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건너뛰기

(성인간호학) 혈액계 건강문제와 간호 02

(성인간호학) 혈액계 건강문제와 간호 02

적혈구 장애

빈혈(Anemia)

– 적혈구 수, 혈색소(Hb) 수준, 적혈구 용적비(Hct)가 정상보다 낮은 상태

– 조직에 산소를 공급해 주는 혈색소의 부족으로 증상 유발

1) 분류

(1) 적혈구 생산 장애

(2) 혈액 손실

(3) 적혈구 생존 기간의 장애(적혈구 파괴 증가)

2) 임상 증상

(1) 경한 빈혈(Hb: 10∼14g/dl)

  • 증상이 없을 수 있음
  • 운동이나 활동 후 심계항진, 호흡곤란, 심한 발한

(2) 중등도 빈혈(Hb: 6∼10g/dl)

  • 운동 후 호흡곤란, 심계항진, 심한 발한, 만성적 피로

(3) 심한 빈혈(Hb: 6g/dl 이하)

  • 신체의 모든 장기의 빈혈, 심장 합병증
3) 재생불량성 빈혈(Aplastic Anemia, AA) = 골수 손상과 연관된 빈혈(bone marrow failure)

(1) 정의

① 골수에 적혈구 전구체가 부족하여 생기는 빈혈 : 골수의 손상이나 감염, 종양 때문

② 골수의 조혈 조직이 감소되어 전 혈구 감소증(pancytopenia) 발생

(2) 원인

① 다양한 원인과 발병 기전에 의한 조혈 모세포의 손상이나 발현 이상

② 40∼70%에서는 명확한 원인을 찾을 수 없음

③ 약품(항암제), 화학물질(벤젠, 벤젠 유도체, DDT), 바이러스 및 세균 감염 예상

(3) 증상

– 전 혈구 감소증(pancytopenia)에 의한 증상

① 출혈 증상(자반증) – 초기 증상(쉽게 멍이 듦, 코피, 점상 출혈, 잇몸 출혈 등)

② 빈혈 : 쇠약감, 피로, 운동 시 호흡곤란, 창백한 안색 등

③ 감염 증상(발열, 염증 소견) – 초기에는 드묾

(4) 진단

①전 혈구 감소증(pancytopenia)의 소견: 망상 적혈구 수 감소

②골수 검사(bone marrow)에서의 저 세포 충실도(hypocellularity) 검사

(5) 치료 및 간호 중재 : 원인 물질 확인 · 제거, 지지적 간호

① 조혈 모세포 이식: 45세 이전의 수혈을 받지 않은 젊은 환자에게 효과가 좋음

② 골수 기능을 위축시키는 약품 및 물질 사용 중단

③ 면역 억제법 – 면역 억제제를 투여 골수 기능의 회복을 목적으로 함

④ 보존적 치료만으로 장기 생존이 가능

  • 적혈구 수혈 + 과도한 체내 철 제거
  • 출혈, 감염 예방
  • 범혈구 감소증에 대한 증상 감소
  • 고비타민, 고단백질 식이 섭취 격려
4) 철결핍성 빈혈(Iron Deficiency Anemia, IDA) = 적혈구 생성의 저하(hypoproliferative anemia)

– 체내 저장철이 정상 적혈구 생성에 필요한 양보다 감소하게 되어 발생

– 적혈구 생성에 장애가 오려면 그 이전에 저장철의 결핍이 우선되어야 함

(1) 원인

① 영양 부족 : 섭취 부족, 흡수 장애(위 절제술 등), 만성 감염 질환자 등, 채식주의자

② 철분 요구량 증가 : 유아, 사춘기, 임신 중인 여성

③ 혈액 손실 : 만성적인 위장관 내 출혈, 월경 과다 등

(2) 증상

① 창백함, 설염, 입술의 염증

② 어지럼증, 허약, 권태

③ 숟가락 모양 손톱, 이식증(음식이 아닌 것을 먹고자 하는 충동)

④ Plummer-Vinson 증후군의 3대 증상: 연하 곤란, 구내염, 위축성 설염

(3) 진단

– 혈청 ferritin 감소

– 12g/dL 이하, 말초 혈액 소견으로 MCV 감소

(4) 치료 및 간호 중재

① 원인 규명하고 교정

② 철분 투여

  • 음식이 철 흡수를 방해할 수 있으므로 공복 시 투여 원칙! 단, 위장 자극 증상으로 계속 복용을 못 하는 경우, 식후 즉시 복용
  • 액체 제제의 경우 희석시켜 빨대로 복용(치아 변색 예방)
  • 비타민 C 섭취: 철분 흡수 도움(위장이 산성일 때 흡수율 빠름)
  • 고섬유 식이 섭취 : 변비 예방
  • 변의 색깔이 짙어짐을 설명
  • 제산제 섭취 : 철분 흡수 방해
  • 부작용 : 속 쓰림, 변비 설사
  • 비경구용
    • 근육 주사 : Z-track 기법 – 주사 후 걷도록 하여 약물 흡수 촉진(마사지 금지)
    • 정맥 주사 : 경구용 철분 제제의 부작용을 견딜 수 없는 환자 출혈이 심한 환자

