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건너뛰기

신장투석 환자들에게 사용되는 바늘 크기

신장투석 환자들에게 사용되는 바늘 크기

내용

혈액투석 환자에게 사용되는 바늘은 14게이지 바늘로 현대의학에서 사용되는 바늘 중에서 가장 굵은 바늘이다.

추가로 혈액투석 환자는 정맥과 동맥을 연결하는 동정맥루 수술을 받게 되는데, 혈액투석을 위해 굵은 주사바늘을 여러번 찌르게 되면 기존의 동맥과 정맥이 좁아지는 문제점을 보안하기 위하여 기존의 동맥과 정맥을 이어 붙히는 인공혈관을 삽입하는 동정맥루 수술을 받게 된다.

신장장애인 등록

참고: 신장투석 환자는 만성 신부전 5기에 해당되는 말기 신부전으로 3개월 이상 투석을 받게되면 장애인으로 분류되어 장애등록이 가능하다.

장애의 범주

– 지체장애, 시각장애, 청각장애, 언어장애, 정신지체

+ 호흡기, 간, 안면, 장루 및 요루, 뇌전증 → 2011년 추가

장애유형별 장애진단 전문기관 및 전문의

장애유형장애진단기관 및 전문의 등
지체장애1. 절단장애 : X-선 촬영시설이 있는 의료기관의 의사
2. 기타 지체장애 : X-선 촬영시설 등 검사장비가 있는 의료기관의 재활의학과・정형외과・신경외과・신경과・소아청소년과(신경분과) 또는 내과(류마티스분과) 전문의, 마취통증의학과(CRPS상병인 경우) 전문의
뇌병변장애의료기관의 재활의학과・신경외과・신경과・소아청소년과(신경분과)전문의
시각장애시력 또는 시야결손정도, 겹보임(복시) 정도의 측정이 가능한 의료기관의 안과 전문의
청각장애방음부스가 있는 청력검사실, 청력검사장비가 있는 의료기관의 이비인후과 전문의
언어장애1. 의료기관의 재활의학과 전문의 또는 언어재활사가 배치되어 있는 의료기관의 이비인후과・정신건강의학과・신경과・소아청소년과(신경분과) 전문의다만, 음성장애는 언어 재활사가 없는 의료기관의 이비인후과 전문의 포함
2. 의료기관의 치과(구강악안면외과) · 치과 전속지도 전문의(구강악안면외과)
지적장애의료기관의 정신건강의학과・신경과・재활의학과・소아청소년과(신경분과) 전문의
정신장애1. 장애진단 직전 1년 이상 지속적으로 진료한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지속적으로 진료를 받았다 함은 3개월 이상 약물치료가 중단되지 않았음을 의미
2. 1호에 해당하는 전문의가 없는 경우 장애진단 직전 3개월 이상 지속적으로 진료한 의료기관의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가 진단할 수 있으나, 장애진단 직전 1년 또는 2년 이상의 지속적인 정신건강의학과 진료기록 등을 확인하여야 한다.
자폐성 장애의료기관의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신장장애1. 투석에 대한 장애판정은 장애인 등록 직전 3개월 이상 투석치료를 하고 있는 의료기관의 의사
2. 1호에 해당하는 의사가 없을 경우 장애진단 직전 1개월 이상 지속적으로 투석 치료를 하고 있는 의료기관의 의사가 진단할 수 있으나 3개월 이상의 투석 기록을 확인하여야 한다.
3. 신장이식의 장애판정은 신장이식을 시술하였거나 이식환자를 진료하는 의료기관의 외과 또는 내과전문의
심장장애1. 장애진단 직전 1년 이상 진료한 의료기관의 내과(순환기분과 · 소아청소년과 또는 흉부외과 전문의
2. 1호에 해당하는 전문의가 없는 경우 의료기관의 내과(순환기분과)・소아청소년과 또는 흉부외과 전문의가 진단할 수 있으나 장애진단 직전 1년 이상 내과(순환기분과)・소아청소년과 또는 흉부외과의 지속적인 진료기록 등을 확인하고 장애진단을 하여야 한다.
호흡기장애장애진단 직전 2개월 이상 진료한 의료기관의 내과(호흡기분과, 알레르기분과) · 흉부외과 · 소아청소년과 · 결핵과 또는 직업환경의학과 전문의
간장애장애진단 직전 2개월 이상 진료한 의료기관의 내과(소화기분과) · 외과 또는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안면장애의료기관의 성형외과 · 피부과 또는 외과(화상의 경우) 전문의의료기관의 치과(구강악안면외과) · 치과 전속지도 전문의(구강악안면외과)
장루 · 요루장애의료기관의 외과 · 산부인과 · 비뇨기과 또는 내과 전문의
뇌전증장애장애진단 직전 6개월 이상 진료한 의료기관의 신경과・신경외과・정신건강의학과・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장애유형별 장애진단 시기

