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 요도염 (Urethritis in Children)
1. 정의
- 요도염은 요도 점막에 염증이 생긴 상태를 말하며, 소아에서는 성인과 달리 성관계보다는 세균 감염, 위생 불량, 해부학적 특성 등으로 발생한다.
- 소아의 요도는 짧고 방광과 가까워 세균 침입이 쉽기 때문에 요로감염(UTI)과 함께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2. 해부학
- 요도(urethra): 방광에서 체외로 소변을 배출하는 통로.
- 여아는 요도가 짧고 항문과 가까워 세균이 쉽게 침입 → 요도염 · 방광염 흔함.
- 남아는 비교적 드물지만, 포경, 기구 사용, 요석 등 원인으로 발생 가능.
3. 원인
- 세균 감염: 대장균(E. coli), 클렙시엘라, 프로테우스 등 장내 세균
- 바이러스/기타: 아데노바이러스, 칸디다
- 위생 불량(특히 여아), 기저귀 사용, 장시간 소변 참기
- 기구 삽입(도뇨관), 요로결석, 해부학적 기형
- 드물게 청소년기 이후 성매개 감염균(임균, 클라미디아 등)
4. 증상
- 배뇨 시 작열감(소변 볼 때 따가움, 통증)
- 빈뇨, 절박뇨
- 탁한 소변, 혈뇨 가능
- 외음부 발적, 분비물(특히 남아 요도구)
- 영유아는 특이 증상 없이 발열, 보챔, 식욕부진만 보이기도 함
5. 진단적 검사
- 소변 검사(UA): 농뇨, 혈뇨, 세균 확인
- 소변 배양 검사: 원인균 규명
- 요도 분비물 검사: 세균, 바이러스, 진균 확인
- 반복 감염 시 신장 · 방광 초음파로 해부학적 이상 확인
6. 치료 및 간호중재
치료
- 원인균에 따른 항생제 또는 항진균제 투여
- 통증 조절: 필요 시 진통제
- 수분 섭취 증가 → 소변 배출로 세균 제거 도움
간호중재
- 배뇨 관리
- 소변 참지 않도록 지도, 규칙적인 배뇨 습관 형성
- 충분한 수분 섭취(체중·나이에 맞게)
- 위생 관리
- 기저귀 자주 교환, 외음부 청결 유지
- 여아는 앞→뒤 방향으로 닦기 교육
- 치료 순응도
- 항생제 복용 지시대로 끝까지 복용하도록 부모 지도
- 약물 부작용, 증상 악화 여부 관찰
- 합병증 예방
- 방광염, 신우신염 등 상행성 요로감염으로 진행 여부 확인
- 반복적 재발 시 기저 질환(해부학적 기형, 신장 질환) 평가 필요
- 교육
- 배뇨 시 통증 호소, 발열, 소변 냄새 심하면 즉시 병원 내원
- 충분한 수분 섭취, 균형 잡힌 영양 섭취 강조
Post Views: 83
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