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건너뛰기

(아동청소년간호학) 신생아기 01

(아동청소년간호학) 신생아기 01

자궁외 생활로의 변화

혈액순환

태반의 순환태반, 제대정맥, 제대동맥, 정맥관, 난원공, 동맥관이 있는 구조적 차이 때문에 신생아의 순환과 구별됨
태반– 태아에게 산소와 영양을 공급, 이산화탄소와 각종 노폐물을 제거함
제대– 태아와 태반을 연결시켜주며 1개의 정맥과 2개의 동맥으로 구성
동맥혈– 태반으로부터 제대정맥을 통해 태아의 복벽으로 들어감
제대정맥– 두 갈래로 나뉨
– 혈액의 40%는 하대정맥에 들어가기 전 간을 통과하는 문맥순환
– 혈액의 60%는 간을 우회하여 정맥관을 통해 직접 하대정맥으로 들어감.
난원공– 우심방으로 들어간 혈액의 대부분은 난원공을 통해 태아의 좌심방, 좌심실을 거쳐상행 대동맥으로 -> 머리와 상지에 산소가 많은 혈액 우선적으로 공급
– 머리와 상지 순환하면서 산소 일차적으로 공급해준 혈액 다시 상대정맥 통해우심방으로 들어와 우심실을 거쳐 폐동맥으로 나감.
동맥관– 폐동맥으로 송출된 혈액의 90%는 동맥관을 거쳐 하행 대동맥으로 유입, 나머지 소량만이 아직 기능하지 않는 폐로 들어감.
태아– 우심실 박출량 좌심실 박출량보다 약 50%가 많아 우심실 압력이 높다.
– 폐 허탈상태 -> 폐혈관 저항 높다.
– 체순환 -> 혈류 대부분 저항이 낮은 태반을 통과, 체혈관 저항 낮다.
– 폐동맥으로 유입된 혈액 -> 동맥관 -> 대동맥,

호흡의 개시

– 제대결찰로 태반과의 연결이 끊어지며, 호흡이 시작되면서 개시

– 호흡의 시작을 돕는 자극은 주로 화학적 자극과 온도 변화

– 신생아 혈액의 화학적 변화(낮은 PaO₂, 높은 PaCO₂, 낮은 pH)는 호흡 중추를 자극

– 호흡이 시작되면서 PaO₂는 점차 높아지고 폐의 세동맥이 확장되면서 폐혈관 저항이 떨어짐에 따라 폐혈류는 증가하게 되고 좌심방으로 돌아오는 혈류가 증가 → 좌심방의 압력을 높이는 원인,난원공 기능상으로 닫힘

난원공은 태생 후 곧 닫히고 영아기 동안 조직 가장자리가 융합된다.

– 폐동맥의 압력이 떨어지면서 동맥관은 수축하고 좁아져서 생후 24시간 이내에닫힘.

정맥관 폐쇄는 약 2주 동안 점차적으로 일어남. -> PaO₂ 떨어지면 닫혔던 동맥관 다시 열리고 폐의 세동맥이 수축, 폐혈관 저항 상승함

Prostaglandin E는 동맥관의 개방을 유지시키는 작용을 함

– 출생후에는 Prostaglandin E가 감소하면서 동맥관 폐쇄가 일어남

– 자궁외 생활로의 변화기간은 출생 후 6~12시간 정도.

태아 순환

신생아 초기 사정 : 아프가 점수

– 신생아의 즉각적인 자궁외 생활 적응을 사정하는 방법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은 아프가 점수(Apgar Score)

– 점수는 피부색, 심박동수, 자극에 대한 반사, 근긴장도, 호흡능력 등의 5가지 항목을 기본으로 함

– 평가는 출생 후 1분, 5분에 시행, 신생아의 상태가 안정될 때까지 반복

– 총점이 0~3점 자궁 외 생활 적응에 심한 어려움, 4~6점 중등도의 어려움, 7~10점 어려움이 없음을 의미

– 아프가 점수는 생리적 미숙, 감염, 선천적 기형, 산모의 마취, 신경근육계의 문제 등에 영향을 받음.