장애유형장애진단 시기
지체 · 시각 · 청각 · 언어 · 지적 · 안면장애장애의 원인 질환 등에 관하여 충분히 치료하여 장애가 고착되었을 때 진단하며, 그 기준 시기는 원인 질환 또는 부상 등의 발생 후 또는 수술 후 규정기간(6개월 또는 2년) 이상 지속적으로 치료한 후로 한다(지체절단, 척추고정술, 안구적출, 청력기관의 결손, 후두전적출술, 선천적 지적장애 등 장애상태의 고착이 명백한 경우는 예외로 한다).
뇌병변 장애1. 뇌성마비, 뇌졸중, 뇌손상 등과 기타 뇌병변(파킨슨병 제외)이 있는 경우는 발병 또는 외상 후 6개월 이상 지속적으로 치료한 후에 장애진단2. 파킨슨병은 1년 이상의 성실하고 지속적인 치료 후에 장애진단
정신 장애규정기간(1년 또는 2년) 이상의 성실하고, 지속적인 치료 후에 호전의 기미가 거의 없을 정도로 장애가 고착된 시점
자폐성 장애전반성발달장애(자폐증)가 확실해진 시점(최소 만2세 이상)
신장 장애혈액투석 또는 복막투석치료를 3개월 이상 지속적으로 받고 있는 사람 또는 신장을 이식받은 사람에 대하여 장애진단
심장 장애1년 이상의 성실하고, 지속적인 치료 후에 호전의 기미가 거의 없을 정도로 장애가 고착되었거나 심장을 이식받은 사람에 대하여 장애진단
호흡기 · 간 장애현재의 상태와 관련한 최초 진단 이후 1년 이상이 경과하고, 최근 2개월 이상의 지속적인 치료 후에 호전의 기미가 거의 없을 정도로 장애가 고착되었거나 폐 또는 간을 이식받은 사람에 대하여 장애진단
장루 · 요루 장애복원수술이 불가능한 장루(복회음절제술후 에스결장루, 전대장절제술후 시행한 말단형 회장루 등),요루(요관피부루, 회장도관 등)의 경우에는 장루(요루)조성술 이후 진단이 가능하며, 그 외 복원수술이 가능한 장루(요루)의 경우에는 장루(요루) 조성술 후 1년이 지난 시점에 진단
뇌전증 장애1. 성인의 경우 현재의 상태와 관련하여 최초 진단 이후 2년 이상의 지속적이고 적극적인 치료를 받음에도 불구하고 호전의 기미가 거의 없을 정도로 장애가 고착된 시점에 진단
2. 소아청소년의 경우 뇌전증 증상에 따라 최초 진단 이후 규정기간(1년 내지 2년) 이상의 지속적인 치료를 받음에도 불구하고 호전의 기미가 거의 없을 정도로 장애가 고착된 시점에 진단

장애인 등록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주소지 관할 읍 · 면 · 동 주민센터 장애인복지 담당자, 관할 국민연금공단 지사 또는 보건복지부 콜센터(☏국번없이 129)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반응 댓글

신장은 나빠지면 낫질 않음… 인간에게 필수인 단백질을 거르지 못하고. 피가 소변에 섞이기 시작하면 매년하는 그 소변검사 키트 색이 달라지기 시작하는데ㅠㅠ 그러면 나아지게 하는 방법이 없음… 무조건 식이조절과 병원추적검사를 통해 최대한 늦게 나빠지길 바라며 살아야함

엄마 작년 코로나 걸려서 신장, 폐 완전 망가져서 죽음직전에 살아나셔서 현재 투석 중인데 옆에서 보고 있자면 보호자도 힘들다.. 직접 경험 못하면 별거 아니라고 생각하겠지만 보호자로써 말하는데 내가 투석하면 그냥 죽고만다 잘 관리 하자

참고로 신장은 소모품임
사구체 여과율은 나이가들수록 감소함
말그대로 몸에 혈액 불순물 필터가 있는데
이게 교체없이 뒤질때까지써야하는거 ㅋㅋ
과 단백질, 과 나트륨,칼륨, 술과같이 신장에 부담주는건 지양해야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