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동맥벽이 탄력성을 잃어 부분적으로 약해지거나 늘어나 확장된 상태
② 복부 대동맥에 호발. 그 밖에 대퇴동맥, 슬와동맥
③ 원인 : 죽상경화성 질환, 외상, 매독, 감염, 혈관 선천성 기형(Marfan’s syndrome) 등 혈관벽을 약화시키는 요인
① 방추형(fusiform) : 가장 흔한 형태
② 낭상형(saccular)
③ 분리형(dissecting) : 혈관내막이 찢어져 내막층 -중간층 사이 강(cavity)안으로 혈액 축적
① 대개 동맥류가 인접조직 압박하기 전까지 증상 없음
② 좌측 요추부위에 가까운 경우 : 허리 통증
③ 배꼽 주변 왼쪽의 박동하는 덩어리
④ 파열 시 증상 : 심한 통증, 쇼크, 적혈구 감소, 백혈구 증가
X ray, 초음파 촬영, CT scan
– 치료의 목표 : 동맥류 파열의 예방 , 조기발견과 즉각적 치료 필수
① 수술
– 일반적으로 4cm 이상 수술시행, 6cm 이상인 경우 파열될 위험이 70∼80%
– 파열된 동맥류 또는 분리형 동맥류는 응급수술이 필요
② 경피적 혈관내 스텐트 삽입
– 5cm 미만의 복부 대동맥류
– 흉부 대동맥에서 흔하고 동맥 벽에 깊이 골이 생기면서 내막이 찢어져 발생
– 동맥 내막의 찢어짐으로 부적절한 혈류 통로 발생
– 수축기 압력으로 손상 심화
– 대동맥 폐색 유발 혈액 공급 차단
– 위험요인 : 고혈압 , 말판 증후군 (marfan syndrome), 혈관염
심한 흉통(도끼로 등을 내리찍는 것 같은), 실신, 호흡곤란, 쇠약감 등
① 심장압전 : 상행대동맥궁 대동맥 박리
② 박리된 동맥 파열 : 출혈로 사망
③ 폐색으로 인한 주요 장기 허혈
① 초기 : 혈압과 심근 수축력 저하
② 수술 요법 : 약물요법이 비효과적이고 합병 증이 있을 때
– 동맥내막 안쪽에서 일어나는 동맥 경화성 협착이나 진행성 또는 급성 동맥 폐색, 퇴행성 변화에 의해 발생
– 죽상경화증, 노화, 운동부족, 흡연, 고혈압, 고지혈증, 비만, 당뇨, 스트레스 등, 40세 이상 호발
① 혈관내막에 형성되는 죽종성 플라그 → 부분 또는 완전 혈관폐색, 중막을 석회화 → 탄력성 소실, 동맥벽 약화 → 동맥류 팽창, 혈전 형성 용이하게 함
② 적절한 혈액을 조직으로 운반할 수 없어 조직에 영양공급, 대사산물 제거 안 됨
③ 폐색성 동맥경화증 증상 나타남
① 간헐적 파행 (Intermittent claudication)
– 초기 : 운동시 통증 근육에 적절한 혈액공급이 되지 않기 때문에 발생
– 후기 : 휴식시에도 통증
– 양측성, 주로 대퇴동맥 또는 슬와동맥 침범
– 경련이나 통증은 운동 중지 후 10분 이내 소실
② 창백, 맥박소실, 감각이상, 마비, 변온증 손상 부위가 차게 느껴짐
③ Ankle Brachial Index(ABI)
① 금연이 가장 중요한 치료법
② 혈중 지질을 저하시키는 약제나 항혈소판제제(aspirin, ticlopidine, clopidogrel)
③ 외과적 관리 : 우회술(bypass graft), 동맥내막절제술, 혈관내막수술, 절단술
– 중간 크기의 동맥, 정맥에 혈전을 형성하고 비화농성인 염증을 일으켜 혈관을 폐색시킴으로써 말초순환부전을 일으키는 질환
– 주로 동맥, 상지 하지의 말초부에 발병
① 20∼35 세 젊은 남성
② 흡연자
① 손, 발의 작거나 중간 크기의 동맥, 정맥에서 발생
② 혈관 외막의 염증성 침윤 → 섬유성 치유과정의 결과로 혈관이 폐색
① 통증 : 발바닥, 종아리에 간헐성 파행증
② 청색증, 냉감, 감각 이상, 낮은 온도에 민감, 진행되면 괴사, 괴저
① 금연 : 가장 중요, 수술 시행이 어려움 동맥의 원위부에서 시작하여 근위부로 진행
② 통증 완화
③ 혈관 확장 증진
④ 발이 기계적, 화학적, 열적 상처를 입거나 찬 곳에 노출되지 않도록 함
