증 환자는 절대안정이 필요하다. 활동은 혈전이 떨어져 나가게 하여 폐에서 색전증을 일으킬 위험성이 크기 때문이다.
피부손상과 합병증 예방
– 말초혈관질환자는 순환부전 때문에 감염에 민감하고 다리에 궤양이 발생하기 쉽다.
- 고나트륨혈증 – 저나트륨혈증 – 고칼륨혈증 – 저칼륨혈증 – 고칼슘혈증 – 저칼슘혈증
- (성인간호학) 고혈압 02 약물
- 호흡성 산증 – 대사성 산증 – 호흡성 알칼리증 – 대사성 알칼리증
- (성인간호학) 고혈압 01
- (성인간호학) 혈관계 건강문제와 간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