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건너뛰기

(아동청소년간호학) 청소년기 02 사회화 건강증진

(아동청소년간호학) 청소년기 02 사회화 건강증진

청소년의 사회화

부모-청소년 관계

– 성공적인 사회화 : 아동이 성인의 사회로부터 배운 믿음, 가치, 행동, 더 큰 의미로는 부모와 다른 가족 구성원들과의 상호작용

– 청소년은 ‘나는 누구인가?’에 관한 질문에 답할 수 있으며 그들이 배워온 행동과 가치를 탐험 -> 부모와 청소년 간의 긴장을 증가시키며 부모도 이 시기에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문제를 다시 경험함

– 갈등은 부모의 양육에 따라 다르게 경험함

– 권위적인 가정(적은 반응과 많은 요구를 가진 부모) : 의존적, 수동적, 지적 호기심 적다.

– 관대한 가정(반응이 크고 요구가 적은 부모) : 반응 없고 지도자 자리 덜 맡으려고 함

– 관심이 없는 가정(반응과 요구가 모두 적은 부모) : 더 충동적이며 게으른 행동 하기 쉽다.

– 민주적인 가정(부모가 반응과 요구를 다하는) : 책임감, 자기 확신이 있고 창의적

– 부모의 역할: 청소년의 요구를 인정하고 그들의 세계가 익숙하지 못하거나 위협적으로 느껴지면 돌아올 수 있는 여유가 있다는 것을 알려주고 청소년의 세계를 탐험하는 것

부모-청소년 간의 갈등

– 부모가 원하는 방향을 강요하거나 자신이 청소년기에 했던 동일한 실수를 피하게 하려고 하는데서 일어남

– 청소년기의 초기와 중기에 많음

– 부모로부터 통제감을 느끼면 기대치에 대한 실패, 낮은 자존감, 높은 우울감을 나타냄

– 지지적인 부모-자녀 관계 : 청소년이 부모 사이에서의 마찰에 대한 자기비난과 위협을 낮게 평가

– 부모 사이의 갈등은 부모가 청소년과의 관계를 가지는 데 부정적으로 작용, 청소년의 역량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부모의 이혼과 재혼

– 청소년기에 부모의 이혼을 경험한 경우, 약물 남용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높다.

형제관계

– 청소년기를 거치면서 형제끼리 의지하는 것은 줄어들고 갈등 증가

– 형제는 사회화 과정의 중요한 대리인

친구관계

– 초기, 중기 청소년기 우정:높은 단계의 상호작용과 상호의존성

– 우정의 질은 상호 배려, 존중, 신뢰, 균형으로 서로 양보하고 공평하게 의견을 교환하는 높은 단계

– 부모는 아동의 동료 관계에 계획(designing), 중재(mediating), 감독(supervising), 상담(consulting)4가지 방법으로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침

데이트

– 기분전환, 친근함, 성행위, 주체성의 인식에 관해 배울 수 있는특수한 사회화 경험, 새롭고 더 깊은 교제의 발전을 위한 기회 제공

학교

– 학교, 학업성취는 청소년의 자율성과 정체성을 발달 시키는데 중요

– 청소년 발달에 중요한 환경, 심리학적 기능은 그들의 학교 경험과밀접한 관련

– 인지발달을 도우며 사회적 상호작용을 형성하고 업무완료를 북돋아 줌

– 긍정적이고 지지적인 교사-학생과의 관계는 학생이 학교에서 실패하는 것, 외현화 행동, 감정적 괴로움, 자살생각, 폭력, 물질남용 등의 위험성 줄일 수 있다.