– 주로 하지에서 발생 – 동맥이나 정맥의 반복되는 비화농성 염증으로 인해 혈전을 형성하여 혈관을 폐색시킴으로써 말초순환부전을 일으키는 질환 – (1908년 Buerger 씨가 처음으로 기술) (1) 빈도 : 40대 이하의 젊은 남자, 심한 흡연가에게서 많이 발생 (2) 증상 ① 간헐성 파행증 (intermittent Claudication) : 손, 발바닥, 종아리에 활동 시 pain, rest 시 pain이 사라짐 ② 허혈성 신경증 (ischemic neuropathy) : 무감각, 감각 이상, 작열감 ③ 하지 피부가 창백하고 차갑고 청홍색 ④ 약한 맥박, 맥박의 소실 ⑤ 괴사의 진행으로 인한 극심한 통증 심하면 amputation (3) 치료 a. 요인제거 : stress. smoking, 추운 곳 avoid b. 기계적, 화학적, 열적인 손상 피하기 c. 혈관확장제 (Vasodilator) d. 교감신경절제술 (Sympathectomy) |
– 추위나 스트레스에 노출되었을 때 간헐적이고 반복적인 손가락 동맥의 수축
– 원인 : 다양한 류마티스 질환, 혈액질환, 약물에 의해
① 45세 이전의 여성에 호발
② 손을 많이 쓰는 직업 : 피아니스트, 타이피스트 등
① 찬 공기, 물에 노출
② 감정적 자극
① 양측성, 대칭성
② 주로 상지, 손가락 끝과 중수수지 관절 많이 침범
③ 증상은 추위에 노출정도, 정서적 흥분, 카페인 섭취, 흡연 유무와 관련
④ 피부색 변화
– 수축 단계 : 창백(초기증상), 청색증, 무감각, 냉감
– 발적 : 혈관 경련성 반사 후 혈류가 재개되었을 때 나타남. 급성통증 유발
① 경련 조절 : 혈관확장제, 칼슘길항제
② 금연
③ 추위 노출 최소화(환측 보온), 상해 방지
④ 스트레스 예방
⑤ 실내온도 따뜻하게 함
⑥ 카페인, 초콜릿 섭취 제한
– 유전적 소인이 있는 동맥에 발작성 수축을 일으키는 말초혈관장애 – 손, 발 동맥의 발작성 경련으로 소동맥 혈관이 수축함 – 소동맥에 혈관수축이 일어나면서 일시적으로 손이 창백해지고 청색증과 함께 피부 온도에 변화가 옴 (1) 빈도 : 젊은 여 > 남. 특히 Cathecholamin이 많이 분비되는 여성 : 화를 잘 내는 여자 (2) 증상 ① 심리적 자극이나, 추운 곳에 노출 시 손가락이 창백, 청색증이 간헐적으로 나타남 ② 증상이 양측성 및 대칭성으로 옴 ③ 주로 상지, 손가락 끝과 중수수지 관절 많이 침범 ④ 피부색 변화 (3) 치료 ① 원인제거 추위, 정서적 stress ② 약물요법 혈관확장제, 교감신경억제제 ③ 실내온도를 따뜻하게 유지 ④ 카페인, 초콜릿 섭취 제한 |
① 혈액공급이 부족한 상태 : 누워있는 동안 통증 심화
② 휴식 시에 다리는 내리는 것이 좋음
① 정맥혈이 귀환하지 못하는 것이 문제
② 휴식 시에 다리는 올리는 것이 좋음
– 따뜻한 온도유지 : 오한 , 추위에 노출 시 혈관 수축
(1) 흡연, 카페인 제한
(2) 감정적 흥분 제한
총경 이상 경찰 간부 전원, 다음 달 내 마약 검사 (2025-08-13) 내용 경찰청장 지시사항으로 우선…
1형당뇨, 2026년 5월부터 췌장장애로 인정 내용 13일 보건복지부가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서미화 더불어민주당 의원에 제출한…
성인ADHD 치료 (유튜버 덕자) 성인ADHD 치료 2023년 5월부터 성인ADHD 치료를 시작했다. 일상 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알콜의존증으로 술도…
라식한걸 후회하는 안구갤러 (수술 부작용) 내용 반응 댓글 수술 후관리가 중요함 난 일주일간 눈감고 라디오만 들으면서 살았음 3일감은 아예 눈 안뜨고 먹여주는것만 먹고 약 넣을때만 눈뜸 그뒤로도 암막커튼 치고 불 다끄고 선그라스 낀채로 밥먹고 나야 잘 되긴 했는데 검사도 많이 받아보고 해야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