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생아 신체사정

피부계

정상 소견

태지(Vernix caseosa) : 흰색 크림状 물질, 주로 미숙아에서 많음 → 피부 보호·보습 역할.

태모(Lanugo) : 미세한 솜털, 미숙아일수록 많고 만삭아는 거의 없음.

피부 색

  • 분홍빛(pink) → 정상
  • 청색증(cyanosis) : 사지에서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경우 정상(말초 청색증, acrocyanosis).

일과성 홍반(Erythema toxicum) : 생후 2~3일 무렵, 붉은 반점·구진, 며칠 내 소실 → 정상.

미립종(Milia) : 얼굴·코 주위에 하얀 좁쌀 모양, 자연 소실.

몽고반점(Mongolian spot) : 주로 천골 부위의 청색 반점, 자연 소실됨.

딸기혈관종(hemangioma), 연어반(salmon patch) : 일시적 혈관 증식·확장.

머리와 목

머리(Head) 사정

  • 머리 둘레 : 32~37cm, 흉위보다 약간 큼.
  • 머리 모양 : 질식 분만 시 일시적 변형 가능.
    • 산류(caput succedaneum) : 분만 압력으로 두피가 부어오름 → 2~3일 내 자연 소실.
    • 두혈종(cephalhematoma) : 출혈로 인해 한쪽에 국한된 부종 → 수주 내 흡수.
  • 대천문(Anterior fontanel) : 다이아몬드 모양, 약 2.5~4cm, 18개월경 폐쇄.
  • 소천문(Posterior fontanel) : 삼각형, 0.5~1cm, 생후 6~8주 내 폐쇄.
  • 천문 상태
    • 팽윤(bulging) → 뇌압 상승 의심.
    • 함몰(sunken) → 탈수 의심.

목(Neck) 사정

  • 짧고 굵으며, 근육 약함.
  • 자유로운 움직임 제한적.
  • 피부주름 관찰 → webbed neck(목 짧고 주름 많음)은 선천성 질환(Turner syndrome 등) 의심.
  • 종괴 여부 확인 (예: 흉쇄유돌근 혈종 → 사경).
  • 기도 사정 : 호흡 시 견인 여부, 기도 폐쇄 징후 확인.

몸통과 사지

체형 : 신생아는 상대적으로 큰 머리와 짧은 사지, 원통형 몸통을 가짐.

흉부 : 대칭적 팽창, 늑간 함몰 여부, 유방비대(일시적) 여부 확인.

복부 : 팽창이 심하지 않고 부드러우며, 제대(탯줄) 상태와 탈장 여부 확인.

사지 : 굴곡 자세(flexed position) 유지, 대칭적 움직임 여부, 사지 길이·손가락·발가락 이상 확인.

관절/근육 : 고관절 탈구(Ortolani, Barlow 검사), 근긴장도(tone) 평가.

신경계 반사

(원시반사, primitive reflex)

정상 신생아에서 관찰되는 반사로, 신경학적 성숙도와 뇌손상 여부를 평가할 수 있음.

  • Moro 반사 : 큰 소리나 갑작스러운 움직임 → 양팔을 벌리고 움켜쥐며 울음. (생후 4~6개월 소실)
  • 흡철 반사(Sucking reflex) : 입에 젖꼭지나 손가락 닿으면 빠는 움직임. (약 6개월 소실)
  • 포옹·파악 반사(Grasp reflex) : 손바닥/발바닥 자극 시 손가락·발가락 굽혀 움켜쥠. (손: 3~4개월, 발: 8~12개월 소실)
  • Rooting reflex : 볼을 자극하면 입을 그쪽으로 돌리고 빠는 행동. (4개월 소실)
  • Babinski 반사 : 발바닥 긁으면 엄지 발가락이 젖혀지고 나머지는 벌어짐. (12~18개월까지 정상)
  • Tonic neck reflex (Fencer’s reflex) : 머리를 한쪽으로 돌리면, 같은 방향 팔·다리 펴지고 반대쪽은 굽힘. (4~6개월 소실)
  • Stepping reflex : 신생아를 똑바로 세워 발이 닿게 하면 걷는 듯한 움직임. (2개월 소실)

재태연령측정

New Ballard Score 개요

총점 해석 : 합산 점수를 통해 22주 ~ 44주 재태연령 추정

목적 : 신체적 성숙도와 신경학적 성숙도를 종합하여 출생 시 재태연령 추정

평가 시기 : 출생 후 12~24시간 이내

평가 항목 : 총 12개 (신체 6개 + 신경 6개)

