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혈관계 (정맥) 건강문제와 간호 03
혈관계 구조와 기능
동맥
(1) 심장에서 나와서 말초로 향하는 혈관
(2) 벽이 두껍고 탄력성이 있으며 혈관의 박동을 느낄 수 있음
(3) 무늬근육에 분포한 자율신경이 혈압을 조절
(4) 중간막이 가장 두꺼움
(5) 허파동맥을 제외한 모든 동맥은 산화혈액을 운반함
정맥
(1) 말초에서 심장으로 되돌아가는 혈관
(2) 동맥벽과 마찬가지로 3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동맥벽보다 얇고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으며, 그 내경은 정맥이 동일 직경의 동맥보다 큼
(3) 저장체제로 작용하는데, 이는 정맥벽이 확장되기 쉬운 상태이기 때문 총 혈량의 75% 가 정맥 속에 저장되어 있어 수용혈관이라고도 함
(4) 정맥 내에는 곳곳에 판막이 위치하여 혈액의 역류를 막고 정맥순환을 도움

모세혈관
(1) 소정맥과 소동맥을 연결하는 그물모양의 가는 혈관
(2) 지름은 8~20μm 이며, 매우 가는 것은 적혈구 1개가 겨우 통과할 정도임
(3) 모세혈관벽은 내피세포의 단일층으로만 되어있어 혈액과 그 주변의 세포 간에 물질교환이 쉽게 일어날 수 있음. 산소나 영양분은 쉽게 조직 속으로 통과 되고 조직 내의 탄산가스나 노폐물이 쉽게 혈액내로 옮겨짐.
심부정맥혈전 (Deep vein thrombosis, DVT) 01
– 정맥에 혈전이 형성된 것으로 정맥벽에 염증을 동반하면 혈전성 정맥염(thrombophlebitis)라 한다.
정맥 혈전의 원인
① 정맥 울혈 : 장기간 부동, 비만, 임신, 울혈성 심부전
② 정맥혈관 내피세포의 손상 : 폐색성 혈전 맥관염, 골절, 탈골, 조영제, 정맥주사 등
③ 혈액 응고 항진 : 탈수, 혈소판 증가, 경구용 피임약 증상
증상
① 국소적 통증이나 압통, 열감, 발적, 다리감각이상
② 일측성 부종, 심부정맥혈전증이 대정맥에 발생시 양측성 부종
진단적 검사
① 도플러 검사
② 정맥조영술
③ 혈액 검사 : CBC, 출혈시간 등
④ Homans ’ sign 양성 : 누워서 다리 들고 발을 배굴할 때 통증 있는 경우
치료 및 간호중재
① 예방적 간호 : 가장 중요
- 혈관 내부 손상 예방 : 하지 정맥주사 피함
- 조기이상, 체위 변경 (혈전 생성 예방)
- 탄력 스타킹 : 혈액 정체 예방
- 마사지 금지 : 색전 형성의 원인
- 통증 심하면 진통제
- 온찜질 : 정맥 경련 감소, 진통 효과, 염증 감소
- 안정 : 혈전이 형성된 후 5∼7일 안정 (혈전이 색전이 되지 않도록)
② 약물
- 항응고요법 : 심부정맥혈전증 형성 예방
- 저분자량 헤파린 (Low Molecular Weight Heparin, LMWH) 투여
- Coumadin(Wafarin) 투여
- 혈전용해제
③ 외과적 치료
- Thrombectomy, 하대정맥 차단
심부정맥혈전 (Deep vein thrombosis, DVT) 02
– 심부 정맥에 생긴 혈전성 정맥염을 의미함
원인
① 정맥 정체 (venous stasis) : 근육 펌프 작용 감소 (부동, 비만, 임신, 울혈성 심부전, 수술 후
② 과응고력 (hypercoagulability) : 탈수, 혈액질환, 악성종양
③ 정맥벽의 손상 (venous injury) : IV, 폐색성 혈전 맥관염(Buerger’s disease), 골절 및 탈골 등