③ 가임기 여성, 임신 중 철분 섭취

  • 철분 함유 음식 : 붉은 육류, 간, 콩, 계란 노른자, 건포도, 당근 등
5) 거대적아구성 빈혈(megaloblastic anemia) = 무효 조혈 (ineffective erythropoiesis)

(1) DNA 합성에 필요한 엽산과 비타민 B12가 부족하여 DNA 합성이 잘 이루어지지 않음

(2) 비타민 B12나 엽산이 부족한 경우에 나타나는 빈혈

(3) 세포 분열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지만 세포질의 발달은 계속 ⟶ 크기가 큰 RBC

(4) 조혈계의 DNA 합성 장애로 골수 기능 장애 초래 ⟶ pancytopenia 초래

(5) 무효 조혈: 재료는 있으나 제대로 된 적혈구를 만들지 못하는 상황

6) 용혈성 빈혈(Hemolytic anemia)

– 적혈구의 조기 파괴가 특징

(2) 원인

① 내인성 : 겸상세포, G6PD(글루코스-6-인산탈수소효소)의 결핍, 적혈구 막의 기형 등

② 외인성 : 약물, 면역반응 및 자가면역장애, 외상, 감염성 질환, 방사선 노출, 화상, 전신 질환 등

(3) 증상

① 발열

황달 : 적혈구 파괴 시 생성되는 빌리루빈 증가 때문

③ 간, 비장 비대 : 결함 있는 적혈구 파괴 작용

④ 담석증 : 담낭 내에 빌리루빈의 과도 축적

합병증 : 신부전(적혈구 분해 산물의 배설에 대한 신장 부담 증가)

(4) 진단

① 망상 적혈구 증가

② 간접 빌리루빈 농도 증가 : 소변과 대변의 유로빌리노겐의 배설 증가

③ LDH 농도의 상승

(5) 치료 및 간호 중재

① 원인이 되는 질환 치료

② 빈혈 증상 완화 : 산소 투여, 필요시 수혈

③ 신장 기능 유지 : 섭취량/배설량 측정, 수분 전해질 불균형 관리, sodium bicarbonate 투여

비장 절제술 : 자가 면역에 의한 용혈 반응이 스테로이드에 반응하지 않을 때

7) 겸상 적혈구성 빈혈(Sickle cell anemia)

(1) 증상

① 만성적인 빈혈 증상: 점막의 창백, 피로, 운동 내구성 저하

② 황달, 담석증의 위험 증가

③ 통증 : 조직 허혈에 의한 통증, 손과 발 부위의 관절통

④ 다양한 합병증 유발

⑤ 성장 장애

(2) 진단

① 헤모글로빈 전기 영동(Hemoglobin electrophoresis) : 전기 흐름에 대한 반응으로 HbS의 존재와 % 수치 확인

② 말초 혈액 도말(Peripheral blood smear, PBS) : 겸상 세포(초승달 모양의 적혈구)의 존재 확인

(3) 치료 및 간호 중재

① 특별한 치료나 예방법 없으므로 지지적 중재 필요

② 수혈 : 농축 적혈구

③ 감염 예방 : 감염은 재생 불량성 위기 유발

④ 겸상 적혈구 위기(맥관 폐쇄의 위기 초래, 심각한 통증, 적혈구의 겸상화 악화) 예방

8) 후천성 용혈성 빈혈(Acquired hemolytic anemia)

(1) 원인

① 물리적 요인 : 투석, 심폐기를 이용한 체외 순환, 인공심장판막

② 면역 반응 : 항원-항체 반응, 자가면역 반응

③ 감염성 병원체와 독소 : 말라리아 감염, 납 중독, 독사의 독 등

④ 발작성 혈색소 뇨증 (paroxysmal hemoglobinuria)

(2) 증상

  • 황달, 만성피로, 비장 종대 등

(3) 치료 및 간호중재

① 원인 요인제거

② 대증적 치료 : 수혈, corticosteroids, 비장절제술 등

적혈구 증가증(Erythrocytosis)

