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생아 황달 (Neonatal Jaundice)
1. 정의
- 혈중 총 빌리루빈 수치가 증가하여 피부, 공막이 노랗게 보이는 상태.
- 대부분 생리적이지만, 병적 원인일 경우 치료가 필요함.

2. 원인
(1) 생리적 황달
- 신생아 간의 빌리루빈 대사 미성숙으로 발생.
- 출생 2~3일경 시작 → 4~5일에 최고치 → 1~2주 내 자연 소실.
(2) 병적 황달
- 생후 24시간 이내 발생, 총 빌리루빈 수치가 12mg/dL 이상 또는 하루 5mg/dL 이상 상승 시 의심.
- 원인:
- 용혈성 질환 (ABO, Rh 부적합)
- 패혈증
- 미숙아 (간 기능 미성숙 심함)
- 간·담도 질환 (예: 담도폐쇄증)
3. 증상
- 피부와 공막의 황색 변색
- 무기력, 수유 불량
- 고빌리루빈혈증이 심할 경우 핵황달(kernicterus) → 뇌신경 손상, 발달 지연, 경직, 청력 손실 등 발생 가능
4. 진단적 검사
- 혈중 총 빌리루빈 검사
- 직접·간접 빌리루빈 측정
- 혈액형 검사 (ABO, Rh 부적합 확인)
- 혈액배양 (패혈증 감별)
- 간·담도 초음파 (기질적 이상 확인)
5. 치료 및 간호중재
(1) 치료
- 광선치료 (phototherapy)
- 가장 흔한 치료. 빛을 이용해 빌리루빈을 수용성으로 전환하여 배설 촉진.
- 교환수혈 (exchange transfusion)
- 약물치료: IVIG, 페노바르비탈 등 (특정 상황에서 사용).
(2) 간호중재
- 광선치료 시:
- 안구 보호 (아이 패드 착용)
- 체온, 수분 상태 모니터링 (광선치료로 탈수 위험 ↑)
- 2~3시간마다 체위 변경하여 피부 고르게 노출
- 수유 증진: 잦은 모유수유로 장운동 촉진 → 빌리루빈 배설 도움
- 빌리루빈 수치 정기적 모니터링
- 부모 교육: 황달이 심해지거나 아이가 무기력, 수유 불량 시 즉시 의료진 알리기
Post Views: 44
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