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청소년간호학) 영아기 01

(아동청소년간호학) 영아기 01

신체 발달

– 일생 중 가장 빠른 변화를 볼 수 있는 시기

– 대근육 운동과 미세운동이 머리에서 발끝으로, 중심부에서 말초부로 발달

– 대근육 운동이 미세 운동보다 먼저 발달됨

– 영아의 신체적 발달 : 유전, 환경, 문화적 배경, 생물학적 영향을 받는다.

체중

– 첫 3개월 : 출생 시 체중의 2배, 매달 약 600~700g 증가

– 12개월 : 출생 시 체중의 3배

신장

– 첫 6개월 동안 2.5cm/월 증가

– 12개월: 출생 시 신장의 약 50% 증가

두위

– 12개월까지 성인 뇌의 2/3가 됨

– 소천문은 2~8주, 대천문은 12~18개월 닫힘

흉위

– 1~2세경 두위와 흉위가 같아짐

운동발달

– 운동발달 근육은 신체, 인지 및 사회적 발달과 밀접한 관련

– 일반적인 운동발달에 대한 원리

  • 의도적 행동은 원시반사가 사라지고 나타난다. 물건을 잡으려면 불수의적 잡기반사가 사라져야 한다.
  • 엎드리기 전에 바로 눕기가 나타난다. 엎드려서 물건을 잡으려면 먼저 누워서 물건을 입으로 가져가는 것이 나타나야 한다.
  • 물건을 잡는 능력보다는 물건을 놓는 능력이 먼저 나타난다.

대근육 운동

– 균형 유지, 체위 조절, 이동을 하고자 대근육을 사용하는 능력에 의해 발달

– 1개월까지 영아 : 복위에서 머리를 옆으로 돌리 수 있다.

– 4개월 : 전박으로 체중을 지탱하여 머리를 들 수 있다.

– 5~6개월 : 손으로 체중을 지탱하고 머리, 가슴, 배를 들 수 있다.

영아의 머리 가누기 능력

– 영아의 머리 가누기 능력은 머리 처짐(head lag)의 유무로 판단

– 1개월 : 앉히면 여아의 등은 전체적으로 둥글고 머리는 앞쪽으로 떨어진다.

– 2개월 : 머리 처짐이 부분적으로 나타남

– 4개월 : 머리 처짐 없이 앉아 있는 동안 머리를 잘 가눈다.

머리 가누기가 가능해지면 영아는 지지없이 앉기 시작함

– 4개월 : 영아는 지지가 있어야 앉을 수 있음

– 6개월 : 손을 사용해 지지하면서 앉아 있을 수 있음

– 7~8개월 : 지지 없이 침착하게 혼자 앉을 수 있음

– 12개월 : 혼자 잘 앉음

이동력

– 도움없이 한 곳에서 다른 장소로 옮겨가는 능력은 지지 없이 머리를 가누고 앉는 능력에 달려 있다.

– 6개월에는 잡고 서 있는 자세일 때 다리로 체중을 지탱 할 수 있음

– 8개월 : 체중을 지탱할 수 있음

– 8~10개월 : 배밀이(바닥에 대고 기는 행동) 시작, 이후 기기

– 10~12개월 : 영아의 운동력은 빠르게 향상됨

미세운동

– 미세운동발달은 순차적이고 진행적인 손과 눈의 협응 능력에 의해 발달

– 1개월 : 영아는 원시잡기반사가 있어 사물을 꽉 쥘 수 있다.

– 2개월 : 능동적으로 잡기 시작, 물건을 떨어뜨리기 전에 순간적으로 물건을 잡음

– 3개월 : 영아는 손을 펴고, 손가락을 바라보고, 손을 입으로 가져갈 수 있음.

– 4개월 : 양쪽 손을 교대로 바로 볼 수 있음

– 5개월 : 손 전체를 사용하여 자발적으로 물건을 잡을 수 있음

– 6~7개월 : 영아는 젖병을 조심스럽게 잡고 발로 천천히 잡아 입으로 가져 감

– 8개월 : 엄지손가락과 집게손가락을 이용한 집어 잡기가 나타남

– 10개월 : 영아의 잡기 능력은 시리얼 같은 작은 음식도 잡을 수 있을 정도로 정교함

– 12개월 : 책장을 넘긴다.

