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건너뛰기

(아동청소년간호학) 학령전기 01

(아동청소년간호학) 학령전기 01

신체 발달

신체성장

– 신체성장 변화 : 일년에 2.3kg, 7.5cm 성장

– 신체윤곽 : 호리호리해지고 커지며 자세가 곧아짐

– 감각기관 : 모든 감각기관 성숙, 시력 20/20(1.0)

– 치아발달 : 학령전기 끝무렵 영구치 생김

– 자주 쓰는 손 형성(오른손잡이, 왼손잡이)

– 장과 방광조절 : 밤에도 조절

– 수면시간 : 장시간의 수면과 기상

– 대근육운동/미세운동기술 : Denver II로 평가

한국형 Denver II

– 출생~만 6세 사이의 아동에게 사용되도록 개발됨

– 해당연령의 검사 항목에서 수행정도를 사정하여 발달 지연 혹은 문제의 가능성이 있는 아동을 선별하여 객관적인 검사로 발달지연 의심을 확증하고 고위험 아동을 계속 관찰하기 위한 목적

– 개인-사회발달 영역 – 22문항

– 미세운동 및 적응 발달 영역 – 27문항

– 언어발달 영역 – 34문항

– 운동발달 영역 – 27문항

대근육 운동발달

-눈과 손의 조정과 근육 조정이 발달

– 3세 아동: 걷기, 달리기, 뛰기, 세발자전거 탈 수 있다.

– 4세 아동: 한 발로 깡충깡충 뛸 수 있고, 두 발을 교대로 걸을 수 있고, 두 손으로 공 잡을 수 있으며, 양발 번갈아가며 계단 오르내릴 수 있다.

– 5세 아동: 양발을 번갈아가며 깡충깡충 뛸 수 있고, 30cm 높이에서 뛰어내리고, 공 잡고 던질 수 있고, 뒤로 걷기, 스케이트, 수영, 춤, 텀블링 등 많은 운동기술 배우기 시작

미세운동발달

– 3세 아동: 9~10개 블록 쌓고, 다리를 만들 수 있으며, 동그라미 따라 그릴 수 있고, 혼자서 옷 갈아입을 수 있다.

– 4세 아동: 가위를 사용, 신발 끈 매고, 단추를 낄 수 있으며, 세 부분으로 된 도형, 네모나 십자가, 다이아몬드 모양 따라 그릴 수 있고, 손 사용을 선호

– 5세 아동: 신발 끈을 매고 묶을 수 있고, 네모와 세모를 따라 그릴 수 있으며, 사람 여섯 부분으로 그릴 수 있다. 5세 아동은 가위와 연필 사용 능숙

성심리발달

– 자신의 신체에 호기심을 보이며, 잠재의식과 갈등을 느끼고 다른 성의 부모를 더 사랑하게 되며 매력을 느낌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엘렉트라 콤플렉스

– 같은 성을 가진 부모와 다른 성을 가진 부모를 놓고 경쟁함 → 해결책: 아동이 같은 성을 가진 부모를 인정하면서 없어짐

– 신체적 차이점을 놀이를 하면서 알아보거나 많은 질문 → 부모는 성기 부분을 포함한 모든 신체 부분 아동에게 간단히 설명

– 신체 부분이 굉장히 은밀하고 사적이며 이 부분들은 ‘다른 사람’이 만져서는 안된다고 가르치기 좋은 시기

심리사회발달

– Erikson의 주도성(솔선감) 대 죄책감 : 심리사회적 발달의 주요과제

– 양심(초자아) 발달

– 틀린 것, 옳는 것, 나쁜 것, 좋은 것에 대한 배움은 도덕적 발달 시작

– 허용되는 것과 허용되지 않는 것에 대해 이해 못함 → 체벌이나 보상을 통해 올바른 행동이 무엇인지 배움

사회성

– 자신을 돌보는 능력(옷 입기, 목욕하기, 먹기, 사회적으로 올바른 행동)과 다른 사람과 어울리는 능력이 발달

– 아동의 놀이는 매우 극적이고, 상상적이며, 창의적

– 다투기도 하고 분노 표출

가족관계

– 3세 : 가족 안에서 자신의 위치를 이해하며, 성별 역할에 대해서도 잘 이해함

– 4세 : 과격한 행동과 분노를 표출하는 행동이 증가, 형제 간 경쟁 심해짐

– 5세 : 가족과 어울리며 안정된 행동을 보임 – 요리, 쇼핑, 가사, 다른 가족의 활동 도와줌

인지발달

전조작기

– Piager의 전조작기는 2~7세 사이에 일어남

– 자기중심적

– 체계에 따라 물건을 정리하고 자신의 생각대로 개성 있게 행동

– 비약적 추리(변환적 추론) : 서로 다른 사실을 연결하여 현실을 왜곡함

물활론

– 3세 : 많은 질문, 시간에 대한 개념, 색과 숫자 인식, 관찰, 모방 통해 배움. 활발한 상상력, 신체적 손상에 대한 두려움 표출

– 4세: 다른 사람에 대한 인식이 증가, 간단한 유추 가능(불 뜨겁고, 물 차갑다), 반대 개념(무겁다/가볍다), 시간 개념 이해, 비슷한 물체끼리 분류

– 5세: 부모 사고와 개념을 다른 사람과 비교하고 질문, 시간 이해

두려움

– 현실에 대한 두려움, 상징하는 것들에 대한 두려움(벌레, 어두움, 동물) → 밤에 야간 등

언어

– 3세

  • 약 900개 단어 알고 3~4개 단어로 문장 만들 수 있다(신호언어)
  • 복수와 대명사 정확하게 사용, 단어 만들어낼 수 있고, 자신과 말을 하기도 함

– 4세

  • 약 1,500개의 단어 알고, 4~5개의 단어 사용하여 긴 문장 구사함
  • 전치사 사용 정확. 질문 가장 많이 하는 시기, 과장된 이야기

– 5세

  • 약 2,100개의 단어 알고, 6~8개의 단어 사용하여 긴 문장 구사함
  • 전치사, 형용사, 과거동사 등 정확히 사용. 4~5개의 색을 말할 수 있으며, 요일, 달, 시간에 관한 단어를 인식

– 학령전기 아동은 무엇이든지 배우기 위해 “어떻게”, “왜”라는 질문. 질문의 답은 간단하고 짧게

– 대화는 아동의 어휘력을 돕고 자아 존중감을 높인다.

도덕과 영적발달

– 아동의 도덕적 판단능력은 기초 수준으로 옳고 그름에 대한 결정은 부모가 만들어 놓은 규칙에 따라 결정 → “엄마가 안 된다고 했어요.”

– 옳고 그름은 어떤 행동에 대한 보상이나 체벌을 통해 배움

– 다른 사람의 필요보다 자신의 필요를 충족시키는 행동을 하며 정의와 공평에 대한 구체적인 의미를 배움

– 신앙이나 종교의 지식은 부모나 중요한 사람으로부터 배움.