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혈관계 (동맥) 건강문제와 간호 01
혈관계 구조와 기능
– 체순환, 폐순환으로 이루어진 폐쇄회로
– 동맥, 모세혈관, 정맥으로 구성
동맥
– 심장에서 나와서 말초로 향하는 혈관
– 벽이 두껍고 탄력성이 있으며 혈관의 박동을 느낄 수 있음
– 무늬근육에 분포한 자율신경이 혈압을 조절
– 중간막이 가장 두꺼움
– 허파동맥을 제외한 모든 동맥은 산화혈액을 운반함
– 대동맥 통해 심장 → 조직으로 산소, 혈액 운반하는 벽이 두꺼운 혈관
– 3개 조직층으로 구성
① 내막 : 내피세포로 구성된 내층
② 중막 : 결합조직, 탄력조직, 평활근으로 구성된 중간층
③ 외막 : 결합조직으로 구성된 외층
– 문제 시 경색, 조직괴사 : 산소와 영양소 이동 장애 유발
정맥
– 말초에서 심장으로 되돌아가는 혈관
– 동맥벽과 마찬가지로 3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동맥벽보다 얇고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으며, 그 내경은 정맥이 동일 직경의 동맥보다 큼
– 저장체제로 작용하는데, 이는 정맥벽이 확장되기 쉬운 상태이기 때문이며, 총 혈량의 75% 가 정맥 속에 저장되어 있어 수용혈관이라고도 함
– 정맥 내에는 곳곳에 판막이 위치하여 혈액의 역류를 막고 정맥순환을 도움
– 산소 제거된 혈액을 모세혈관 → 심장으로 되돌려 보내는 벽이 얇은 혈관
– 내막, 중막, 외막으로 구성 : 평활근, 결합조직이 적음 → 정맥 확장 용이하게 함
– 판막 : 혈류의 흐름이 중력에 저항하여 한 방향으로 흐르게 함
– 문제 : 정맥판막의 손상, 정맥 내 혈전 형성
모세혈관
– 소정맥과 소동맥을 연결하는 그물모양의 가는 혈관
– 지름은 8~20μm 이며, 매우 가는 것은 적혈구 1개가 겨우 통과할 정도임
– 모세혈관벽은 내피세포의 단일층으로만 되어 있어 혈액과 그 주변의 세포 간에 물질교환이 쉽게 일어날 수 있음
– 산소나 영양분은 쉽게 조직 속으로 통과 되고 조직 내의 탄산가스나 노폐물이 쉽게 혈액내로 옮겨짐
– 단일 세포막으로 구성된 미세하고 벽이 얇은 혈관
– 세동맥 세정맥 연결
림프
– 간질 공간에서 세포 내액을 혈액으로 보냄
– 림프관 폐쇄 : 심한 부종 일으킴
알렌 검사


동맥질환
동맥경화증과 죽상경화증 (Arteriosclerosis & Atherosclerosis)
– 동맥경화증 (Arteriosclerosis) : 동맥이 딱딱해진 상태. 소동맥과 세동맥 내벽이 두꺼워지거나 혈관 근육의 섬유화가 오는 과정
– 죽상경화증 (Atherosclerosis) : 지방, 칼슘, 혈액 성분, 당질 및 섬유성 조직의 축적으로 인해 동맥벽이 굳어 탄력을 상실한 상태
– 위험요인 : 고혈압, 흡연 (Nicotine), 고지방식이 섭취자, Stress
동맥경화증 (Arteriosclerosis)
– 정의 : 혈관 내막에 다량의 콜레스테롤, 중성 지방 등의 지질 침윤
– 원인 : 유전적 요인, 고지방 식이, 음주, 흡연, 스트레스, 육체적 운동 결핍 등
– 병태생리 : 지질 대사 이상과 혈관 내피세포의 상해
– 과정
동맥 내피세포의 반복적인 자극은 동맥내벽 손상초래
→ 혈소판 응집 억제 작용이 있는 동맥내막의 prostacyclin 합성능력 손상
→ 혈소판 응집
→ 혈소판, 단핵구 세포의 축적
→ 내막 평활근 세포의 증식
→ 혈관벽의 콜레스테롤 투과도 증가
→ 콜레스테 롤 지방 침전물 생성
→ 동맥관강 좁아지고 평활근 세포, 섬유조직이지방 침전물에 fibrous cap 형성
→ 지방 침전물이 계속 성장하여 혈관 내막, 중막 침범
→ 혈관 이완, 수축에 영향 동맥은 70% 폐색시까지 심근에 산소, 영양소 공급 가능


① 급성 동맥 폐색(Acute Arterial Occlusion)
– 하지에 약 90% 가 발생
– 동맥 혈전증 : 죽상경화증으로 인해 응고된 혈액 등이 혈관을 폐색 → 동맥류로 발전
– 동맥 색전증 : 심장이나 혈관 내에 이물질이나 응혈된 혈괴가 혈류를 따라 돌다가 어떤 동맥을 폐색시킴