징후012
피부색(Appearance)청색증, 창백몸통 분홍, 사지 청색증완전히 분홍
심박동수(Pulse)없음느림, <100>100
자극에 대한 반사(Grimace)무반응찡그림울음, 재채기
근긴장도(Activity)늘어짐사진의 약간 굴곡완전 굴곡
호흡능력(Respiration)없음불규칙, 느림, 약한 울음크고 강한 울음

생리발달

전반적 외양

머리는 총 신장의 1/4에 해당

– 질식분만 → 주형이 일어나기 때문에 기형으로 보일 수 있음

– 분만시간이 길어지면 → 산류나 두혈종도 나타날 수 있음

산류 : 두피 연조직 종창, 한 부위에 국한되거나 봉합선을 넘어 광범위하게 확대될 수도 있으며, 24시간 내에 나타나 대개 생후 3일 정도면 사라짐

두혈종 : 출생과정에서 이차적 두부외상 또는 혈관파열의 결과로 두개골과 골막 사이에 혈액이 축적된 상태

– 두혈종은 생후 24~48시간 후에 나타나며 봉합선을 넘어 가지않는다.

– 두혈종은 가라앉기까지 2~3주가 걸린다.

– 특징은 수주 혹은 수개월 이내에 정상적인 모습으로 회복될 것이라는 확신을 주고 안심시켜야 한다.

산류
두혈종

전반적 외양

– 홍채의 색을 확인하지 못할 수 있다.

– 복부가 크고, 둥글고 출생 시 푸르스름한 회색으로 젖어 있다.

– 제대는 건조되고 줄어들기 시작하며 점차적으로 검은색으로 변화가 됨

출생 후 6~10일이면 탈락됨

– 제대의 밑부분은 깨끗하고 건조된 상태이어야 함

두개골은 6개의 뼈(전두골, 후두골, 2개의 두정골, 2개의 측두골) 봉합선이라 불리는 결체조직의 밴드가 있음

– 대천문은 봉합선이 접합하는 지점에서 열려 있고 연하고 평평하게 만져짐

소천문은 2~8주,대천문은 12~18개월에 닫힌다.

봉합과 천문

– 눈 :부어 있고 홍채 색 확인이 어려울 수 있다.

– 제대 :첫날부터 건조되고 줄어들며, 출생 후 6~10일 탈락

– 팔과 다리

  • 사지가 몸에 비해 짧음
  • 다리는 굴곡되어 있고 발은 배굴되어 있음

신경계

– Ballard 사정척도는 신생아의 재태기간을 결정하는 데 가장 흔히 사용되는 방법, 6개의 항목의 신경근육계 증상과 6개 항목의 신체성숙 증상을 사정

– 사정 범위는 22~44주

– 정확도는 실제 연령의 ±2주 이내

– 신뢰도가 가장 높은 시기는 신생아가 충분이 안정되고 적응되는 생후 12시간 이내

– 재태기간에 비해 큰 신생아(large for gestational age, LGA) – 90분위수 이상으로 태어난 신생아는 LGA로 분류됨

– 재태기간에 적정한 신생아(appropriate gestational age, AGA) – AGA 신생아는 10백분위수와 90백분위수 사이에 있는 신생아

– 재태기간에 비해 작은 신생아(small for gestational age, SGA) – SGA는 10백분위수 이하에 속하는 신생아

– 신생아는 거의 모든 시간 수면 상태, 잠깐씩 깨어 있는 시간은 신생아와 돌보는 사람과의 상호작용이 가능한 시간

– 신생아는 울기, 얼굴 찡그리기 등 표정을 다양하게 바꾸면서 환경과 자극에 반응.