예방
① 수술 후 조기 이상 (early ambulation), 전신운동 , deep Breathing (심호흡), elastic stocking (탄력스타킹) 착용
② 항응고제 투여 (예방목적), 경구 피임약 Avoid
③ 코르셋 사용금지 (밴드스타킹)
④ 적절한 수분 섭취
증상
① 부종 (edema)
② 홍반 (skin red), 온기 (hot), 압통 (tenderness)
③ 미열
④ Homan’s sign : 앙와위에서 발바닥을 위쪽으로 구부리면 장딴지 근육통
치료
① 내과적 치료 : 항응고요법 (clotting time 을 1½~2½ 배로 늘림
a. heparin
- 이미 형성된 혈전에 대해서는 효과가 없으나, 혈전이 더 진행되는 것을 예방함
- 작용 : 응고인자의 활성화를 막고 피브린을 형성하는 트롬빈의 작용을 억제함
- 효과를 체크하기 위해 partial thromboplastin time(PTT) 측정함
- 정상의 1.5~2 배에 달하게 함
b. coumarin 제제
- 작용 : 비타민 K 의 합성을 억제함
- 대표적 약물 : Wafarin sodium(Coumadin)
- prothrombin time(PT) 을 측정
- antidote : 비타민 K
c. 혈전 용해제
- 효과 : fibrin 을 분해시키는 효소로서 plasminogen 을 plasmin 으로 전환하도록 하여 혈전을 녹임
- 종류 : streptokinase, urokinase , tissue plasminogen activator(tPA)
② 외과적 치료 : 혈전제거술(thrombectomy)
간호중재
① 안정
② 다리를 올림 : 중력에 의한 혈액순환 개선을 위함
③ 더운물 주머리 대줌 : 정맥수축을 완화시키고 진통효과와 염증 완화 촉진의 효과
④ 불편감의 완화 : 필요 시 진통제 투여
⑤ 폐색전증 사정 : 가장 치명적인 합병증임
⑥ 항응고요법의 모니터 : PTT 모니터
⑦ 환자 및 가족교육 : sign of bleeding 관찰, regular blood study, avoid injury
정맥류 (Varicose veins)
– 정맥 판막의 기능상실과 정맥압 상승으로 표재성 정맥이 확장되고 구불거리는 상태
원인
① 원발성 : 가족력, 선천성
② 속발성 : 외상, 폐색, 심부정 맥혈전증, 손상된 판막의 염증
- 임신, 복수, 복부종양 등의 외부압력 증가
- 울혈성 심부전, 간경변증 등 만성질환으로 인한 지속적인 정맥압 상승
- 오래 서있는 직업
진단
① 걸을 때 정맥압, 혈관의 변화 확인
② 도플러 검사, 정맥 조영술
③ Trendelenburg test
증상
① 검고 구불거리며 튀어나온 혈관, 거친 피부
② 서 있을 때 다리 통증 증가
③ 약간의 다리부종, 조이는 감각, 야간의 종아리 경련
치료 및 간호중재
① 경화 요법 (Sclerotherapy)
② 외과적 중재 : 정맥 결찰, 제거 궤양 생기고 혈전 자주 생기는 경우
③ 수술 후 간호
④ 예방
- 탄력 스타킹 착용
- 장기간 앉아 있거나 서 있지 않도록, 자주 다리를 상승시키고 휴식
Trendelenburg 검사
① 환자에게 눕게 한 후 정맥이 비워질 때까지 다리를 올리게 한다.
② 대퇴부 중간쯤 표피정맥이 막힐 정도로만 지혈대로 편안하게 묶는다.
③ 그 상태로 일어서게 하여 정맥이 밑에서부터 채워지는 시간을 확인한다. 정상에서 정맥이 채워지는 데 35초가 소요된다.
