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 기관지염 (Bronchitis in Children)
1. 정의
- 기관지염은 기관지 점막에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주로 상기도 감염 이후 하부기도로 염증이 확산되며 발생한다.
- 급성 기관지염은 소아에서 흔히 나타나며 대부분 바이러스 감염이 원인이다.
2. 해부학
- 기관지: 기관에서 분지되어 폐로 연결되는 통로로, 공기를 폐포까지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 소아는 기관지가 상대적으로 좁고 짧아 염증·분비물로 쉽게 막히며 호흡곤란으로 진행하기 쉽다.
- 점액선과 섬모 기능이 미성숙하여 분비물 배출이 비효율적이다.
3. 원인
- 바이러스: RSV(Respiratory syncytial virus), 인플루엔자, 파라인플루엔자, 아데노바이러스 등
- 세균 감염: 드물지만 마이코플라즈마, 보르데텔라(백일해균)
- 흡연, 대기 오염, 알레르기 등 환경적 요인도 악화인자
4. 증상
- 기침(처음에는 건성, 이후 점차 가래 동반 습성 기침)
- 천명(wheezing), 호흡곤란, 빈호흡
- 발열, 피로, 식욕부진
- 흉부 불편감, 가슴 통증
- 소아는 청색증이나 구토(가래 삼킴으로 인한) 동반 가능
5. 진단적 검사
- 병력 청취 및 신체검사: 기침 양상, 호흡음(천명, 수포음) 확인
- 흉부 X선: 폐과다팽창, 기관지 주위 음영 확인
- 혈액 검사: 백혈구 수치, CRP(세균성 감염 여부)
- 바이러스 배양/항원 검사: RSV, 인플루엔자 확인
- 필요시 산소포화도 측정
6. 치료 및 간호중재
치료
- 대증요법 중심 (바이러스성인 경우가 대부분)
- 수분 섭취 및 휴식
- 해열제(발열 시)
- 진해제, 거담제는 제한적으로 사용
- 세균성 의심 시 항생제 투여
- 호흡곤란 심한 경우: 산소 공급, 기관지 확장제(네뷸라이저 흡입)
간호중재
- 호흡 관리
- 활력징후와 호흡음 정기적 사정
- 산소포화도 모니터링
- 흡입치료(가습, 분무흡입)
- 체위변경, 흉부 물리요법으로 분비물 배출 촉진
- 수분 및 영양 관리
- 충분한 수분 공급 → 가래 점도 낮춤
- 고열 시 수분 손실 예방
- 소량씩 자주 영양 공급
- 안위 제공
- 안정 환경 유지(호흡 곤란 시 울거나 흥분하지 않도록)
- 침상 두부 상승
- 교육
- 부모에게 기침, 호흡 곤란, 청색증 등의 악화 증상 교육
- 집에서 가습기 사용 권장
- 손 위생, 흡연 노출 차단
Post Views: 95
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