성심리발달

Freud : 구강기

– 구강자극, 빨기가 주요 초점

– 수유 : 즐거움과 만족의 가장 중요한 원천

– 젖찾기(포유) 반사

– 의도적인 활동 : 장난감, 손가락, 달래기 젖꼭지

심리사회발달

Erikson : 신뢰감 vs. 불신감

– 영아를 돌보는 사람을 통하여 수유, 옷 입기, 안위와 같은 기본욕구가 충족될 때 신뢰감이 발달

– 욕구가 충족되지 못하면 다른 사람에 대한 불신감이 발달

– 영아를 돌보는 사람과의 상호작용의 질이 가장 중요

인지발달

Piaget : 감각운동기 중 1~4단계

– 영아는 사물과 그 사물의 감각을 사용한 상호작용을 통해 사물에 대한 지식을 획득 하는 인지발달의 감각운동기(sensorimotor; 출생~24개월)에 있다.

– 영아의 주요 과업은 대상영속성(object permanence) 개념 형성

– Piaget의 감각운동기는 6개의 하위단계, 첫 1년 동안 영아는 첫 4단계를 거침

① 반사운동기(신생아기) : 비자율적 반사로 세상을 배워나감.(젖찾기, 빨기, 울기 등)

② 일차 순환반응기(1~4개월) : 반사적 행동->자발적 행동, 4개월 영아 손과 눈의 협응 발달하기 시작

③ 이차 순환반응기(4~8개월) : 의도적인 움직임 완성(딸랑이 흔들면 →소리) – 놀이의 개념 나타남

– 대상영속성: 사물이 눈에 보이지 않더라도 존재하는 것을 알고 사물로부터 자신을 분리하는 것을 배우는 단계

④ 이차 도식의 협응(8~12개월) : 몇 개의 사건을 동시에 적용하고 그 결과를 알 수 있음

-> 영아는 블록을 다양한 모양의 구멍이 있는 상자에 넣고, 간단한 단어와 지시어를 이해한다(예: 안돼, 안녕, 과자).

– 대상영속성은 영아가 숨겨진 물건을 능동적으로 찾을 때 명백해진다.

yongyong

Recent Posts

항문호흡이 다시 한 번 임상실험으로 증명되다 (2024 이그노벨상 수상)

항문호흡이 다시 한 번 임상실험으로 증명되다 (2024 이그노벨상 수상) 코로나 시기 당시에 호흡기 질환으로 인한…

1일 ago

폐경 완경 논란 – 산부인과 의사 입장

폐경 완경 논란 - 산부인과 의사 입장 https://nurseyong.com/%EC%99%84%EA%B2%BD%EC%9D%B4%EB%9D%BC%EB%8A%94-%EC%A2%8B%EC%9D%80-%EB%A7%90%EC%9D%84-%EB%91%90%EA%B3%A0-%EC%99%9C-%ED%8F%90%EA%B2%BD%EC%9D%B4%EB%9D%BC%EB%8A%94-%EB%A7%90%EC%9D%84-%EC%93%B0%EC%84%B8/

2주 ago

병원안전사고 사례 분석 (12개월 영아 과다 투약 사망사고)

병원안전사고 사례 분석 (12개월 영아 과다 투약 사망사고) 🩺 1. 사고 요약 2022년 3월 제주대학교병원에서…

2주 ago

동공크기 대광반사

동공크기 대광반사 동공 크기(Pupil Size) 정상 동공 크기: 약 2~5mm, 양쪽이 대칭 형태: 둥글고 경계가…

2주 ago

출혈성 뇌졸중 (Hemorrhagic Stroke) 종류 특성

출혈성 뇌졸중 (Hemorrhagic Stroke) 종류 특성 출혈성 뇌졸중 👉 뇌혈관이 파열되어 혈액이 뇌조직 또는 지주막하…

2주 ago

허혈성 뇌졸중 (Ischemic Stroke) 종류 특성

허혈성 뇌졸중 (Ischemic Stroke) 종류 특성 허혈성 뇌졸중 (Ischemic Stroke) 혈류가 차단되어 뇌조직이 산소와 영양을…

2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