1) 일차성 다혈구혈증(primary polycythemia) = 진성 적혈구 증가증(Polycythemia Vera, PV)

(1) 정의

– 활성화 신호를 전달하는 단백질의 돌연변이(mulation)로 인해 적혈구 계속 생산

(2) 증상

① 비장 비대(splenomegaly)

② Hb/Hct 증가: 증상 없이 우연히 발견 되는 경우가 가장 흔함

③ 혈액 점성 증가 (hyperviscosity) → 신경성 증상 유발(어지러움, 이명, 두통 등)

④ 혈전증 : 모든 혈관 침범 가능

⑤ 물 원인 가려움증(aquagenic pruritus) : 피부가 물에 닿으면 가려움이 유발됨

⑥ 혈중 요산 증가

(3) 진단

① RBC, Hct 증가, Hb 증가

② Erythropoietin(EPO) 감소 : PV 는 EPO와 무관하게 RBC가 많아지는 질환

(4) 치료 및 간호 중재

① 혈액의 점도 낮춤(적혈구 증가에 따른 혈전증 예방)

  • 정맥절개술 : Hb가 남성 <14g/dL, 여성< 12g/ dL 되도록 혈액을 격일로 제거
  • 철분 제제 제한(굴, 간, 조개, 콩류 등), 저용량 아스피린
  • 수분 섭취 증가, 활동 권장
  • 혈전증이 일어날 수 있는 위험 요인 제거 : 금연, 고혈압 관리, 고지혈증 관리, 체중관리 등

② 대증 요법

  • 약물요법
  • 통풍 : allopurinol
  • 비장비대 증상 완화용

(5) 합병증

① 치료하지 않을 경우 : 평균수명 1.5년 정도

② 혈전, 색전, 출혈

③ 급성 백혈병으로 전환 : 대략 10%

2) 이차성 다혈구혈증(Secondary polycythemia)

(1) 정의

– Erythropoietin(EPO)의 농도 상승 때문에 적혈구 생산 증가

(2) 원인

① 저산소 등의 상황에서 생리적으로 EPO(erythropoietin) 증가 : 폐질환, 높은 고도

② 질병에 의한 EPO 증가 : 신장질환, 종양 등

③ EPO는 정상이나 상대적으로 농도가 상승 : 탈수, 화상, 설사, 구토

(3) 증상 및 진단

① 백혈구, 혈소판 증가 없이 적혈구만 증가

② 비장 비대 없음

(4) 치료 및 간호

– 원인 요인 제거, 산소 결핍증 관리, 정맥 절개술

백혈구 장애

백혈병(Leukemia)

– 골수, 비장, 림프계 조직의 악성 종양으로 미분화된 백혈구의 과잉 증식

– 미성숙 백혈구의 축적과 비정상적인 증식, 신체 장기와 조직 뿐만 아니라 골수, 말초혈액까지 전구물질이 침범하는 것이 특징임

– AML > ALL > CML > CLL

호중구 감소증(Neutropenia)

– 과립구의 수가 급격히 감소되는 것

1) 원인

(1) 약물 : 항암제, 항생제, 항우울제

(2) 혈액질환 : 특발성 및 주기성 호중구 감소증, 재생불량성 빈혈, 백혈병

(3) 자가면역장애 : SLE, 류마티스성 관절염

(4) 감염 등

2) 증상

(1) 감염 취약 : 미열, 권태감, 작열감, 빈뇨, 두통, 식욕부진, 구강 및 인후 점막의 궤양, 질소양감, 호흡곤란, 기침

(2) 화농 반응은 드묾

3) 진단

(1) 백혈구 감소증 (4,000/㎕ 이하), 호중구 감소(500∼1,000/㎕ 이하)

(2) 골수 검사 : 과립구 감소, 골수성 원시 세포 수 증가

4) 치료

(1) 호중구 감소를 초래하는 원인 규명

(2) 감염시 원인균 확인

(3) 예방 및 치료적 항생제 투여

(4) 조혈 성장인자 투여

(5) 보호적 격리술

5) 간호중재

① 감염의 징후 관찰 : 발열, 호중구 수 확인, 활력징후 관찰, 오한, 계속되는 기침, 흉통, 구강 통증

② 가능한 침습적 처치 제한, 침습적 치료 및 처치 시 무균술 적용

③ 철저한 손씻기 : 환자, 방문자

④ 개인 위생 교육

⑤ 고단백, 고비타민, 고탄수화물 식이, 날음식, 생과일, 생야채 등은 제한

⑥ 충분한 휴식과 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