– 증상 : 6P = 통증(pain) 감각 이상(paresthesia), 냉기(poikilothermia), 마비(paralysis), 창백(pale), 맥박이 없어짐(pulselessness)
– 치료 : 색전 제거술(embolectomy), Heparin 투여, 섬유소 용해제(fibrynolytic agents)
– 내과적 치료 or 수술이 연기
→ heparin 2~7 일 정도 IV
→ heparin IV 투여 후로는 경구용 항응고제로 변경, 부분트롬보플라스틴 시간(PTT) 검사
ex) 쿠마린(와파린) : 2~4주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프로트롬빈시간(PT)을 검사
→ 섬유소용해제(fibrynolytic agents)는 혈전이나 색전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
ex) 유로키나제
② 만성 동맥 폐색(Chronic Arterial Occulusion)
– 하지에 많이 발생(장골동맥 분지점, 대퇴동맥 분지점)
– 증상
Ⅰ단계 : 무증상 (asymptomatic)
Ⅱ단계 : 간헐성 파행증 (Intermittent Claudication)
→ 말초동맥질환의 가장 중요한 증상
→ 조직의 대사요구에 맞는 적절한 혈액공급에 문제가 있어 근육이 강하게 수축하며 일어나는 근육통 (O2 부족, 대사산물의 축적)
Ⅲ단계 : 안정 시 통증 (rest pain)
Ⅳ단계 : 괴사 (necrosis/gangrene)
– 치료
- 내과적 중재 약물요법, 경피적 혈관 내 성형술 (percutaneous transluminal Angioplasty, PTA), 레이저 이용 혈관 내 성형술, 교감신경 차단법
- 외과적 중재 – 요추 교감신경 절제술, 동맥 우회술
경피적 혈관 내 성형술 (percutaneous transluminal Angioplasty, PTA)
- 수술을 하지 않고 풍선(balloon)이 있는 도관으로 폐쇄된 혈관을 확장시키는 방법
- 혈관조영술을 하는 부위에서 시행
- 장점
- 하나의 동맥만 이용
- 장기간의 안정이 필요 없음
- 국소마취 하에서 실시
- 외과적 수술의 위험 부담이 있는 사람에게는 안전함
외과적 중재
– 간헐성 파행증이나 너무 심하여 일상 활동을 방해하는 상태일 때 시도
① 요추 교감신경 절제술
– 말초신경을 외과적으로 절제하는 것으로 동맥을 이완시켜 혈류의 흐름을 증가시킴
– 부위 : 보통 요부(L4, L5)의 교감신경을 절제
② 동맥 우회술 (arterial bypass graft)
– 동맥이 좁아져서 혈액공급이 줄어들었거나 차단된 부위보다 아래쪽에 추가로 혈액을 공급할 수 있는 우회혈관을 연결하는 수술
– 이때 사용되는 우회혈관은 떼어내더라도 신체에 큰 지장을 주지 않는 혈관을 사용
→ 흉골의 안쪽에 위치하고 있는 양측 내흉동맥, 다리의 피부 밑 지방층에 있는 하지 복재정맥
– 복재정맥을 이용할 수 없는 경우 : 팔에서 요골쪽 피부정맥 (cephalic vein)이나 척골쪽 피부정맥 (basilic vein) 을 이용 할 수 있음
수술 전 준비
– 응급이 아닐 경우 환자와 가족에게 수술 절차를 설명하고 심리적 지지를 제공함
– V/S 와 말초맥박의 특성을 기록 (전 · 후 비교에 용이, 촉진과 Doppler 검사로서 확인하는지 구분)
– 수술실 가기 전에 정맥내 주입을 시작, 도뇨관 삽입, 체중 측정
수술 후 간호
– 수술 후 사지로 가는 적절한 혈류량 체크
– 체위는 무릎을 너무 완전히 펴면 오금동맥의 수축으로 혈류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무릎을 약간 굽힌 자연스러운 자세가 좋음
– 수술 부위에 부종이 있으면 침대 발치를 약간 올려줌 (또는 탄력스타킹을 신게함)
→ 정맥귀환과 동맥관류를 쉽게 해줌 (혈전예방)
- (성인간호학) 혈관계 (동맥) 건강문제와 간호 02
- (성인간호학) 혈관계 (동맥) 건강문제와 간호 01
- (성인간호학) 고혈압 03
- (약리학) 자율신경계 약물 02
- 고나트륨혈증 – 저나트륨혈증 – 고칼륨혈증 – 저칼륨혈증 – 고칼슘혈증 – 저칼슘혈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