④ 지혈대는 60 초에 풀어야 하는데, 정상에서는 지혈대를 푼 후에도 정맥이 바로 채워지지 않는다. 그러나 지혈대를 푼 후에 위에서부터 혈액이 빨리 채워지면 판막에 문제가 있어 혈액의 역류가 일어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림프부종 (Lymphedema)
– 림프액의 흐름이 폐쇄되어 조직에 림프액이 비정상적으로 축적된 것
– 원발성 림프부종 : 림프관의 발달정도에 따라 – 형성부족, 형성불량, 형성과다
– 속발성 림프부종 : 주로 림프계의 손상으로 인해 발생, 림프절의 외과적 제거, 방사선 조사로 인한 염증, 림프종
병태생리
림프내압 상승으로 판막 기능 부전 ⟶ 림프액의 역류, 림프관압 상승 ⟶ 말초 림프관 울혈 ⟶ 간질강 내 단백질 축적,
수분 축적 ⟶ 만성림프 울혈 ⟶ 섬유화 초래 예방
예방
(1) 수술 중 림프절이 광범위하게 제거되지 않도록
(2) 림프절에 방사선이 조사되지 않도록
치료 및 간호중재
(1) 물리요법 : 림프순환 마사지 말단부에서 중심부 방향으로 마사지
(2) Coumarin 요법 : 세포간내 단백질 제거, 부종 경감
(3) 외과적 치료 : 피하조직 제거술
(4) 증상 완화 : 이뇨제, 이환된 사지 상승, 탄력 붕대지지
(5) 식이 : 저염식이

맥관계 환자 간호중재
(1) 동맥질환
① 혈액공급이 부족한 상태 : 누워있는 동안 통증 심화
② 휴식 시에 다리는 내리는 것이 좋음
(2) 정맥질환
① 정맥혈이 귀환하지 못하는 것이 문제
② 휴식 시에 다리는 올리는 것이 좋음
혈관확장 증진
– 따뜻한 온도유지 : 오한, 추위에 노출 시 혈관 수축
혈관수축 예방
(1) 흡연, 카페인 제한
(2) 감정적 흥분 제한
교감신경절단
혈관수축 일어나지 않도록 교감신경 절단
발간호
– 당뇨환자 발간호와 유사
(1) 발 청결 : 물 온도는 손으로 확인
(2) 시진, 윤활유 도포
(3) 발톱 관리 : 일직선으로 자름
(4) 편하고 신축성 있는 신발
(5) 안전주의, 발의 보온
(6) 활동유지
① 개방성 궤양 있으면 제한
② 통증 있으면 쉬었다가 활동
(7) 전기장판 사용하지 않기 : 온도 감각이 떨어져 있어 화상 위험이 있으므로
양상 | 당뇨성 궤양 | 동맥성 궤양 | 정맥성 궤양 |
병력 | 당뇨병 말초신경증 파행증의 병력이 없음 (운동시 통증X) | 파행증의 병력이 있음 (1-2block 걸은후) 보통 안정시 통증도 나타남 궤양 부위에 통증이 있음 2-3개의 위험인자 있음 | 만성적으로 치유되지 않은 궤양 간헐성 파행증이나 안정시 통증없음 궤양으로 인한 불편감 있음 다리에 부종 있음 |
원인 | 동맥질환과 말초신경증이 겸함 인식하지 못한 반복적인 외상 | 폐색성동맥질환 죽종색전증으로 허혈상태 초래 | 삼첨판부전, 심부정맥혈전증의 병력이 있음 정맥고혈압 |
궤양부위와양상 | 발바닥 부위 metatarsal heads 발에 압박을 받는 부위에 궤양이 깊으며 창백하고 주위가 너덜거리지 않음 육아조직 거의 없음 | 발가락 끝이나 발가락 사이 궤양이 깊으며 창백하고 주위가 매끈하지 않고 육아조직이 거의 없음 | 발목과 복사뼈에 표재성 궤양이 있고, 주위가 매끈하지 않고 너덜거림 육아조직이 있음 |
증상과징후 | 감각결함으로 통증이 있음 | 통증이 간헐성이거나 안정시 통증이 있음 맥박이 감소하거나 없음 발이 차고 냉기가 있음 피부가 위축 털이 없고 상부는 창백하고 밑부위는 발적이 있음 급성신경손상이 오면 괴사가 올 수 있음 | 보통 통증은 없음 맥박은 있음 복사뼈 부위가 색깔이 변하고 부종이 있음 다리를 내리면 정맥이 충만함 신경결함은 없음 이전에 앓은 궤양의 반흔이 있음 |
치료 | 당뇨병 조절 주요 동맥 질환 확인 대상자교육 감염예방 | 원인이되는질환치료(재혈관화수술),외상과감염예방,대상자교육및발간호강조 | 장기간 궤양부위 치료(Unna’sboots,wet-to-drydressing) 하지를높힘 대상자교육 및 감염 예방 |
- 식도정맥류 출혈 (Esophageal Varices) 병태생리 증상 간호중재
- 문맥 고혈압 (Portal Hypertension) 정의 증상 진단 중재
- 간경화 (Liver Cirrhosis; LC) 정의 원인 유형 증상 치료 및 간호중재
- (성인간호학) 혈관계 (정맥) 건강문제와 간호 03
- (성인간호학) 혈관계 (정맥) 건강문제와 간호 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