신생아 반사

반사자극반응소실비정상일 경우
눈깜빡(Bl inking) 또는 각막(Corneal) 반사갑작스레 밝은 빛을 비추거나 각막을 향해 사물을 가까이 댐눈을 깜빡임평생 계속됨신경학적 손상
인형의 눈(Doll’s eye) 반사머리를 좌우로 천천히 움직임눈은 뒤로 처지고 머리는 새로운 위치에 즉시 주응하지 않음눈 고정이 발달하면 사라짐신경학적 손상
동공(Pupillary) 반사동공을 향해 밝은 빛을 비춤동공을 수축함평생 지속됨신경학적 손상
재채기(Sneeze) 반사비강에 자극을 주거나 방해물을 갖다 댐재채기함평생 지속됨신경학적 손상
기침(Cough) 반사후두 점막이나 기관을 자극함기침함평생 지속됨신경학적 손상
밀어내기(Extrusion) 반사혀를 건드리거나 누름혀를 밖으로 내밈4개월에 사라짐
구역(Gag) 반사음식물, 흡인, 관의 삽입 등으로 후인두를 자극함토함신경학적 손상
첫젖찾기(포유 rooting) 반사입술에 물을 건드리거나 문지름자극이 있는 쪽으로 고개를 돌림약 4개월에 사라짐중추신경계 질환 (선천성 장애)
빨기(Sucking) 반사입술이나 입속에 자극함빨기 시작함7개월에 사라짐조산: barbiturates로 복용한 산모의 정상 반응
또는 무뇌수두증일 때 빨기 능 저하
하품(Yawn) 반사산소량이 감소함하품함평생 지속됨
바빈스키(Babinski) 반사↑ (원시 반사)발바닥을 가로질러 위쪽으로 긁는다발가락은 쫙 펴고 엄지발가락은 배굴된다1년 후 사라짐뇌성마비
손바닥 파악(Grasp) 반사↑ (원시 반사)손바닥을 자극한다물건을 움켜쥔다4개월에 사라짐전두엽 장애
발바닥 파악(Grasp) 반사↑ (원시 반사)엄지손가락을 신생아의 발가락 기저부에 댄다발가락이 아래쪽으로 굴곡된다8개월에 사라짐뇌성마비, 폐쇄성의 중추신경계 장애 (농양, 종양)
포복(Crawl) 반사 (대운동 반사)복부를 대고 눕힌다사지로 기어간다6주에 사라짐신경학적 손상질병
댄스(Dance 또는 Step) 반사↑ (원시 반사)일으킨 채로 발바닥을 딱딱한 면에 닿게 함걷는 것을 흉내내듯 다리의 굴곡과 신장이 번갈아 있다4개월에 사라짐뇌성 마비
모로(Moro) 반사↑ (원시 반사)평형의 감각자극을 부조화나 변화시킨다 (갑작스런 소리 등)사지를 갑작스럽게 펴고, 손가락을 편다 → 다리는 약하게 굴곡되고 머리는 뒤로 움직인다. 곧 이어 사지를 굽힌다3~4개월신경학적 손상
보행(Placing) 반사신생아의 발 아래를 위쪽으로 안 받침물이나 단단한 물체에 댄다테이블 위를 걷는 것처럼 발을 든다4개월둔부 마비, 다발피질 기형
긴장성 경(목) 반사 (Tonic neck) 반사한쪽으로 목을 돌린다돌린 쪽의 사지는 신전되고, 반대쪽은 굴곡됨3~4개월신경학적 손상
체간만곡(Trunk incurvation) 반사 (갤란트 반사)배를 대고 눕힌 뒤, 신생아의 등의 한쪽을 따라 자극 (약 5cm 정도)자극을 받은 쪽으로 몸통을 구부린다. 좌우 모두 확인 중요2~3개월척수신경장애