– 보건교사 : 건강증진 활동과 청소년이 걱정하거나 중요하다고 느끼는 문제에 대한 정보를 정확하고 객관적으로 전달

직업과 경력개발

– Ginzberg 청소년기 직업 선택 과정 3단계

  • 환상의 단계 : “커서 어떤 일을 하고 싶니?” -> 현재 가장 열렬히 원하며 강제적인 것이 전혀 없는 직업을 선택
  • 시험적 단계 : 관심 있는 것과 어떤 직업이 적합한지 생각함
  • 현실적 단계 : 광범위하게 직업에 대해 탐험하고 구체적으로 직업을 정함

– 직업 선택에서 중요한 요소는 그들의 성격, 부모와 동료의 기대와 태도, 청소년의 광범위한 사회적 환경을 포함

– 부모와 동료의 가치와 태도에도 많은 영향을 받음

건강증진

간호사와의 상호작용

– 청소년과 함께 일할 때 간호사가 기억해야 할 몇 가지 지침

  • 첫째, 친절한 환경 조성
  • 둘째, 청소년을 품위 있게 대하고 그들을 개별적으로 알아야 함
  • 셋째, 건강증진을 위한 목적으로 사정하면서 건강증진 행위를 설명, 이해시켜야 함
  • 넷째, 가족과의 관계를 발달시키고 유지시켜야 함

– 연령, 성숙도,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생리변화, 특별한 심리사회 요구와 일반적으로 겪는 발달적 변화에 대한 이해가 필요

– 침착하고 광대하면 온정이 있고 공감을 표해야 함

– 충분한 시간과 사생활 보호는 청소년에게 매우 중요

– 비밀보장 문제는 상호작용 초기에 확실하게 이야기하는 것이 중요 -> 부모가 알기 원하지 않는 문제에 대해 간호사에게 털어놓을 수 있기 때문

영양

– 근육량, 체중, 신장에서 매우 빠른 성장을 하는 시기

– 칼로리, 단백질, 무기질과 같은 영양소 필요

– 여아는 하루에 약 2,000cal, 남아는 약 2,500~3,000cal 필요

– 아침식사를 할 수 있도록 격려

– 올바른 식이요법의 중요성에 대해 설명하고 계획된 식사를 하도록 도움

– 영양문제: 비만, 거식증, 신경성 폭식증

– 양육환경과 관련된 비만 요소 : 부모의 비만, 낮은 경제적 수입, 부모의 직업과 낮은 교육 수준

– 거식증, 신경성 폭식증: 여아에게 일반적으로 일어나며 비뚤어진 자아상을 갖고 있으며, 신체적인 증상, 심리적인 질병을 앓게 함.

치아건강

– 1년에 치과 방문을 두 차례 하도록 함

– 충치발생률은 감소하지만 불소 보충물은 16세까지 지속

– 부정교합, 치은염, 치아외상

– 부정교합: 다수의 치아 혹은 하악골이나 안면골 성장변화로 인해 일어남

수면, 휴식과 활동

– 8시간 정도의 충분한 수면을 도움

– 1주일에 3회 이상 적어도 30분씩 보통에서 격렬한 운동을 권장

물질남용과 흡연

– 알코올 혹은 약물남용의 부적응 패턴 중 하나, 그 결과 고통 혹은 장애를 가져옴

– 물질남용은 주로 청소년기에 시작, 부정적인 삶의 사건 무력한 대처, 가족 관계의 기능장애, 정신적 상태(주의력결핍장애, 우울증, 행동장애 등)와 관련

– 흡연을 예방하고 금연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

폭력

– 관련요인 : 집단적, 개인적, 환경적

– 집단적 요소 : 권위적인 양육방식, 부모의 낮은 교육수준, 일관성없는 훈육방식, 형편없는 가족 기능

– 개인적 요소 : 낮은 IQ, 정신과적 장애나 약물남용, 자기중심적 성격, 동정심 부족 등

– 환경적 요소 : 폭력 노출, 약물, 알코올, 지역사회 참여의 낮은 수준

– 어릴 때 폭력에 노출되면 성장과정에 영향

성적 활동

– 성병과 임신의 위험에 노출

– 정확한 피임, 책임감, 금욕 성병에 대한 교육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