점수 범위 : -1점 ~ 5점 (각 항목별)

신체적 성숙도 (Physical Maturity, 6항목)

  1. 피부 (Skin) : 얇고 끈적/투명 → 점점 불투명, 주름 증가
  2. 솜털 (Lanugo) : 없음 → 증가 → 다시 감소
  3. 발바닥 주름 (Plantar creases) : 없음 → 발 앞부분 → 전체 발바닥
  4. 유방 조직 (Breast tissue) : 없음/미약 → 직경 커지고 촉진 가능
  5. 눈/귀 (Eye/ear formation & cartilage) : 눈꺼풀 붙음 → 귀 얇고 반발 없음 → 귀 연골 단단
  6. 외생식기 (Genitals)
    • 남아 : 고환 위치, 음낭 주름
    • 여아 : 소음순/대음순 발달

신경학적 성숙도 (Neuromuscular Maturity, 6항목)

  1. 자세 (Posture) : 미숙아는 팔다리 늘어짐, 만삭아는 굴곡 강함
  2. Square window (손목 굴곡각) : 작을수록 성숙
  3. Arm recoil (팔 반동) : 신전 후 굴곡 반동 강도
  4. Popliteal angle (슬와각) : 작을수록 성숙
  5. Scarf sign (견인반응) : 팔을 가슴 가로로 넘길 때 저항 정도
  6. Heel-to-ear (발뒤꿈치-귀 검사) : 발이 귀에 가까울수록 미숙

배설

소변(urine) 배설

  • 첫 소변 : 출생 후 24시간 이내에 배설해야 정상.
    → 지연되면 비뇨기계 기형(예: 무신우, 요로폐쇄) 가능성 확인 필요.
  • 횟수 : 생후 첫날은 1~2회, 이후 점차 증가하여 4~6일 이후에는 하루 6~8회 이상 배설.
  • 특징 : 옅은 노란색, 무취.
  • 주의 관찰 : 혈뇨(uric acid crystal로 붉게 보일 수 있음, 정상적으로는 며칠 내 소실), 배뇨 곤란, 무뇨 여부.

대변(stool) 배설

  • 태변(meconium)
    • 출생 후 24~48시간 이내에 배출.
    • 암녹색~흑록색, 끈적끈적.
    • 지연 시 장폐쇄, 선천성 거대결장(Hirschsprung disease) 의심.
  • 이행변(transitional stool)
    • 생후 2~4일 무렵
    • 녹갈색 → 점차 황갈색으로 변함.
  • 모유변(breast milk stool)
    • 황금색, 묽고 알갱이 있음, 하루 2~10회.
  • 분유변(formula stool)
    • 황갈색~갈색, 더 단단하고 냄새가 강함, 횟수 적음(하루 1~2회).
yongyong

Recent Posts

선미 댄서로 유명한 솔로지옥 배우 차현승 근황 (백혈병 투병)

선미 댄서로 유명한 솔로지옥 배우 차현승 근황 (백혈병 투병) 안녕하세요. 차현승입니다. 지난 6월 초, 응급실로…

9시간 ago

젊은 의사들이 소아과를 포기한 이유

젊은 의사들이 소아과를 포기한 이유 [그것을 알려드림] 이 나라의 젊은 의사들은  어쩌다 소아과를 포기하게 되었나?…

11시간 ago

이대목동병원 신생아 집단 사망 사건

이대목동병원 신생아 집단 사망 사건 뉴스 영상 https://youtu.be/o_FMsuBgwqQ https://youtu.be/06mWp56uGZQ https://youtu.be/zh8KGoY48ko 내용 이화여자대학교 목동병원에서 신생아 4명이…

11시간 ago

신생아 황달 (Neonatal Jaundice)

신생아 황달 (Neonatal Jaundice) 1. 정의 혈중 총 빌리루빈 수치가 증가하여 피부, 공막이 노랗게 보이는…

6일 ago

신생아 정상반사 (Neonatal Primitive Reflexes)

신생아 정상반사 (Neonatal Primitive Reflexes) 1. 정의 출생 직후 신생아의 중추신경계 발달 정도를 평가할 수…

6일 ago

남자 간호사의 현실

남자 간호사의 현실

6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