심장호흡기계

– 신생아의 폐 순응은 해부학적 구조의 영향 받으며, 종격동의 구조는 상대적으로 큰 심장과 함께 폐가 확장할 수 있는 공간을 감소시킴

-신생아의 기도는 좁고 코로 호흡하기 때문에 어떠한 폐쇄이든지 호흡곤란을 초래

– 폐포의 표면을 덮고 있는 계면활성제 주성분이 인지질, 공기와 액체 접촉면의 표면장력을 최소로 하여 폐확장을 용이하게 해주며, 호기 시 무기폐가 되는 것을 방지

– 신생아 횡격막과 복벽 근육을 사용하는 복식호흡, 가슴 운동 거의 없다.

– 신생아 호흡은 깊이와 리듬이 불규칙

– 정상 호흡수는 보통 30~60회/분

– 심장 박동수는 출생 직후 100~180회/분, 4 시간 이후 점차 안정되면서 수면 시 분당 100회/분, 각성 상태에서 분당 150회/분 범위에서 유지

위장관계

– 위용적은 60mL

– 위가 비워지는 데 걸리는 시간은 2~3시간

– 위식도 역류 : 식도 괄약근 기능이 감소하거나 위가 비워지는 시간이 지연됨으로써 위가 이완되기 때문

태변(meconium) : 95% 정도에서 생후 24시간 이내에 배출, 생후 48시간이 지나도 태변 나오지 않을 때는 장폐색, 항문기형을 의심

– 태변은 자궁에서 들이마신 태아의 세포와 솜털, 태지, 양수 등으로 구성

– 기능적으로 미숙하여 신체적 황달

– 간접 빌리루빈 -> 직접 빌리루빈으로 전환되기 위해서는 간의 효소인 glucuronyl transferase 필요 -> 신생아 효소의 활성이 부족

– 빌리루빈은 적혈구 파괴로 인한 혈색소의 파괴 산물

– 정상 신생아는 순환하는 적혈구 농도가 높고 수명이 70~90일

– 핵황달(kernicterus): 만성적, 영구적인 후유증 초래 -> 빌리루빈 독성으로 뇌성마비, 청각 신경장애, 시력장애, 치아 형성부전증

– 광선요법(phototherapy) : 혈중 빌리루빈 수치 감소, 핵황달 예방, 눈과 생식기를 가리고 시행

비뇨생식기계

– 사구체 여과기능: 완벽한 소변 농축은 3개월 지나야 형성

– 소변량:1~3mL/kg/hr, 2~6회/일

– 남아의 생식기: 크고 부종 있고 주름이 많은 음낭, 고환촉진

– 여아의 생식기: 생식기가 두드러져 보이고 분비물, 가성월경

근골격계

– 고긴장성 굴곡 : 굴곡의 발달은 하지에서 먼저 시작, 검진 시 다리부터 먼저 사정

– 머리 처짐 현상

  • 신생아의 근력이 완전히 발달되어 있지 않아, 머리의 무게를 충분히 지지할 수 없다.
  • 복위로 눕히면 신생아는 고개를 살짝 들어올려 옆으로 돌릴 수 있다.
  • 팔을 뻗쳤을 때 손은 허벅지 윗부분에 닿아야 함. 다리 똑같은 길이, 둔부 피부주름 대칭적
  • 엎드린 자세 : 척추는 곧고 편평해야 하며 신경관 결손의 하나인 이분척추와 같은 기형이 있는지 잘 관찰

피부계

– 패립종(Milia) : 피지선이 막혀서 생김

– 점상출혈(Petechia) : 보이는 부분에 위치하면 정상 → 다른 곳에서 발견되면 패혈증의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조사해야 함

– 몽고반점(Mongolian spot) : 불규칙적으로 어둡게 착색된 것, 등의 요추부위나 대퇴부 후방, 하지와 등, 어깨 등에서 관찰

– 낙설(desquamation) : 피부 성숙도와 관련됨 * 미숙아보다 과숙아에서 더 많이 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